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KT 지분교환]땅부자 KT, 전기차 충전시설 사업 뛰어든다전국 450여개 전화국 부지 보유·개발, 주요 도심지역이라 차량 접근성 좋아
원충희 기자공개 2022-09-14 15:19:26
이 기사는 2022년 09월 13일 08:25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KT와 현대차그룹은 이번 지분교환을 통한 사업제휴 영역 확장 차원에서 전국 각지의 KT 유휴 공간과 네트워크를 활용, 전기자동차(EV) 충전 인프라를 확대할 계획이다. KT는 전국 주요거점에 450여개 전화국 부지를 보유하고 있는데 이후 전화국의 필요성이 떨어지자 유휴 부지를 호텔·임대주택 등으로 개발 중이다.현대차 입장에선 전기차 대중화에 가장 전제조건인 충전 인프라를 확대할 필요성이 크다. KT의 유휴 부동산은 주요 도심지역에 위치해 있어 차량 접근성이 높은 만큼 충전시설로 개발하기에 좋은 여건을 가졌다.
◇KT 밸류에 반영 안된 보유 부동산 가치 8조 넘어
KT는 민영화 전인 한국통신 시절부터 유선전화 인프라 구축을 위해 전국 주요 도심지역에 450여개의 전화국을 세웠다. 그러나 통신기술이 발달하면서 전화국이 많이 필요치 않게 되자 전화국 부지는 유휴 부동산으로 남겨졌다.
2018년 기준 KT의 보유 부동산은 공정가치로 7조7000억원, 당시 시가로는 8조3000억원에 이르렀다. 지난 9일 종가기준 KT의 시가총액이 9조7786억원인 점을 감안하면 부동산 가치가 KT의 밸류에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KT는 호텔을 AI와 IoT 등 자사의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하는 테스트베드로 활용 중이다. 음성인식과 터치스크린으로 객실기기를 제어하고 무인 자율주행로봇이 기본용품과 음식 등을 직접 배달해 주는 형태다. 노보텔 앰배서더 서울 동대문에 AI 객실서비스 '기가지니 호텔'이 대표적이다.
◇전기차 대중화 전제조건 '충전시설 확대'
KT와 현대차 지분교환에는 사업제휴 영역 확장의 뜻도 포함돼 있다. 전국 각지에 있는 KT의 유휴 공간과 네트워크를 활용해 전기차 충전인프라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KT의 전화국 부지는 주요 도심지역에 위치해 있어 차량 접근성이 좋은 곳이다. 이를 중심으로 충전생태계를 구축하고 확산할 계획이다.
전기차 대중화의 기본 전제조건은 충전시설 확대다. 충전소 수가 적거나 위치가 도심이 아닌 외곽지역에 있다면 전기차 사용자들이 불편을 겪을 수밖에 없다. 현대차 입장에선 내연기관 위주의 사업구조를 전기차로 전환하기 위해 인프라 확보가 필수다.
국내 전기차 보급량은 가파르게 증가하는 추세로 환경부에 따르면 2019년 3만5000대에서 2021년 10만400대로 늘었다. 정부 보조금 지원에 힘입어 올해는 20만7500대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충전인프라 시장도 2023년에는 71조원(550억달러), 2030년에는 420조원(3250억달러)수준으로 6배가량 불어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SK그룹(시그넷EV)과 롯데그룹의 롯데정보통신(중앙제어), 한화솔루션(한화모티브), LG전자와 GS그룹 등 국내 대기업들도 앞 다퉈 전기차 충전기 인프라 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소니드, 뉴코리아전자통신과 'AI 로봇 재난·위험 방지 사업' 맞손
- '매출 5조' 에코프로, 창사 후 최대 실적 달성
- '수출 확대' 신성이엔지, 영업익 800% 성장 성과
- 롯데케미칼, '우리사주·구주주' 실권 불구 유증 성공
- 최대 4000억 공모채 추진 CJ제일제당, 대표주관만 5곳
- [Korean Paper]보금자리론 급증 대비 주금공, 스트레이트본드 첫 발행
- A급 SK렌터카, 고민 흔적 가득한 '만기·금리밴드' 구성
- SK케미칼, 3년만에 공모채 추진
- [케이뱅크 IPO]상장 철회 공식화…증권업계 "예견된 수순"
- IB 베테랑에 사령탑 맡긴 DB금투, 2018년 돌풍 재현하나
원충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인벤토리 모니터]삼성전자, 메모리 적자전환…재고 밀어내기 대가
- [인벤토리 모니터]SK하이닉스, 15조 돌파한 재고…평가손실 언제까지
- 마케팅 못하는 LG?
- '아이엠-타다', 규모의 경제...카카오 대항 위해 맞손
- 삼성SDI, 73.5만톤 NCA 양극재 확보…향후 플랜은
- [중국 리오프닝 나비효과]엔픽셀, 첫 IP '그랑사가'로 유니콘 기반 다진다
- [중국 리오프닝 나비효과]스마일게이트, 중국몽 힘입어 '2조 클럽' 넘본다
- [CFO워치/LG디스플레이]김성현 전무, 하반기 '흑전' 기대감 드러낸 이유
- [엔터테인먼트 2023]YG, 새 걸그룹에 달린 '원 IP 리스크'
- NHN클라우드, 몸값 1조 인정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