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을 IPO 주관사, 3년전 투자 결실 맺나 PI 단가, 공모 밴드 절반 수준…신주인수권도 확보
심아란 기자공개 2022-01-26 08:34:06
이 기사는 2022년 01월 25일 17:44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인공지능(AI) 기반 혈액 진단 플랫폼 기업 노을이 기업공개(IPO)에 나선다. 대표 주관사 한국투자증권은 노을 IPO에 대한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3년 전 자기자본투자(PI)로 지분 일부를 확보해 둔 덕분에 원금 대비 2배를 넘는 자본 수익이 예상되고 있다. 주선 대가로 제공 받은 신주인수권도 잠재 수익원이다.2015년 설립된 노을은 시드(Seed)를 시작으로 시리즈A·B, 프리IPO까지 총 네 번의 라운드를 열고 385억원을 마련했다. 55억원 규모의 시리즈A를 마친 직후였던 2019년 5월에는 대표주관사인 한국투자증권에 구주 14만1300주를 매각했다.
당시 한국투자증권은 고유계정을 통해 총 9억원을 투자했다. 구주 매입 단가는 주당 6430원이다. 노을의 공모 이전 기준 지분율은 1.43%이며 IPO 이후에는 1.23%로 조정될 예정이다.

투자 규모는 크지 않지만 노을의 공모 밴드를 고려하면 적지 않은 수익률이 예상된다. 노을은 공모 밴드로 1만3000원~1만7000원을 제시했다. 수요예측 결과 공모가가 상단에서 결정될 경우 한국투자증권의 투자 수익률은 164%를 기록할 전망이다. 공모가가 밴드 하단에서 확정돼도 원금 대비 2배의 수익을 얻을 수 있다.
한국투자증권이 노을 지분을 사들여 보유한 기간도 2년이 경과해 별도의 보호예수 의무도 없다. 따라서 상장 이후 한국투자증권은 즉시 처분할 수 있다.
시장 관계자는 "주관사가 고유계정을 활용해 IPO 기업에 직접 투자했다면 성장성을 높이 평가했다는 의미"라며 "보호예수가 걸려 있지 않은 점은 아쉬운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잠재 수익원도 눈길을 끈다. 노을은 한국투자증권에 IPO 주관 업무에 따른 '보너스' 격으로 신주인수권 7만5000주를 부여했다. 이번 공모 주식의 5%에 해당하는 물량이다. 이는 한국투자증권이 노을 상장 3개월이 경과한 시점부터 1년 6개월이 넘기 전까지 공모가로 신주를 사들일 수 있는 권리다. 노을의 주가가 공모가보다 높게 형성된다면 한국투자증권은 신주인수권이 행사할 유인은 커진다.
증권사 중에서 한국투자증권 외에도 NH투자증권도 노을에 10억원을 투자한 이력이 있다. 주당 매입 단가는 9889원으로 공모 밴드 상단가에 대입하면 약 72%의 수익률이 예상된다.
2015년 설립된 노을은 임베디드 AI(내장형 인공지능) 기술과 NGSI(고체기반 차세대 염색 및 면역진단) 기술을 기반으로 혈액과 조직세포를 분석해 질병을 진단하는 마이랩(miLab) 플랫폼을 개발했다. 이번 IPO로 조달한 자금은 정밀의료 분야 시스템 개발과 원격 진단 분야 연구개발, 생산설비 투자에 사용할 예정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세토피아 "사업다각화 성과 잇도록 노력할 것"
- 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 "주주 이익 극대화하겠다"
- 비상장 주식 거래, '디깅' 트렌드 타고 약세장에도 성장세
- 6G 기반 닦을 '오픈랜' 생태계 확장 나선 통신 3사
- [챗GPT발 AI 대전]라인, 한일 AI 동맹 속 '아시아 글로벌 테크기업' 포부
- 신약에 진심인 일동제약, 비용 줄여도 R&D 늘린다
- JW중외제약, 아토피 신약 올 하반기 임상 2상 완료 목표
- [제약·바이오 융합의 경제]오픈이노베이션 선구자 '한독', 스타트업 키워 파트너 삼는다
- [캐시플로 모니터]LG전자 실탄 받은 LGD, CAPEX·운영자금 부담 덜었다
- DX&VX 거래재개 키워드 '실적, 한미약품 오너 2세'
심아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배당절차 변화 바람]제약바이오 선두는 하나제약, 매출 상위사 '아직'
- [CFO 성과 보수]셀트리온, 낮아진 기업가치…인센티브 영향 '제한적'
- [CFO 성과 보수]LG에너지솔루션, 재무 성과보다 '정성 평가' 중요할까
- [CFO 성과 보수]유한양행, 투자 확대 발맞춘 인센티브 정책
- [배당정책 리뷰]현대건설기계, 배당성향 30% 달성…TSR 개선
- [배당정책 리뷰]동아쏘시오홀딩스, '3년 300억' 배당목표 달성 근접
- [ESG 모니터]ESG 힘 싣는 SK케미칼, 여성 사외이사 부재 '고심'
- [조달전략 분석]현대두산인프라코어, 만기 구조 '단기화' 선택
- [CFO 성과 보수]삼성바이오, '조달+성장' 이끈 CFO에 후한 인센티브
- [배당절차 변화 바람]SK와 다른 길 택한 SK디스커버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