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진머티리얼즈 밸류, SK넥실리스 매각 때와 비교해보니 동박 캐파 6.4만톤, 1만톤당 40% 프리미엄…일렉포일 20여년 투자 결실
원충희 기자공개 2022-10-04 14:20:32
이 기사는 2022년 09월 30일 07:36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롯데케미칼의 일진머티리얼즈 인수가 임박한 가운데 매물인 지분 53.3%의 가격이 2조원 중반대로 알려졌다. 시장가치 1조4000억원 대비 80~90%의 경영권 프리미엄이 반영된 가격으로 동박(일렉포일)이 뜨는 분야이긴 하나 높은 밸류가 눈길을 끈다.앞서 SKC가 인수한 SK넥실리스와 비교할 경우 생산능력(캐파, CAPA) 1만톤당 40%의 프리미엄이 붙었다. 인수가격에 대한 의문은 제기될 수 있지만 일진그룹의 20여년 동박 투자에 대한 값어치를 확인할 수 있는 딜이란 평가다.
◇인수가 2.5조 가정시 PER 62배, PBR 3.6배, EV/EBITDA 36배
현재 메이저 동박 제조업체는 SK넥실리스와 중국 왓슨, 대만 창춘, 일진머티리얼즈 등이 꼽힌다. 국내에선 SK넥실리스와 일진머티리얼즈가 양대 산맥이다. 롯데케미칼의 일진머티리얼즈 인수가는 2조5000억~2조7000억원으로 얘기되고 있다. 2019년 SK넥실리스 인수 때에 비하면 밸류 수준은 어느 정도일까.

하나증권에 따르면 SKC는 당시 동박업체 KCFT(현 SK넥실리스)의 경영권 프리미엄을 포함한 지분 100%를 약 1조2000억원에 인수했다. 2018년 기준 주가수익비율(PER) 28배, 주가순자산비율(PBR) 5배, 에비타 멀티플(EV/EBITDA)은 17배 수준이었다. 2018년 당시 KCFT의 동박 캐파가 2만톤이었음을 감안하면 1만톤당 기업가치는 약 6000억원 수준이다.
롯데케미칼의 일진머티리얼즈 인수가를 2조5000억원으로 가정할 경우 올해 기준 PER 62배, PBR 3.6배, EV/EBITDA 36배에 해당한다. 말레이시아 신규 공장 가동 정상화에 따른 2023~2024년 이익 추가확대 및 최근 3년간 배터리 관련 업체의 밸류에이션 상향을 감안하더라도 인수금액이 높은 편이다.
또 지분율과 인수금액을 일진머티리얼즈의 현재 동박 캐파(6만4000톤)에 반영할 경우 1만톤당 약 8400억원의 가치로 계산된다. 이는 SKC가 KCFT 인수 당시 계산한 가치 6000억원 대비 40% 높은 수준이다.
◇1978년부터 일렉포일 개발·투자, 2001년부터 2차전지용 동박 상용화
일진머티리얼즈는 전자산업의 필수소재인 일렉포일(Elecfoil)을 국내 최초로 개발한 곳이다. 동박이라 불리는 일렉포일은 구리를 고도의 공정기술을 통해 얇게 편 막으로 2차전지 음극재에 들어가는 핵심소재다. 얇으면 얇을수록 더 많은 음극활물질을 담을 수 있어 배터리 용량을 늘리고 무게를 가볍게 할 수 있다.

일진그룹 창업주 허진규 회장은 1978년부터 동박 국산화를 추진했다. 대규모 투자에도 불량률이 높아 상용화에 실패했으나 1988년 불량률이 낮고 가격경쟁력이 높은 PCB용 동박 생산에 성공했다. 2001년에는 이를 바탕으로 2차전지용 동박 상용화를 추진했다.
이에 힘입어 일진머티리얼즈는 동박 제조분야 국내 대표 기업으로 입지를 굳혔다. 일진머티리얼즈의 밸류에는 전기자동차, 에너지저장시스템(ESS) 등 중대형 2차전지 수요가 급증하면서 핫하게 떠오른 배터리 소재인 동박의 강세가 반영됐다.
스마트폰 배터리 1대에 사용하는 일렉포일은 3g 정도지만 전기차 배터리에는 15㎏ 이상이 소요된다. 이번 인수가 성사될 경우 일진그룹의 동박 사업 20여년 투자의 값어치를 알리는 딜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 모니터]오아시스, 공모가 하단 어려울 듯… ‘고 or 스톱’ 기로
- SK하이닉스, 회사채 2.6조 수요…장·단기 온도차 극명
- 국민은행 신종자본증권 추진…美고용지표 '변수'
- '애플의 힘' LG이노텍, 2.8조 수요 모였다
- 신세계디에프, 단기 조달 지속 '364일 CP'
- 호텔신라, 2년물 전략 또 통했다…'1.2조' 수요
- [신한은행 차기 리더는]정상혁 신한은행장 선임…능력 검증 마친 준비된 CEO
- [Company Watch]인크로스, AI 큐레이션 커머스 T딜 성장 '퀀텀점프'
- 위메이드, '팬토큰'으로 리스크 줄이고 유입 늘린다
- 네이버, 'ZHD·라인·야후재팬' 3자합병 노림수는
원충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네이버, 'ZHD·라인·야후재팬' 3자합병 노림수는
- [카카오, SM엔터 지분투자]이수만 지분서 '2대주주'로 방향 선회…왜?
- [모빌리티 플랫폼 지각변동]택시·렌트카만으로 어렵다…영토 확장 어디까지
- [인벤토리 모니터]삼성전자, 메모리 적자전환…재고 밀어내기 대가
- [인벤토리 모니터]SK하이닉스, 15조 돌파한 재고…평가손실 언제까지
- 마케팅 못하는 LG?
- '아이엠-타다', 규모의 경제...카카오 대항 위해 맞손
- 삼성SDI, 73.5만톤 NCA 양극재 확보…향후 플랜은
- [중국 리오프닝 나비효과]엔픽셀, 첫 IP '그랑사가'로 유니콘 기반 다진다
- [중국 리오프닝 나비효과]스마일게이트, 중국몽 힘입어 '2조 클럽' 넘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