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템임플 의식했나' 덴티움, 첫 '배당정책' 수립 3년간 배당총액 전년비 20% 증액…미온적 '주주정책'에서 전향적
최은진 기자공개 2023-02-02 13:25:19
이 기사는 2023년 02월 01일 16:37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국내 임플란트 2위 기업 덴티움도 '주주행동주의'를 의식하는 분위기다. 그동안 소극적이었던 배당을 '정책'까지 만들며 주주들에게 공개했다. 오스템임플란트 등 치과의료기업이 주주환원정책에 미온적이라는 비판이 제기되는 데 따라 선제적으로 나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당기순이익 기준 배당전략을 수립하는 관행과는 다르게 전년대비 배당총액을 기준으로 삼았다.덴티움은 공시를 통해 2023년~2025년 3년간의 배당정책을 공개했다. 배당금총액을 전년 규모의 20% 이상으로 현금배당한다는 게 주요 골자다. 3년으로 기간을 설정한 건 투자자의 예측가능성 제고 하기 위해서다. 주식시장 등의 환경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해당기간이 지난 후 배당정책을 재검토 한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배당금총액은 22억원이다. 배당정책대로면 올해 배당금총액은 4억4000만원 늘어난 26억4000만원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작년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이 764억원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상당히 미미한 수준이다. 그러나 배당 등 주주환원정책에 그리 적극적이지 않았던 과거를 고려하면 꽤 고무적이라는 평가다.
덴티움은 2018년 첫 배당에 나섰다. 주당 150원, 배당금총액은 13억원이었다. 배당성향은 4%에 불과했다. 이듬해 배당을 건너뛰고 2020년 재개했다. 대신 전년도 못한 배당을 고려해 배당성향을 8%로 올렸다. 2021년엔 배당성향이 다시 4%로 축소됐다.

보통 배당정책은 당기순이익 기준 배당성향을 기준으로 정한다. 벌어들인 실적을 주주들에게 환원한다는 의미다. 이를 감안하면 덴티움의 배당정책은 일반적인 관행과는 다소 동떨어져 있다. 순이익이 아닌 전년비 배당금총액을 기준으로 늘려나간다는 얘기다.
하지만 임플란트 등 치과업계가 주주친화정책에서 다소 거리가 멀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덴티움의 이 같은 행보는 눈에 띈다는 평가다. 임플란트 선두기업인 오스템임플란트의 경우엔 2020년 첫 배당에 나섰다. 배당성향은 8%에 그쳤다. 다음해인 배당성향을 13% 올렸다. 업계 3위인 디오는 아예 배당을 하고 있지 않다.
덴티움이 갑작스레 배당정책을 수립한 건 주주행동주의를 의식한 행보로 보는 시각이 많다. 오스템임플란트가 낮은 지배력이 공격의 빌미가 되며 사모투자펀드운용사(PE)로부터 주주제안 등 공격적인 행동주의가 제기됐다. 덴티움 역시 최대주주인 정성민 회장의 지분율이 17.34%에 불과하다. 특수관계자 포함해도 19%에 그친다.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 평가한 ESG 평가등급은 최하위권인 'D'에 불과하다. 환경, 사회, 지배구조 부문에서 각각 D, C, D등급을 받았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코리아와이드-NH증권, 스테리싸이클코리아 인수 완료
- [Korean Paper]한국물 '맏형' 수은, 자금시장단 개편 후 첫딜 '흥행'
- 5년만에 공모채 찍은 맥쿼리인프라, '완판' 성공
- [IPO 모니터]프로테옴텍 수요예측 흥행 실패…밴드하단 미만 확정적
- 스튜디오산타 "전 사업부 개편 작업 완료"
- 삼부토건, 우크라이나 이르핀시와 재건 관련 MOU 체결
- 가온그룹, KT에 '올인원' 프리미엄 신제품 공급
- HL디앤아이한라, 최형진 CFO 합류 후 확 바뀐 조직도
- [쟁글 공시·평가 중단 파장]1위 업체의 사업 중단, 경쟁사에게 기회 아닌 위기로 작용
- [Fab & Lab]산업의 감초 UC 만드는 LS머트리얼즈 생산공장 가보니
최은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오리온바이오로직스, CRO·OEM 선정…中 임상 초읽기
- 전략 바꾼 씨젠 미국법인, 3년만에 적자 배경은
- 한미약품 기술도입 총괄 '이영미 전무' 유한양행으로
- 오리온 손잡은 하이센스바이오, 상장 첫 관문 기평 통과
- [캐시플로 모니터]광동제약, 호실적에도 이례적 '영업창출력' 역성장
- 몸값 4배 격차 '루닛 vs 뷰노' 성과도 소통도 달랐다
- 이오플로우 매각 "미국 진출 위한 결단, 경영은 유지"
- [2023 BIO USA]BD의 향연 올해 관심 더 늘었다, 국내 단독부스 20곳
- 롯데바이오로직스, 출범 1년만에 효자 계열사 됐다
- 상장 추진 디앤디파마텍, GLP-1 경구제 후속용역 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