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PE-큐캐피탈, '스타콜라보' 2년만 자금 회수 IRR 10% 달성, 기업구조혁신펀드 첫 회수 성과
임효정 기자공개 2022-01-27 09:48:01
이 기사는 2022년 01월 26일 10:34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우리프라이빗에쿼티(우리PE)와 큐캐피탈파트너스(큐캐피탈)가 스타콜라보를 두 자릿수 내부수익률(IRR)로 엑시트하는 데 성공했다. 2019년 기업구조혁신펀드를 결성해 투자한 첫 포트폴리오 기업으로 2년 만에 회수 성과를 이뤄냈다.2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우리PE와 큐캐피탈은 이날 다산네트웍스에 스타콜라보 주식을 매각하는 주식양수도계약(SPA)을 체결한다. 매매 주식수는 60만8502주이며, 거래대금은 180억1308만원이다.
우리PE와 큐캐피탈이 스타콜라보에 투자한 시점은 2019년 말이다. 그 해 6월 한국성장금융의 1차년도 기업구조혁신 블라인드펀드 위탁운용사로 선정돼 1500억원 규모로 펀드를 결성했다. 스타콜라보는 당시 결성한 '우리-큐 기업재무안정 사모투자 합자회사'를 통해 담은 첫 포트폴리오였다.
당시 투자 금액은 150억원이다. 2년 만에 180억원을 회수하며 IRR 10%를 기록했다. 구조조정 펀드로 높은 수익률을 달성하기 어렵다는 점을 감안하면 성공적인 엑시트를 이룬 셈이다.
스타콜라보는 2014년 스타와 중소기업을 매칭하는 스타매칭플랫폼 협력 사업으로 시작됐다. 자체 의류브랜드 개발과 타사 라이센싱 상품 판매·유통을 겸하며 사업을 해왔다. 하지만 재무상황이 악화됐고 2018년 수원지방법원에 회생절차를 신청했다.
이듬해 우리PE와 큐캐피탈은 전략적투자자인 다산네트웍스와 함께 스타콜라보에 투자를 단행했다. 채무변제를 통해 스타콜라보는 회생절차를 조기 종료하고 턴어라운드에 성공했다.
당시 다산네트웍스는 100% 자회사였던 에이블을 통해 투자했다. 에이블은 2020년 스타콜라보를 흡수합병했고, 존속법인의 상호를 스타콜라보로 변경했다. 2020년 말 기준 최대주주인 다산네트웍스가 보유한 지분율은 52.26%다. 재무적투자자로부터 주식을 매입하면 지분율은 95.24%로 오른다.
우리-큐 기업재무안정 사모투자 합자회사의 재원은 아직 소진되지 않은 상태다. 1550억원 규모 가운데 200억원 가량 재원이 남았다. 투자가 마무리되지 않았지만 펀드를 결성한지 3년이 안 된 시점에 엑시트 사례를 만들며 트랙레코드를 추가할 수 있게 됐다. 현재까지 해당 펀드를 통해 투자한 포트폴리오는 총 5개다. 스타콜라보 이외에 놀이의발견, 티엔에프글로벌, 두산건설, 로지스팟 등이 포함됐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브이티지엠피, 日라쿠텐 '연간 5억엔 돌파상' 수상
- 현실세계로 나온 '메이플 월드', Z세대에 인기
- 쏘카, 기업밸류 1.5조 '파격적'으로 낮췄다
- [IPO 그 후]브랜드엑스 이수연 대표, 꾸준한 자사주 매입 '책임경영'
- 국보 "美 레드힐, 600억대 라이선스·로열티 현금 확보"
- [IB 프로파일]'섬세한 IPO 전략가' 최신호 한국증권 본부장
- [2022 정기 신용평가]'명암' 뚜렷한 신용카드사, 핵심은 '이자비용 관리'
- [VC 경영분석]SV인베, '대형펀드 운용+글로벌 투자' 전략 통했다
- 4년차 신생 에이벤처스, 'AUM 2200억' 돌파
- 전고체 승부수 띄운 삼성, 배터리도 반도체처럼 '2030'?
임효정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투자유치 나선 올림플래닛, 경영권 매각도 저울질
- NPX PE-어펄마, 美 콘텐츠사 '테라핀' 1100억 공동 투자
- 미운오리 된 카카오모빌리티, '상장·매각' 갈림길 섰다
- MBK파트너스, 카카오모빌리티 인수 추진…카카오에 선제안 후 협상
- 폐기물업체 '창원에너텍' 매물로 나왔다
- 역전할머니맥주 팔리자 2위 '크라운호프'도 매물로
- [로펌 빅7 M&A 전략]김상만 화우 변호사 "성장동력 찾는 대기업, 수요 증가 기대"
- [로펌 빅7 M&A 전략]'젊은 피' 화우, 전담팀 앞세워 M&A 입지 넓힌다
- 한국맥도날드, 6년만에 다시 M&A 매물로
- OK캐피탈, 바디프랜드 인수 힘 보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