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자전환' 롯데하이마트, 온라인 물류센터 투자 추진 온라인몰 출고 2배 목표, '프리미엄 대형가전' 늘려 마진 제고
문누리 기자공개 2022-05-10 08:04:40
이 기사는 2022년 05월 09일 15:35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롯데하이마트가 올해 온라인 전용 물류센터에 투자해 케파를 두 배가량 늘린다. 올 1분기 매출이 줄고 적자전환했지만 온라인 선전을 발판으로 플랫폼 성장세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9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하이마트는 연내 온라인 전용 물류센터 출고건수를 월평균 17만5000건 이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이는 2020년 출고 규모(9만5000건)의 두 배 수준이다.
앞서 롯데하이마트는 코로나19 팬데믹 직전인 2020년 1월 해당 센터에 선제적으로 투자했다. 직접적인 투자금액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2020년 연간 투자활동 현금흐름 2058억원 중 상당 금액이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이때 1차로 늘린 물류 케파는 9만5000건 수준이었다. 이는 2017년 6월 센터 신설 당시 출고건수(2만7000건)의 3.5배 규모다.
투자 영향 등으로 온라인 매출비중은 2019년 12%에서 2020년 15%, 2021년 19%로 각각 확대됐다. 롯데하이마트 온라인 쇼핑몰 트래픽은 2016년 하루 26만명에서 2021년 107만명으로 312% 증가했다.

올해 1분기 실적 기준으로 봐도 온라인 부문 성장세는 두드러졌다. 전체 매출은 1년 전보다 12% 줄어든 반면 온라인 매출은 같은 기간 11% 늘었다.
앞으로 롯데하이마트는 온라인 사업 강화로 전체 실적 개선에 힘을 싣는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온라인 상품 카테고리를 2020년 229만개에서 2021년 350만개로 늘리는 등 취급 상품수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품목 종류도 가전과 같이 구매할 가능성이 높은 가구, 스포츠용품, 육아 및 주방용품 등으로 다양화하고 있다. 향후 '하이메이드' 등 자체브랜드(PB)와 홈인테리어 품목 등 카테고리 확장을 추진한다.
여기에 프리미엄 대형가전을 중심으로 상품을 운영해 마진을 높인다. 롯데하이마트에 따르면 일반가전의 객단가(83만원)보다 프리미엄가전의 객단가(232만원)이 280% 비싸다. 고급 TV와 4도어 냉장고, 대용량 김치냉장고, 세탁기 등이 해당된다.
애플 등 고급 브랜드의 공식 AS센터도 확대해 프리미엄 고객들과의 접점을 넓히는 용도로 활용한다. 2020년 5개점이었던 롯데하이마트 애플 AS센터는 지난해 13개점으로 늘었다. 올해는 7곳을 추가해 총 20개점으로 확대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롯데하이마트 관계자는 "온라인 부문은 투자를 통해 케파를 늘려 설치·배송 서비스를 차별화할 계획"이라며 "프리미엄 및 PB 제품군도 늘려 상품 경쟁력과 수익성을 동시에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House Index]자기자본 '1조' 주역 김병영 BNK증권 대표 '유일한' 연임
- [이사회 모니터]대신증권, 여성 이사진 공백 조선영 광운학원 이사장이 메운다
- [한국평가데이터는 지금]3년 장기호흡 이사회, 사외이사 견제기능 '글쎄'
- [넘버원 K-가전 기술]'10초에 제습기 한대씩' 위닉스 초고속 공정시스템
- [셀트리온의 도전, 서정진의 승부수]서정진 명예회장 "M&A 대상 '밸류체인·플랫폼' 염두"
- [셀트리온의 도전, 서정진의 승부수]'불만을 기대로' 미래전략 말하는 '서정진'式 소통법
- [셀트리온의 도전, 서정진의 승부수]돌아온 서정진, 첫 키워드 사과 그리고 강력한 리더십
- 신학철 LG화학 부회장 "CRMA에 현지화 적극 검토"
- 한글과컴퓨터, 네이버클라우드와 'AI 동맹' 체결
- 위지윅스튜디오, 아티스트 'AI 트윈' 밸류체인 구축
문누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Peer Match Up/통신3사]이통사 트렌드 주목...비대면 IR 적극 활용
- [Peer Match Up/통신3사]핵심은 AI, 차세대 플랫폼 하드웨어 투자 봇물
- [Peer Match Up/통신3사]20년 굳어진 3강 점유율, 언제쯤 깨지나
- [배당절차 변화 바람]첫 배당나선 카카오뱅크, 배당기준일 변경은 언제쯤
- [CFO 성과 보수]처음 5억 넘게 받은 김성현 LG디스플레이 CFO
- [배당절차 변화 바람]경쟁 치열하던 통신3사, 배당기준일은 '침묵'
- [배당절차 변화 바람]CJ그룹, 전사 배당기준일 정관 변경 나서는 배경은
- [컨콜 Q&A 리뷰]LG이노텍 IR이 보수적인 까닭은
- [배당절차 변화 바람]하이브·네이버와 달리 정관 바꾸는 카카오
- 스타트업 CFO의 KPI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