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 전략통 수혈' 클리오라이프케어, 건기식 흑자 원년 노린다 '경영관리·사업구조 혁신' 전문가 배치, 온라인·브랜딩 강화 적자 탈출
변세영 기자공개 2023-01-26 07:25:38
이 기사는 2023년 01월 25일 13:53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클리오의 건강기능식품(건기식) 자회사인 클리오라이프케어가 그룹 전략가인 윤성훈 부사장을 새 수장으로 맞아 변신을 시도하고 나섰다. 숫자에 능통한 윤 부사장 체제에서 클리오라이프케어는 사업을 효율화하고 화장품과 건기식의 마케팅 시너지를 확대해 흑자전환에 고삐를 당긴다는 방침이다.㈜클리오는 지난해 말 2023 인사에서 윤성훈 부사장을 클리오라이프케어 대표이사로 선임했다. 클리오라이프케어는 클리오의 100% 자회사로 건기식을 전개하는 업체다. 윤 부사장은 클리오 경영전략본부장과 클리오라이프케어 대표이사 직함을 동시에 맡게 됐다.
윤 부사장은 부산대학교 회계학과를 졸업했다. 이후 효성그룹과 한솔그룹에서 경영관리 업무와 사업구조 혁신을 주도했다. 이 외에도 코텍에서 COO·CFO를 역임하며 재무 역량을 인정받았다.
윤 부사장은 ㈜클리오의 경영전략본부를 전담하며 물류 등 전반에 디지털 시스템을 도입해 인프라를 효율화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는 실적으로도 이어졌다. 윤 부사장 입사 초기(2014년) ㈜클리오의 매출은 연간 400억대에 그쳤지만, 2021년 연결기준 2327억원으로 4배 이상 성장했다.
㈜클리오는 사업 다각화 차원에서 2020년 건기식에 도전했다. 당시 자본금 5억원을 100% 출자해 클리오라이프케어를 출범했다. 화장품 유통망을 활용해 건기식의 매출 볼륨을 확대하고자 했지만 아직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클리오라이프케어는 법인 설립 첫해인 2020년 2300만원 순손실을 기록했다. 2021년부터는 본격적으로 영업망을 확장했다. 매출액 11억원, 순손실 6억2300만원을 각각 기록했다. 지난해에는 자체 건기식 브랜드 '트루알엑스'를 론칭했는데도 적자 폭은 더욱 커졌다. 지난해 3분기 말(누적) 기준 매출액 14억2500만원, 순손실 10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적자가 늘면서 자산(9억5160억원)보다 부채(21억원)가 많은 자본잠식에 빠져있다.
건기식 사업이 좀처럼 빛을 발하지 못하는 상황 속에서 ㈜클리오는 2021년 클리오라이프케어에 출자한 5억원(장부가) 전액을 손상차손 처리했다. 클리오라이프케어의 장부가는 '0원'이다.
새로운 수장을 맞은 클리오라이프케어는 건기식 사업 안정화에 드라이브를 건다는 방침이다. 무엇보다 온라인 확장에 총력을 건다. ㈜클리오의 공식몰인 클럽클리오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클리오는 자사 제품을 자사몰과 제휴몰 투트랙으로 온라인 유통망을 구축한다. 지난해 3분기(누적) 기준 전체 매출 중 온라인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34%에 이른다. 자사몰 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46% 증가했다.
마케팅 투자를 늘려 브랜딩도 강화한다. 지난해 하반기 클리오라이프케어는 식물성 단백질과 고함량 비타민 등 토탈 헬스케어 라인으로 상품 포트폴리오를 확장했다. 이어 JTBC 스포츠 아나운서 이나연을 신규 광고모델로 세우며 MZ세대 여성을 대상으로 건기식 인지도 제고에 나섰다.
클리오 관계자는 "건기식과 관련해 각 제품 특성에 맞는 신규 유통채널에 진입하고 채널 맞춤형 상품을 출시해 실질적인 매출 증대를 달성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소니드, 뉴코리아전자통신과 'AI 로봇 재난·위험 방지 사업' 맞손
- '매출 5조' 에코프로, 창사 후 최대 실적 달성
- '수출 확대' 신성이엔지, 영업익 800% 성장 성과
- 롯데케미칼, '우리사주·구주주' 실권 불구 유증 성공
- 최대 4000억 공모채 추진 CJ제일제당, 대표주관만 5곳
- [Korean Paper]보금자리론 급증 대비 주금공, 스트레이트본드 첫 발행
- A급 SK렌터카, 고민 흔적 가득한 '만기·금리밴드' 구성
- SK케미칼, 3년만에 공모채 추진
- [케이뱅크 IPO]상장 철회 공식화…증권업계 "예견된 수순"
- IB 베테랑에 사령탑 맡긴 DB금투, 2018년 돌풍 재현하나
변세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방송평가 '최하점' 공영쇼핑, 올해 재승인 문턱 넘을까
- '유니클로 이사 사임' 신동빈 회장, 그룹 컨트롤타워 역할 집중
- [리오프닝 카지노 잭팟 전략]GKL, 기관 경영평가 하위권 탈출 카드 '소비자경영'
- [리오프닝 카지노 잭팟 전략]GKL, '지역 시너지 극대화' 복합리조트 약점 뚫는다
- 메쉬코리아, 'hy표' 라스트마일 눈앞···변수는 이사회 효력
- '재무통 전진배치' 롯데칠성, 수익성 효율화 빛 봤다
- '그룹 전략통 수혈' 클리오라이프케어, 건기식 흑자 원년 노린다
- [2023 승부수]신승호 hy 멀티M&S부문장 "'야쿠르트 아줌마' MD화, 프레딧 경쟁력 제고"
- [이마트24를 움직이는 사람들]최은용 상무, 현장밀착 DNA 'MD 차별화' 키맨
- [이마트24를 움직이는 사람들]신호상 상무, 'MZ 마케팅 달인' 온오프 서비스 혁신 전도사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