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웨이의 두번째 뷰티사업, 넷마블힐러비에 쏠리는 눈 '신사업·상품기획 담당' PB사업부 양도…아모레퍼시픽 출신 이응주 상무보 이동
손현지 기자공개 2021-11-22 08:21:36
이 기사는 2021년 11월 19일 16:43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코웨이가 모회사인 넷마블과 합작해 화장품 사업에 재도전한다. 그간 코웨이의 뷰티 신상품, 기획을 총괄하던 PB사업부 인력들이 대거 넷마블힐러리로 이동했다. 넷마블과의 첫 합작 사업이기도 한 만큼 성과 창출 등에 업계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19일 업계에 따르면 코웨이는 지난달 넷마블힐러비 측에 PB사업부를 양도해 34억원을 수령했다. PB사업부는 코웨이 코스메틱사업부가 영위하고 있던 뷰티상품 신사업, 상품기획 아이디어 등을 담당하던 조직이다. 지난달 신설된 넷마블힐러리에 흡수합병됐다.
코웨이의 PB사업부장이었던 이응주 상무보도 넷마블힐러리로 이동했다. 이 상무보는 아모레퍼시픽 설화수 담당, 럭셔리 MC팀장 출신으로 작년 5월 코웨이가 코스메틱마케팅부문장으로 영입했던 인물이다.
정수기 렌털업체로 잘 알려진 코웨이는 2010년 화장품 사업에 도전했다. 코웨이의 최대 장점인 '방문판매' 조직 인프라를 활용해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뒤를 잇는 업계 3위로 도약하겠다는 청사진을 내걸었다. 브랜드 'Re:NK(리엔케이)'를 런칭하고 배우 고현정을 광고모델로 쓰면서 공격적인 마케팅도 단행했다.

지난 10년간 한방화장품 올빛과 건강기능식품 헬시그루(healthy gru:), 2030 타깃의 리프레시바이리엔케이(RefreshByReNK) 등 브랜드를 출시했다. 작년에는 발광다이오드(LED) 셀 마스크를 론칭, 프리미엄 홈 뷰티 시장에 진출했다.
최근 코웨이 내에서의 존재감은 희미해졌다. 업계 경쟁심화와 코로나 직격탄을 맞으면서 매출이 줄었다. 화장품 매출은 전체의 2% 수준(9월 말 기준 584억원)으로 감소했다.
올들어선 넷마블과의 합작사로 새로운 도전을 감행한다. 넷마블과 코웨이는 지난 5월 각각 41%(41억원)을 투자해 '넷마블힐러비'를 출범시켰다. 넷마블의 IT기술력과 코웨이의 뷰티·헬스 비즈니스 노하우의 시너지를 노리고 있다. 뷰티와 코스메틱 정보 데이터를 종합해 플랫폼 비즈니스를 영위한다는 계획이다.
코웨이는 합작사업과는 별개로 기존 브랜드를 중심으로 한 코스메틱사업은 그대로 유지한다. PB사업부 외에 기존 브랜드의 영업, 기획, 마케팅을 담당하는 조직들은 기존대로 운영된다. 다만 코스메틱사업부문은 '실'로 격하됐다. 담당 임원도 강영섭 상무보가 W:IN사업실과 코스메틱사업실을 겸직하는 형태다. 과거 사업본부장을 임원급으로 두명까지 뒀던 것과는 사뭇 다른 분위기다.
넷마블힐러리의 주요 경영진은 넷마블쪽 인물들로 채워졌다. 백영훈 넷마블 부사장이 대표를 맡으며 넷마블 방준혁 의장과 코웨이 DX센터장과 넷마블 AI센터 총괄을 겸임하고 있는 김동현 상무가 사업관리를 맡는다. 방 의장은 넷마블의 지분 24.12%를 보유한 최대주주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브이티지엠피, 日라쿠텐 '연간 5억엔 돌파상' 수상
- 현실세계로 나온 '메이플 월드', Z세대에 인기
- 쏘카, 기업밸류 1.5조 '파격적'으로 낮췄다
- [IPO 그 후]브랜드엑스 이수연 대표, 꾸준한 자사주 매입 '책임경영'
- 국보 "美 레드힐, 600억대 라이선스·로열티 현금 확보"
- [IB 프로파일]'섬세한 IPO 전략가' 최신호 한국증권 본부장
- [2022 정기 신용평가]'명암' 뚜렷한 신용카드사, 핵심은 '이자비용 관리'
- [VC 경영분석]SV인베, '대형펀드 운용+글로벌 투자' 전략 통했다
- 4년차 신생 에이벤처스, 'AUM 2200억' 돌파
- 전고체 승부수 띄운 삼성, 배터리도 반도체처럼 '2030'?
손현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보복소비마저 사라졌다…LG 사장단 '고객가치' 화두
- LG전자, 독일 콘티넨탈 제친 비결…'26년간 폰사업'
- 불붙은 '차량 내 경험' 경쟁…삼성, '디지털 콕핏' 선점
- 키맨 전략…'내부' 발탁 삼성 vs '외부' 영입 LG
- [테크사 500조 전장 승부수]하만 독립 보장한 삼성…LG 내재화 전략과 '다른길'
- 주주 의결권행사율 끌어올린 넷마블
- 엔씨소프트, 전자투표제 도입…게임업계 'G' 리드
- [테크사 500조 전장 승부수]폰 다음 격전지는 카…삼성·LG 메기효과 본격화
- 삼성·LG, 인력재배치 키워드 '반도체·가전'
- 희망퇴직 대열 오른 LG하이프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