한국성장금융, 포스코신성장펀드 소진 박차 자펀드 3개 결성, 추가 투자 검토 중…내년 투자 마무리 전망
임효정 기자공개 2021-10-14 11:58:06
이 기사는 2021년 10월 12일 13:39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국성장금융투자운용(이하 성장금융)이 국내 첫 프로젝트 모펀드인 포스코신성장펀드의 투자재원 소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포스코가 전략적투자자로 나서는 만큼 투자 범위에 대한 제한이 뒤따르지만 당초 예상보다 투자 소진이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는 평가다.현재 검토 중인 기업에 대해 투자가 확정될 경우 연내 소진률은 50%가 넘게 된다. 향후 포스코의 신성장 동력 범위가 확대가 될 것으로 예상돼 투자 재원은 더 빠르게 소진될 것이란 전망이다.
◇현재 소진률 35%, 모펀드 결성 1년만
1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성장금융이 운용 중이 포스코신성장펀드의 소진률이 35%를 돌파했다. 총 출자액 801억원 가운데 현재 약 285억원을 출자했다. 이를 통해 결성한 자펀드는 총 3개다. 자펀드 규모는 총 489억원이다.
이번 성과는 모펀드 결성 1년여 만에 이뤄진 성과다. 포스코신성장펀드는 지난해 8월 결성된 국내 첫 프로젝트펀드 투자 전용 모펀드다. 포스코그룹의 산업자본과 성장금융의 금융자본이 융합되면서 모범사례를 만들었다는 평가가 이어졌다. 민간 주도의 벤처투자 시장을 이끄는 역할을 맡고 출범한 성장금융이 이룬 의미 있는 결실이기도 했다.
이번 모펀드에 포스코그룹 계열사들이 출자한 액수는 801억원이다. 자펀드 조성 목표 규모는 1400억원으로, 5개~10개 내외로 만들 계획이다.

이후 2, 3호 자펀드 결성에도 속도가 붙었다. 1호 자펀드가 만들어진 지 3개월 만에 2호 펀드가 결성되면 두 번째 투자처가 확정됐다. 2호 자펀드의 투자처로 낙점된 곳은 성림첨단산업으로, 국내 유일의 전기차 구동모터용 희토류영구자석 제조업체다. 창인파트너스와 코리아에셋증권이 공동 운용사로 105억원의 자펀드를 결성해 투자를 집행했다.
3호 펀드도 연달아 결성됐다. 8월에 결성된 세 번째 자펀드는 포레스트파트너스를 운용사로 리카본에 투자를 단행했다. 당시 결성한 자펀드 규모는 127억원이다. 벤처단계에 투자하면서 수익을 극대화하면서 향후 협력을 통한 시너지도 얻을 수 있는 구조를 형성했다.
총 3개의 자펀드가 결성되면서 투자 재원 소진이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는 평가다. 투자사와 피투자사의 시너지를 극대화하기 위해 이차전지, 차세대전지, 배터리 리사이클링, 수소분야 등으로 범위가 제한돼 있기 때문이다. 당초 타 모펀드에 비해 투자 소진이 더딜 것으로 예상됐던 이유다.
◇연내 추가 자펀드 결성 검토, 결성시 소진률 50% 돌파
올해 추가 소진 가능성도 제기된다. 성장금융은 현재 복수 기업에 대해 투자를 검토 중인 것으로 파악된다. 추가로 자펀드가 결성될 경우 소진률은 50%를 훌쩍 뛰어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포스코신성장펀드는 민간자금이 투입된 만큼 투자 지역에 있어 자유롭다. 해외기업에 대한 투자가 제한적인 정책금융과 달리 해외 시장에 대한 투자도 가능하다. 이번에 검토 중인 기업도 모두 창업주가 외국인인 순수 해외기업으로 알려진다.
향후 포스코의 신성장동력 범위도 넓어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투자 재원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투자기간은 3년이다. 하지만 속도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결성 2년 만에 투자가 완료될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투자사와 피투자기업의 협업 모델에 대한 니즈를 충족시켜야하는 등 운용하기 쉽지 않은 펀드임에도 불구하고 순조롭게 자펀드가 결성되고 있다"며 "이에 따라 내년께 투자재원이 모두 소진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SKT, '3대 빅테크' 양자암호 에코시스템 조성 집중
- 카나리아바이오, ASCO서 글로벌 3상 현황 공개
- [CEO성과평가]손병환 농협금융 회장, 2조클럽 입성으로 5대지주 반열 '우뚝'
- [코스닥 CB 프리즘]아이윈, 4회차 발행 과정서 '50억 증액' 속내는
- [바이오테크 상장 Before & After]상장 2년차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매출 목표 90% 미달
- 몰젠바이오 "미생물유전체 스캐닝·편집, CNS 타깃"
- "보스턴 지사 통해 레고켐 ADC 기술 임상서 입증"
- 엠테라파마, 파킨슨병 치료제 美 FDA 1상 계획 승인
- 메디포스트, 캐나다 CDMO 기업 인수 추진…SPC 설립
- 공무원연금, 신임 CIO 선정 임박…전문성 이어질까
임효정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Key of PMI] 김태원 화성코스메틱 대표"'볼트온 속도내 성장 모멘텀 확보"
- 앵커PE 컨소시엄, '기대와 아쉬움' JB금융 지분 1% 남겼다
- EY한영, '전략재무자문본부' 8명 파트너 승진한다
- 국민연금, 올 국내 사모대체 출자액 3조 넘긴다
- '7년 공들였는데' 앵커PE, 아쉬움 남는 'JB금융' 엑시트
- 딜로이트안진, 대기업 M&A자문 힘 싣는다
- VIG파트너스, 5년전 인수한 '오토플러스' 판다
- 어펄마캐피탈, 크레딧펀드에 하우스 색채 살린다
- 'ESG전문 컨설팅' ERM, 한국오피스 확대 나선다
- SK에코·성장금융 잡은 JW&파트너스, '전문성' 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