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bell interview/웹3.0 개척하는 크릿벤처스] 오종욱 대표 "마수걸이펀드, 3년 운용 후 성과 극대화"③'인프라·앱' 투자 양대 축 설정, 장기적 관점에서 베팅
양용비 기자공개 2023-01-27 08:10:06
[편집자주]
크릿벤처스가 '웹3.0'을 신수종사업으로 낙점했다. 미래 사회를 혁신할 핵심 기술로 판단하고 관련 투자를 위한 채비에 나섰다. 미국에 투자 거점을 마련해 글로벌 웹3.0 투자업계의 파이오니어가 되겠다는 포부다. 더벨은 크릿벤처스의 웹3.0 투자 로드맵을 살펴본다.
이 기사는 2023년 01월 20일 13:53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웹3.0 분야 기업이 투자를 받고 싶을 때 가장 먼저 생각나는 펀드가 되고 싶다. 궁극적으론 크릿벤처스USA가 웹3.0 투자업계의 고유명사 같은 벤처캐피탈이 되는 게 목표다."오종욱 크릿벤처스USA 대표(사진)는 최근 더벨과 만나 "웹3.0은 현재 성장하는 분야라 10년 이상의 업사이드를 보고 투자하는 영역"이라며 "그런 맥락에서 크릿벤처스USA는 웹3.0이라는 롱텀비전을 쫓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초 크릿벤처스에 합류한 그는 크릿벤처스USA 설립과 함께 사령탑을 맡았다. 웹3.0 분야 투자를 강화하기 위해 설립한 크릿벤처스USA의 수장을 맡은 이후 관련 펀드도 결성하면서 빠르게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있다.

주로 ICT 모든 영역에 투자해왔다. 인공지능(AI), 5G, 블록체인, 플랫폼 등의 초기기업을 발굴하는데 정평이 난 벤처캐피탈리스트다. 당근마켓(지역기반 플랫폼)이나 퀄슨(에듀테크), 정육각(식품 커머스) 등에 투자했다. 신산업에 대한 호기심이 남다르다고 평가받는 그가 향후 산업 패러다임 전환을 이끌 기술로 낙점한 것이 바로 '웹3.0'이다.
그는 "크릿벤처스USA를 설립하기 위해 오랜 기간 준비했다"며 "8~10개월의 준비 과정을 통해 장기적인 비전을 설정하고 기회를 창출하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내에는 웹3.0 영역에서 성공 가능성이 높은 회사가 많다"며 "컴투스가 보유한 인프라와 네트워크를 활용해 지원하려 한다"고 덧붙였다.
당분간은 한국과 미국을 오가면서 투자 활동을 전개할 예정이다. 해외에서도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하지만 국내에서도 웹3.0 투자를 위한 제반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국내와 미국을 적절하게 오가면서 글로벌 펀드레이징을 위한 기반을 닦을 계획이다.
크릿벤처스USA가 투자하려는 곳은 웹3.0 대중화에 기여하는 기업이나 프로젝트다. 대중화를 위한 로드맵을 가진 기업에 선제적으로 투자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웹3.0 관련 인프라가 갖춰져야 한다고 판단해 관련 기업도 살펴보고 있다. 웹3.0 사용자 데이터분석 기업인 시그널에 투자한 것도 인프라 관련 기업이기 때문이다.
오 대표는 “웹3.0 관련 인프라와 어플리케이션(앱)을 투자의 양대축으로 보고 있다”며 “국내에선 웹2.0에서 웹3.0로 전환을 추진하지만 프로세스를 고민하는 기업을 초기부터 발굴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웹3.0 전용 펀드도 이같은 목표롤 이행하기 위해 지난해 8월 결성됐다. 크릿벤처스USA가 결성한 마수걸이 펀드인 만큼 2~3년 운용을 통해 성과를 극대화하겠다는 목표다. 향후에는 운용자산(AUM)을 불려 새로운 기회도 창출하겠다는 포부다.
그는 "미국에 웹3.0 관련 우수한 딜들이 많지만 해당 딜을 소싱하거나 투자할 수 있는 벤처캐피탈이 한국에는 많지 않다"며 "이규창, 마이클리 벤처파트너 등과 협력해 유망한 딜들을 성사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현대차증권, 후순위채 증액 성공…1200억 자본 확충
- SK텔레콤, 신종자본증권 2배 수요 모았다
- '2차전지 뜨겁네' 동화일렉트로라이트, 1200억 프리IPO 성료
- [넘버원 K-가전 기술]경동나비엔, 'OK or NG' 검사로봇의 품질관리
- 시프트업, 밸류업 무기는 '콘솔 신작'
- [모빌리티 플랫폼은 지금]곳간 비어가는 타다, 토스·쏘카 '추가 출자'는 언제
- 일본 반도체 거점 늘리는 삼성전자, 세 가지 쟁점 보니
- [글로벌 빅테크와 기울어진 운동장]최초 인앱결제 강제 방지법, 규제 우회에 '유명무실'
- [모빌리티 플랫폼은 지금]우티, 유한회사 한계…우버 의지에 달린 생존 가능성
- "베트남 IT 교육 선점…이제는 B2B로 눈 돌린다"
양용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스타트업 1st 감사보고서 분석]김재욱 열매컴퍼니 대표 "내년 하반기 상장 목표"
- [스타트업 1st 감사보고서 분석]투자 활동 활발해진 열매컴퍼니, 신사업 '드라이브'
- [스타트업 1st 감사보고서 분석]열매컴퍼니 외형 성장 비결, 미술품 조각 투자 '무패'
- [VC People & Movement]옐로씨매니지먼트 주우식 대표, 신생 VC도 진두지휘
- [세컨더리펀드 VC 열전]노련미 앞세운 메이플투자·IBK캐피탈, 연합전선 구축
- [VC 팔로우온 투자파일]'면역항암' 에스씨바이오, 110억 시리즈A 유치 매듭
- [VC 투자기업]국내 최초 KC인증 통합 솔루션 '룩', 웹 출시 임박
- 'VC 1호 스팩 상장' 노리던 HB인베, 결국 직상장 선회
- [VC People & Movement]HB인베스트먼트, 황유선 단독 대표 체제로 전환
- VC 심사역이 출시한 '운전선생', 첫 외부 투자 유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