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피탈사, P-CBO '계속'…신보, 소상공인 간접지원 기대 9월 이후 10월에도 자금 지원, 조달금리 절감 효과
이지혜 기자공개 2021-10-22 08:04:17
이 기사는 2021년 10월 20일 16:54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캐피탈사 등 여전사가 10월에도 신용보증기금의 지원을 받는다. 프라이머리 채권담보부증권(P-CBO)을 활용해 이번 달에도 자금을 조달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P-CBO를 활용하는 편이 조달금리를 낮출 수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캐피탈사들은 지난 달 1년 1개월 만에 P-CBO 시장에 돌아온 뒤 잇달아 자금을 조달하고 있다.신용보증기금은 여전사를 지원한다고 중소기업 지원 여력이 축소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또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을 간접지원하는 효과를 볼 것으로 기대한다. 코로나19 피해기업에 원리금 상환유예를 해 준 여전사만 P-CBO를 신청할 수 있도록 정했다.
◇캐피탈사 신청 이어져, 조달금리 절감 목적
20일 캐피탈업계에 따르면 신용보증기금이 10월 29일 P-CBO를 발행한다. 캐피탈사도 신청기업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애큐온캐피탈과 M캐피탈 등인 것으로 파악된다. 투자은행업계 관계자는 “26일 P-CBO에 편입되는 기업의 최종 명단이 확정된다”며 “기업은 물론 발행규모도 바뀔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캐피탈사들은 그동안 P-CBO 시장에서 보기 어려웠다. 기조가 바뀐 것은 지난해부터다. 코로나19 사태로 여전채 시장이 경색되자 신용보증기금이 10여년 만에 처음으로 여전사에게 P-CBO의 문호를 열었다.
당시 신청 수요는 많지는 않았다. 지난해 7월과 8월 한국캐피탈과 메리츠캐피탈 등 소수의 캐피탈사만 P-CBO로 자금을 조달했다. 캐피탈사가 다시 P-CBO로 눈길을 돌린 것은 올 9월 들어서다. 애큐온캐피탈과 M캐피탈, 한국캐피탈이 자금을 지원받았다.
캐피탈업계 관계자는 “기준금리 인상 이슈가 이어지면서 여전채 시장의 투자심리가 녹지 않고 있다”며 “조달금리를 낮추기 위해 P-CBO를 신청했다”고 말했다.
캐피탈사들은 조달다각화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장기CP 발행도 줄을 잇는다. 특히 연말은 한 해 사업을 마무리하는 시기라서 운영자금 수요가 늘어난다. 캐피탈사의 P-CBO 신청기조가 당분간 유지될 수도 있다.
일부 캐피탈사는 조달금리 절감 효과도 톡톡히 누리는 것으로 파악된다. 지난 달 P-CBO를 활용한 애큐온캐피탈과 M캐피탈, 한국캐피탈은 개별민평금리보다 훨씬 낮은 수준에 자금을 조달했다.
신용보증기금 관계자는 “시장금리와 상관없이 자체적 기준에 따라 P-CBO 금리를 매기고 있다”며 “여전채나 장기CP 등보다 조달금리를 아낄 수 있다고 판단한 캐피탈사들이 P-CBO를 신청하고 있다”고 말했다.
여전채는 민간채권평가사가 매기는 개별민평금리나 등금민평금리를 기준으로 금리가 정해진다.
그러나 신용보증기금은 AAA 회사채의 등급민평금리를 기준으로 한 별도 금리체계를 갖췄다. 발행사의 규모와 신용등급을 고려해 스프레드를 산출, AAA 등급민평금리에 더하는 식이다. 대개의 경우 P-CBO 금리가 개별민평금리보다 높아 발행수요가 크게 늘지 않았던 것으로 파악된다.
◇여전사 지원, 2022년 말까지
신용보증기금은 2022년 말까지 여전사를 대상으로 P-CBO를 지원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코로나19 피해대응 P-CBO를 내년 말까지 운영하는 데 따른 것이다.
다만 여전사 때문에 중소기업의 P-CBO 지원여력이 줄어드는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신용보증기금 관계자는 “코로나19 피해대응 P-CBO에서 중소기업은 전용 풀(Pool)을 따로 구성해 운용하고 있다”며 “대기업과 중견기업, 여전사를 지원한다고 중소기업의 P-CBO에 영을 끼치지 않는다”고 말했다.
신용보증기금에 P-CBO를 신청할 수 있는 여전사도 한정적이다. 코로나19 피해기업의 원리금 상환을 유예해준 적이 있는 여전사만 신청할 수 있다. 편입한도도 원리금 상환유예 실적과 연동했다.
자영업자와 소상공인 등에 대한 간접지원 효과를 일으키기 위해서다. 신용보증기금 관계자는 “여전사 지원금이 코로나19 피해를 극복하는 데 투입되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했다”며 “소상공인과 중소기업 다수가 여전사를 이용하는 점을 고려하면 간접 지원 효과가 있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주총 불참' 구미현, 공동지분 매각 조항에 발목 잡혔나
- 전진바이오팜 유한양행 대상 18억 유증
- '수요예측 흥행' 영창케미칼, 공모가 상단 1만8600원
- [ESG위원회 중간점검]ESG에 진심인 기아, 재계 평균 2.9회 웃도는 6회
- 지놈앤컴퍼니의 '집단 경영' 도전, 밸류 재평가 기대
- 12개로 늘어난 테슬라의 눈…삼성-LG의 '윈윈' 전략
- [게임업계 번진 ESG 물결]카카오게임즈와 컴투스, 모회사와 '따로 또 함께'
- LG전자 '애플망고' GS와 공동 인수한 이유
- '자체 앱' 승부수 띄운 그라운드X, 카톡 의존도 줄인다
- 경동나비엔, 전직 CEO 사외이사로 '역할 전환'
이지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신용도 'A+' 한화에너지, 사모채 발행 '산은 후방지원'
- 삼척블루파워, 나신평마저 등급 강등…ESG '직격탄'
- [IPO 모니터]지피클럽, 글로벌사업 확대…코로나에도 굳건한 지위
- '재무구조 개선' 신세계건설, 신종자본증권 규모 줄였다
- 리딩증권 김충호, 부회장 직함 달고 각자대표
- KB지주 '전략통' 김세민, KB증권 이사회 합류...그룹 비전 '공유'
- KT, 수요예측 '오버부킹'…초우량 신용도·안정성 부각
- "데이터 활용, 기업경영 넘어 ESG 리스크까지 평가"
- 메리츠화재, 공모 이어 사모 후순위채 잇달아 발행
- 한기평, 기업 ESG평가로 사업 영역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