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글로벌 전략'에 방점 찍힌 조직개편 대외 불확실성에 대응 조직 신설해 역량 강화 도모
김혜란 기자공개 2022-12-02 13:08:14
이 기사는 2022년 12월 01일 16:28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SK하이닉스가 반도체 산업을 둘러싼 지정학적 이슈 대응 역량을 키우기 위해 관련 조직을 강화했다. '글로벌(Global)전략'과 '글로벌 오퍼레이션(Global Operation) 태스크포스(TF)'를 신설해 해외 사업 전략을 보도 촘촘하게 챙기기로 했다.SK하이닉스가 1일 발표한 '2023년 조직개편과 임원인사'의 핵심 키워드는 '글로벌'로 요약된다. 반도체 사업은 대외 변수에 따라 불확실성이 커지는 리스크가 있다 보니 여기에 기민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서 관련 조직을 신설해 대응키로 한 것으로 보인다.
우선 SK하이닉스는 '미래전략' 산하에 글로벌 전략 조직을 새롭게 만들었다. 글로벌 전략은 글로벌 사업을 펼치는 SK하이닉스가 국제 시장 동향과 정세를 보다 발 빠르게 파악하고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한 조직이다.
이와 함께 최고경영자(CEO) 산하에 '글로벌 오퍼레이션TF'도 구성했다. 이 TF의 수장은 차선용 미래기술연구원 담당이 겸직한다. TF는 SK하이닉스의 글로벌 생산거점의 지역별 이슈를 미리 파악해 빠른 의사결정을 내리기 위해 만들어졌다. 또 기존 'GSM(Global Sales & Marketing)' 조직도 해외영업을 맡는 '글로벌 세일스'와 '마케팅·상품기획'으로 나눠 각 조직의 전문성을 높이기로 했다. GSM은 김주선 GSM 담당임원이 이끈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연말 인사에서 사장단에 대거 변화를 줬던 만큼 올해는 사장단이나 임원진에 큰 변동은 주지 않았다. 작년에 곽노정·노종원 부사장을 사장으로 승진시키고 박정호 부회장-곽노정 사장 각자 대표 체제를 만든 만큼, 이 체제를 유지시켜 안정을 꾀한 것으로 보인다. 대신 불확실성이 커지는 글로벌 사업에 대한 대응 역량을 보강하기 위한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미국 인텔 낸드사업부(솔리다임) 인수, 8인치(200mm) 파운드리 키파운드리 인수 등으로 해외 고객 기반이 훨씬 넓어진 만큼 글로벌 사업 대응 조직을 확 키운 것으로 해석된다. 또 SK하이닉스는 중국 우시 공장에서 D램을 생산 중이며 파운드리 자회사 SK하이닉스시스템아이씨(IC)도 중국에 거점을 두고 사업을 영위 중이다.
이번 인사에 대해 SK하이닉스 측은 "최근 반도체 산업의 다운턴 상황을 슬기롭게 극복하기 위해 속도와 유연성, 그리고 전문성과 다양성을 높이는 쪽으로 조직을 정비했다"며 "나아가 더 큰 미래 성장을 도모해 위기를 기회로 바꿔 간다는 방향성에 맞췄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미샤' 에이블씨엔씨 매각, 숏리스트 3~4곳 '선정'
- 한국투자증권, 후순위채로 5000억 자본확충
- SK엔무브, 회사채 1.51조 수요 몰려...증액 유력
- '공모채 데뷔' 신세계건설, 수요예측서 대량 '미매각'
- 감성한 기업은행 부행장, IBK투자증권 부사장으로
- 물적분할 반대한 SK이노 주주들, SK온 IPO 찬성할까
- 소액주주와 ‘이례적’ 직접 소통, 확 달라진 SK그룹 주총
- [이사회 분석]에쓰오일, ESG위원회 신설 2년 만에 승격
- 혁신성장 재정모펀드 운용사에 '성장금융·신한운용' 낙점
- '상폐사유 발생' 비덴트…특수관계인 거래 문제 됐다
김혜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삼성전자 RE100 달성률이 20%뿐? 압도적 국내 1위"
- 호반 편입 2주년 대한전선 '송종민호'로 새출발
- 딥엑스, 현대·기아차와 로봇용 AI 반도체 협력 의미는
- DB하이텍의 '물적분할 후 기업가치 6조 달성'은 가능할까
- 겸직 떼는 박정호 부회장, SK하이닉스에만 '올인' 배경은
- [캐시플로 모니터]곳간 든든해진 한미반도체…빛 발한 현금흐름 관리
- SK실트론, '장기공급계약' 덕에 반도체 불황에도 날았다
- '사업 다각화' 모색 LS일렉트릭, 전기차 충전 시장 진출
- 삼성전자, 중소 팹리스 시제품 제작에 5000억 지원한다
- [thebell note]메모리의 위기, 비메모리의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