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금융 80% 출자' 프론트원 펀드, 바늘구멍 경쟁 7곳 운용사 도전장, 디캠프 관련 기업 최근 딜소싱 창구로 각광
양용비 기자공개 2022-10-14 14:18:42
이 기사는 2022년 10월 12일 15:12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국성장금융투자운용이 진행하는 ‘프론트원(Front1) 펀드(3차)’의 위탁운용사(GP) 선정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이다. 총 120억원의 위탁운용 금액을 차지하기 위해 7개 운용사가 출사표를 던졌다.12일 한국성장금융투자운용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 진행한 프론트원 펀드(3차)에 △마그나인베스트먼트 △마젤란기술투자 △스마트스터디벤처스 △아이피파트너스-비엠벤처스 △어니스트벤처스 △플랜에이치벤처스 △하나벤처스-제피러스랩 등 7개 운용사가 제안서를 제출했다.
마그나인베스트먼트의 경우 이번이 프론트원 펀드의 두 번째 도전이다. 지난해 진행한 프론트원 펀드(2차) 디데이 리그에도 출사표를 냈지만 최종 위탁운용사로 선정되진 않아 아쉬움을 삼켰다.
1개 운용사만이 위탁운용사로 낙점되는 만큼 7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번 출자사업에는 성장사다리펀드가 100억원, 은행권청년창업재단(디캠프)이 20억원을 배정했다. 위탁운용사는 총 120억원을 거머쥐는 셈이다.

이번 출자사업은 한국성장금융투자운용의 출자 비율이 80%를 차지한다. 위탁운용사는 최소 30억원만 추가로 모집해 150억원으로 펀드를 결성할 수 있다. 모펀드 운용사의 출자 비율이 낮아지는 최근 추세와는 달라 신생 벤처캐피탈을 중심으로 도전장을 내민 것으로 풀이된다.
해당 펀드 운용사는 프론트원이나 디캠프 연관기업에 약정 총액의 60% 이상을 투자해야 한다. 프론트원이나 디캠프 입주 기업이나 프로그램 참여 기업 등이 이에 해당한다. 특히 디캠프의 스타트업 데모데이인 디데이 출전 기업에는 50억원 이상을 의무적으로 투자해야 한다.
디캠프가 2013년부터 진행한 디데이는 최근 초기 기업 발굴의 무대로 각광받고 있다. 데카콘(기업가치 10조원 이상)으로 부상한 두나무도 2014년 디데이를 거쳤다. 핀테크 유니콘(기업가치 1조원)인 토스도 디데이 출신이다.
뱅크샐러드와 8퍼센트, 삼쩜삼, 캐시노트, 핀다 등 핀테크 기업도 디데이 무대에 올랐던 대표적인 기업이다. 한국 최초로 설립된 가상화폐 거래소 코빗은 2013년 7월에 출전해 2017년 넥슨에 인수됐다.
벤처캐피탈업계 관계자는 “최근 경기 침체와 맞물려 스케일업 투자에 대한 부담이 커지면서 초기 투자를 많이 검토하고 있다”며 “디캠프 프로그램이나 디데이 참여했던 기업 가운데 우수한 초기 기업이 많아 최근 각광 받는 딜 소싱 창구로 떠오르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프론트원 펀드 디데이 리그 위탁운용사로 선정된 크릿벤처스도 올해 300억원 규모로 펀드를 결성해 디데이 출신 포트폴리오를 차곡차곡 채우고 있다. 비대면 진료 플랫폼 업계 선두주자인 ‘닥터나우’ 뿐 아니라 미국 부동산 투자 구매 플랫폼인 ‘빌드블록’에도 베팅했다. 모두 디데이에서 마이크를 잡았던 기업이다. 웹툰 제작자를 위한 독자 반응 분석 솔루션을 개발해 운영하는 오늘의 웹툰도 마찬가지다.
도전장을 내민 운용사 관계자는 “디캠프가 진행하는 오피스아워, 디데이 등에 참여하면서 기발한 아이디어를 가진 스타트업을 다수 발견했다”며 “관련 펀드를 결성해 집중 투자하기 위해 이번 출자사업에 도전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VC 팔로우온 투자파일]유안타인베, '바이오녹스' 시리즈B 브릿지 투자 견인
- 브랜드엑스, 일상복까지 점령 판매량 '고공행진'
- 케이피에스, 세기리텍 품고 실적 '퀀텀점프'
- 정태영 부회장 “한국 페이먼트 이정표 되는 날”
- 맞춤 수면시대 연 코웨이 '비렉스 스마트 매트리스'
- [증권사 IB, 유상증자 비즈니스 전략]'Industry3부' 신설 효과, NH증권 코스닥 실적 '최대'
- 시노펙스, 국내 최초 나노급 ePTFE 설비 구축
- [챗GPT발 AI 대전]국내 첫 GPT-3 서비스 꺼낸 SKT, 7년을 갈고 닦았다
- [삼성SDI 로드 투 아메리카]해외 R&D 허브 보스턴, 배터리 경쟁력 백년대계 담당
- [챗GPT발 AI 대전]엔비디아 GPU에 도전하는 국내 팹리스들
양용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김희석 전 하나대체 대표, 아가방 '자산운용사' 이끈다
- 펜타스톤인베 CEO, 정홍준 포스코기술투자 CIO '낙점'
- HB인베스트, '원포인트' 인사 단행…고영훈 이사 승진
- 디티앤인베·코로프라넥스트, '두번째' 펀드 동행한다
- [thebell interview]최은주 모태펀드 본부장 "출자 심사 '수익성'에 초점"
- SVB 사태에 한숨 돌린 VC, 후폭풍 불안감도
- 성장금융 핀테크 혁신펀드 4차, 위탁운용사 3곳 낙점
- '회수재원 활용' 모태펀드 2차 출자, 감소한 예산 '상쇄'
- [모태 2023 1차 정시출자] '격전지' 여성기업, 7곳 걸러내고 '3파전' 돌입
- [모태 2023 1차 정시출자] '6곳 출사표' K-문화 M&A, 운용사 면면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