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버스 강화하는 하이브, 美·日 거점 설립 연내 70여개 아티스트 입점 예정, '위버스 2.0' 확장성 넓힌다
김슬기 기자공개 2022-05-19 11:23:20
이 기사는 2022년 05월 16일 15:04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하이브가 위버스컴퍼니 사업을 미국과 일본으로 확장한다. 이번 분기에 하이브는 위버스 재팬과 위버스 US 등을 설립, 해외사업 확장 발판을 만드는 것이다. 하이브는 올해 본격적으로 네이버의 브이라이브와 통합, '위버스 2.0'를 선보이는만큼 빠르게 영향력을 넓힐 것으로 보인다.현재 하이브 내 매출 비중을 보면 국내 매출 못지 않게 아시아와 북미 지역 매출 규모가 크다. 주요 아티스트인 방탄소년단(BTS)를 비롯, 투모로우바이투게더(TXT), 세븐틴 등도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권에서 인기가 많은 데다가 이타카홀딩스 인수로 해외 아티스트 등을 보강한 덕이다.
◇ 위버스컴퍼니, 현지 법인 설립 확정
하이브는 지난 4월말 정기 이사회를 열고 위버스 재팬(Weverse Japan), 위버스 미국(Weverse US) 설립에 대한 안건을 통과시켰다. 회사 측은 "사업경쟁력 강화 및 전문화된 사업부문의 역량을 집중함으로써 지속성장을 위한 전문성 및 고도화를 위해 플랫폼 사업을 위해 법인을 설립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위버스컴퍼니는 팬 커뮤니티 플랫폼이자 커머스 플랫폼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곳이다. 2018년 7월 2일 하이브(옛 빅히트엔터테인먼트)로부터 물적분할해서 설립됐고 2021년 1월 상호를 비엔엑스에서 위버스컴퍼니로 변경됐다. 감사보고서가 공개된 2020년부터 위버스컴퍼니는 매년 2000억원대의 매출을 올려왔다.

지난 1년간 네이버와의 협업 및 시너지를 만들어내기 위한 과정을 거쳐왔고 올해 하반기 본격적으로 통합 플랫폼인 '위버스2.0'이 나올 예정이다. 각 아티스트의 공식적인 팬 커뮤니티로 하나의 플랫폼에서 일원화된 팬 경험을 원스톱 솔루션으로 제공한다. 기존 위버스 서비스에서 브이라이브의 장점인 영상, 음성, 채팅 등을 통한 소통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미 최준원 위버스컴퍼니 대표는 "단순 소비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아티스트에게 팬레터를 쓰거나 자신의 공간을 만들고 꾸미거나 다른 팬들과 소통하는 서비스도 지속적으로 만들 예정"이라며 "K팝 아티스트 뿐만 아니라 향후에는 미국, 일본 등 다양한 국가에서 큰 영향력을 보유한 아티스트들도 참여하는 플랫폼으로 만들어 나갈 계획을 가지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 매출 비중 큰 미국·일본, 올해 신규 현지 아티스트 데뷔
올해 본격적으로 위버스와 브이라이브 등 플랫폼이 통합되고 해외로 확장하는 과정에서 현지 법인도 설립하게 된 것이다. 이는 아티스트의 확장과 관련이 있다. 지난해 인수한 이타카홀딩스에는 저스틴 비버, 아리아나 그란데 등이 속해있다.
현재 하이브의 매출 구조를 보면 국내 비중보다는 해외 매출 비중이 크다. 국내 매출 비중은 2019년 25.51%(1481억원), 2020년 27.04%(2153억원), 2021년 17.06%(2143억원) 등이었다. 올해 1분기 국내매출이 796억원을 기록, 총 매출의 27.95%를 차지하기는 했으나 해외매출 비중이 60% 이상이다. 특히 아시아 지역이나 북미 지역이 하이브 매출을 견인하고 있다.

이미 한국에서 검증된 위버스 플랫폼을 해외 현지 아티스트에도 적용, 판을 키우겠다는 구상이다. 올해 기본적으로 네이버 브이라이브에 있던 30개 아티스트가 위버스에 입점, 올해 말 70개 아티스트가 입점될 예정이다. 꼭 하이브 레이블 소속 아티스트가 아니어도 위버스를 활용할 아티스트 역시 추가될 수 있다.
여기에 미국과 일본 현지에서 현지 신인 아티스트를 키우는 글로벌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만큼 위버스 현지법인이 필요했다는 해석이다. 현재 하이브 아메리카는 유니버셜뮤직그룹(UMG) 산하 케펜 레코드와 합작, 글로벌 여성 팝 그룹 데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하이브 재팬이 중심이 되어 신규 보이그룹 론칭을 앞두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KT, 주춤한 영업익…일회성 빼면 탄탄한 펀더멘털 입증
- '범죄도시2'로 본 콘텐트리중앙 수익극대화 전략
- 인크로스, 리오프닝에 '방긋'…취급고 부활
- IPO 강행 쏘카, 원스토어·SK쉴더스와 다른 처지
- 애니모카, 약세장에도 공격적 투자 계속…분기당 40개 목표
- 턴키 가시화 하나마이크론, 메모리PKG 중장기 경쟁력에 힘
- [택시대란, 묘수 찾는 모빌리티업]'하늘의 별따기' 심야택시, 모빌리티업계에 기회일까
- [RE100 앞장선 통신사]'넷 제로'로 가는 길, 통신사 앞에 놓인 장애물은
- "한국 진출 다양한 옵션 고려 중…우선 BNB체인 부터"
- [네이버를 움직이는 사람들]'MZ세대' 최수연 대표, '글로벌 3.0' 선봉장에 서다
김슬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범죄도시2'로 본 콘텐트리중앙 수익극대화 전략
- [네이버를 움직이는 사람들]'MZ세대' 최수연 대표, '글로벌 3.0' 선봉장에 서다
- 베일 벗은 네이버웹툰 구조, 성장 자신감 이유는
- [CFO 워치/네이버]김남선의 발빠른 전략 선회 '자사주 소각 대신 현금 활용'
- 스튜디오드래곤, 역대급 실적에도 아쉬운 IR
- [ESG 모니터/하이브]ESG위원회 설립…'위버스 앨범' 환경 경영 첫 걸음
- 카카오페이, 전면에 내세운 'Revenue TPV' 의미는
- 하이브 '현금창출력 1000억' 돌파 원천은
- 네이버 I&S, '채선주→노세관' 리더십 변화 이유
- 골프존, '피크아웃' 우려 잠재울 무기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