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템 편입 펀드 판매 중단, 펀드런 가능성은 신규 가입자 보호…포트폴리오 방어막, 환매 러시 '글쎄'
양정우 기자공개 2022-01-10 08:11:33
이 기사는 2022년 01월 07일 16:30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시중은행을 비롯한 금융권에서 오스템임플란트 편입 펀드의 판매를 중단하기 시작하자 '펀드런(fund run)'이 벌어질 가능성에 관심이 쏠린다. 펀드마다 편입 비중이 높지 않아 치명적 손실을 주기 어렵지만 혹시 모를 심리적 패닉 상태를 경계하는 분위기다.판매 중단에 따른 최악의 시나리오는 환매 중단 사태다. 펀드 판매 창구마다 신규 가입을 막고 있으나 기존 가입 고객의 환매는 가능하기 때문이다. 자금 유출입의 '미스매치'가 발생하고 있으나 역시 낮은 편입 비중 덕에 환매 불가까지 치닫는 게 쉽지 않다.
◇하나은행 등 판매 중단 릴레이…편입 비중 낮아 펀드런 가능성 "크지않다"
7일 자산관리(WM)업계에 따르면 하나은행과 NH농협은행에 이어 신한은행, KB국민은행, 우리은행 등 5대 시중은행이 오스템임플란트를 편입한 펀드의 신규 판매 중단에 나섰다. 하나은행이 가장 먼저 단행한 판매 금지 조치가 단번에 전 은행권으로 확산됐다.
금융권의 강도 높은 대응으로 펀드런 발생 여부에도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펀드런은 주식형 펀드 투자자가 수익률 급락을 우려해 일시에 펀드 환매를 요청하는 현상을 말한다. 은행의 예금 지급 불능 사태를 걱정해 단번에 예금이 인출되는 뱅크런(Bank Run)에서 비롯된 단어다.
자산운용업계에서는 펀드런이 벌어질 가능성이 낮다는 데 무게를 싣고 있다. 물론 오스템임플란트의 1880억원 횡령 사건은 쇼크 수준의 이벤트다. 자기자본 2047억원의 92%에 달하는 규모다. 상장사에서 발생한 횡령 사건 가운데 역대 최고액으로 추정된다. 그럼에도 사건의 중대성과 펀드상 리스크는 구별할 필요가 있다는 진단이 우세하다.
무엇보다 포트폴리오 구축이 최대 강점인 공모펀드의 특성상 단일 종목의 비중이 크지 않다. 오스템임플란트 익스포저의 액수가 가장 큰 'KODEX 코스닥150 레버리지(약 74억원, 삼성자산운용)'도 전체 순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0.99%(지난 5일 기준)에 불과하다. 오스템임플란트가 거래 재개 후 급락하더라도 이 종목 하나가 펀드의 추세를 좌우하는 게 불가능하다.
한 펀드평가사 관계자는 "그간 각종 이벤트로 거래 정지 조치와 수차례 하한가를 맞은 종목이 적지 않다"며 "하지만 이들 단일 종목의 돌발 이슈 탓에 펀드런이 발생한 사례를 찾아보기 힘들다"고 말했다. 이어 "펀드의 구조를 제대로 이해한 가입자는 즉각 환매에 나서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럼에도 보수적 스탠스를 고수하는 펀드매니저는 혹시 모를 펀드런 조짐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펀드런과 뱅크런 등은 이성적 판단에 따른 결론이 아니라 심리적 패닉 상태에서 내린 결정이기 때문이다.

◇판매 중단, 자금 유출입 미스매치…최악의 시나리오, 극단적 가정 무게
은행권을 필두로 판매 중단에 나선 가운데 최악의 시나리오로 환매 중단 사태가 꼽힌다. 현재 신규 가입이 중단됐으나 기존 가입자의 환매는 가능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자금 유입이 막힌 와중에 유출만 이어질 수 있는 여건이다.
하지만 펀드런에 따른 자금 유출이 환매 불가로 치닫을 가능성도 희박하다는 게 운용업계의 중론이다. 역시 분산 효과를 노리는 포트폴리오 덕에 펀드마다 오스템임플란트를 담은 비중이 높지 않기 때문이다. 판매 중단 펀드 리스트를 따져 보면 하나은행은 단 1주라도 들어간 모든 펀드에 조치를 취했고 다른 은행도 1% 이상 등으로 엄격한 잣대를 들이댔다. 국내 펀드 가운데 비중이 가장 높은 게 7% 수준(미래에셋 TIGER 의료기기)이다.
순자산이 100억원 규모인 펀드를 가정할 경우 오스템임플란트 비중이 10%라면 익스포저는 10억원이다. 코스닥 시장에서 오스템임플란트의 거래가 중지된 가운데 이 펀드가 환매 중단에 놓이려면 90억원 이상 규모로 환매 요청이 쇄도해야 한다. 나머지 보유 종목을 모두 매도해도 환매를 소화하지 못하는 궁지에 몰릴 때 환매 불가를 선언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극단적 시나리오는 현실화 가능성이 낮다는 데 이견이 없다. 펀드런이 쉽지 않은 이유와 동일하게 단일 종목이 펀드 전체의 향방을 좌우할 가능성 역시 높지 않다. 예를 들어 KODEX 코스닥150 레버리지의 경우 오스템임플란트의 거래 중지가 지속돼도 코스닥150 지수 자체가 급등하면 플러스 수익률을 기록할 수밖에 없다. 투자자마다 단일 종목의 이슈만으로 일시에 환매에 나설 여지가 적은 이유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브이티지엠피, 日라쿠텐 '연간 5억엔 돌파상' 수상
- 현실세계로 나온 '메이플 월드', Z세대에 인기
- 쏘카, 기업밸류 1.5조 '파격적'으로 낮췄다
- [IPO 그 후]브랜드엑스 이수연 대표, 꾸준한 자사주 매입 '책임경영'
- 국보 "美 레드힐, 600억대 라이선스·로열티 현금 확보"
- [IB 프로파일]'섬세한 IPO 전략가' 최신호 한국증권 본부장
- [2022 정기 신용평가]'명암' 뚜렷한 신용카드사, 핵심은 '이자비용 관리'
- [VC 경영분석]SV인베, '대형펀드 운용+글로벌 투자' 전략 통했다
- 4년차 신생 에이벤처스, 'AUM 2200억' 돌파
- 전고체 승부수 띄운 삼성, 배터리도 반도체처럼 '2030'?
양정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헤지펀드 운용사, 공모 전환 바람…J&J운용 합류
- 하나금융 도곡WM, 자율주행 비상장사에 '꽂혔다'
- "헤지펀드 사태 재발 막자" 금감원 신생 운용사 검사 착수
- 특수효과 제작사 스튜디오이온, 투자유치 나섰다
- 변동성 전략마저 마이너스 "비상구가 없다"
- [헤지펀드 판매사 지형도 분석]J&J운용, 최대 파트너 '신영 패밀리오피스' 급부상
- '운용-증권' 시너지 나왔다…DS 장덕수 빅픽처 스타트
- 아샘운용 베트남펀드, 마이너스 수익률 속 '존재감'
- DS운용, '최대 창구' NH증권 부상…채널 다각화 착착
- GVA운용, '공룡펀드 채널' 하나금투 단짝 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