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리포트]크레이튼, 인수 반년만 DL 핵심 자회사 '등극'예상보다 빠른 수익성 개선세…지주사 연간 영업이익 목표치 ‘98%’ 달성
이정완 기자공개 2022-11-09 07:01:44
이 기사는 2022년 10월 28일 17:50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DL그룹 사상 최대 규모 M&A(인수·합병)로 품은 미국 화학기업 크레이튼이 인수 6개월 만에 지주사 DL의 알짜 자회사로 완전히 자리매김했다. 올해까진 인수 관련 비용 처리에 나설 예정이었으나 예상보다 많은 영업이익을 거둔 덕에 실적 개선세가 빨랐다. 이 덕에 DL은 올해 영업이익 목표치를 3분기 만에 대부분 달성한 상황이다.2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DL은 올해 3분기까지 매출 3조8427억원을 기록해 지난해 같은 기간 1조7137억원보다 124% 올랐다. 영업이익은 2608억원으로 전년 동기 1879억원 대비 39% 늘었다.
영업이익 증가에 크게 기여한 핵심 자회사가 크레이튼이다. 3분기까지 크레이튼 영업이익은 709억원으로 모든 연결 종속회사 중 가장 많았다. 2위인 DL케미칼이 649억원의 영업이익을 나타냈다.

지난해 9월 자회사 DL케미칼을 통해 크레이튼 지분 100%를 16억달러(약 1조9000억원)에 인수하기로 한 DL은 지난 3월 15일 인수 절차를 모두 마쳤다. 처음으로 실적이 반영된 올해 1분기 크레이튼은 61억원의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사실 크레이튼 자체만 놓고 보면 흑자였지만 DL이 세운 전략이 있었다.
DL은 크레이튼 인수 후 올해 안으로 인수 관련 비용 처리를 모두 마치려 했다. DL이 크레이튼 인수 후 발표한 IR(Investor Relations) 자료에 따르면 크레이튼은 DL 인수 후 올해 2134억원의 영업이익을 벌 것으로 전망됐으나 M&A 비용, 재고자산·유형자산 관련 비용을 털어낸 후 연말 193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할 예정이었다.
당시 IR 자료를 통해 "2023년 이후에는 매출원가 상승 영향 제거로 정상적인 영업이익이 시현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크레이튼의 영업이익이 연초 예상했던 것보다 늘면서 수익성이 더 빠르게 개선됐다. 크레이튼은 DL 인수 후 3분기까지 2797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매출은 1조6559억원이었다. 케미칼 사업부의 제품 가격을 선제적으로 인상한 덕에 실적이 올랐다.
DL은 지난 7월 재고자산 재평가에 따른 1380억원의 비용 인식도 마쳤다고 밝혔다. 이 덕에 남은 4분기 처리할 비용 부담도 크게 줄어들 전망이다.

크레이튼의 수익성 상승 덕에 DL이 크레이튼 인수 후 제시한 연간 영업이익 목표치 달성도 무리가 없을 전망이다. DL은 연초 올해 매출과 영업이익 목표치를 각 4조8002억원, 2652억원으로 공개한 바 있다. DL은 3분기까지 매출 3조8427억원으로 매출 목표치는 80% 달성했는데 영업이익은 이미 98%를 채웠다.
크레이튼 외에 다른 자회사도 영업이익에 크게 기여했다. 2020년 인수한 의료용 소재 생산기업 카리플렉스는 3분기까지 매출 2229억원, 영업이익 438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매출 1831억원, 영업이익 314억원 대비 각 22%, 39%씩 상승했다. 민자 에너지 디벨로퍼인 DL에너지도 올해 3분기 누적 매출 1086억원, 영업이익 603억원을 벌어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5% 늘고 영업이익은 52% 증가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VC 팔로우온 투자파일]유안타인베, '바이오녹스' 시리즈B 브릿지 투자 견인
- 브랜드엑스, 일상복까지 점령 판매량 '고공행진'
- 케이피에스, 세기리텍 품고 실적 '퀀텀점프'
- 정태영 부회장 “한국 페이먼트 이정표 되는 날”
- 맞춤 수면시대 연 코웨이 '비렉스 스마트 매트리스'
- [증권사 IB, 유상증자 비즈니스 전략]'Industry3부' 신설 효과, NH증권 코스닥 실적 '최대'
- 시노펙스, 국내 최초 나노급 ePTFE 설비 구축
- [챗GPT발 AI 대전]국내 첫 GPT-3 서비스 꺼낸 SKT, 7년을 갈고 닦았다
- [삼성SDI 로드 투 아메리카]해외 R&D 허브 보스턴, 배터리 경쟁력 백년대계 담당
- [챗GPT발 AI 대전]엔비디아 GPU에 도전하는 국내 팹리스들
이정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LS네트웍스, 올해도 사모채 발행 전략 이어간다
- [이사회 모니터]DB금융투자, '관 출신' 선호...전군표 전 국세청장 영입
- DB금투, 단기차입 한도 '10년만에' 늘렸다
- [이사회 모니터]한화투자증권, 사외이사 '구인난?'...이사회 구성 줄였다
- 코오롱, 올해도 사모채 일변도 이어간다
- 공모채 발행한 ㈜한진, 사모채 또 찍었다
- [이사회 분석]하이투자증권, DGB금융 색채 이어간다
- 공모채 미루는 현대위아, 이번에도 '현금상환'
- PF 리스크 대비 하이투자, '사후관리' 부서 힘싣는다
- [IPO 모니터]에스바이오메딕스, 수요예측 '연기'...특례상장 심사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