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 속에 선전한 한미반도체…챗GPT 수혜 부각 매출 줄어도 이익률↑…고마진 '마이크로쏘·TC본더' 주목
원충희 기자공개 2023-02-16 12:57:50
이 기사는 2023년 02월 15일 13:45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미반도체가 연초부터 챗GPT 붐을 탔다. 슈퍼컴퓨터에 필요한 그래픽처리장치(GPU) 제조를 위해선 '광대역폭 메모리 반도체(HBM3, High Bandwidth Memory)'가 필요한데 한미반도체는 여기에 관련된 장비를 납품하는 회사다.HBM3발 매출이 작년에 저조한 실적을 회복시킬 수 있을 지도 관심이 쏠린다. 지난해는 미국 금리인상과 경기침체, 중국시장 불확실성에 따른 반도체 불황으로 부진했지만 마이크로 쏘(micro saw) 국산화 덕에 영업마진은 한층 제고됐다.
◇챗GPT, 오픈AI-엔디비아-SK하이닉스-한미반도체 '밸류체인'
마이크로소프트가 투자한 오픈에이아이(Open AI)가 지난해 12월 공개한 대화전문 인공지능(AI) 챗봇 '챗GPT'가 화제다. 출시 1주일 만에 사용자가 100만명을 넘는 등 획기적 성능으로 주목을 받으면서 관련 수혜주들도 부각되기 시작했다. 반도체 장비제조 전문업체 한미반도체 역시 그 중 하나다.
챗GPT를 작동시키기 위해 필수적인 반도체가 HBM3다. 디램(DRAM) 반도체 여러 개를 수직으로 연결해 데이터 처리 속도를 대폭 끌어올린 것으로 대량의 데이터를 한 번에 보낼 수 있다. 그간 뛰어난 성능에도 불구하고 복잡한 제조공정과 고난이도 기술로 평균 판매단가가 높아 일반 디램보다 활용도가 낮았다.

챗GPT를 가동하는 슈퍼컴퓨터의 GPU로는 엔비디아의 H100이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엔비디아 GPU에는 SK하이닉스의 HBM3가 탑재될 예정이다. 한미반도체는 HBM3 공정에 사용되는 TC 본딩장비를 납품하고 있다. TC 본더는 가공된 웨이퍼(반도체 원판) 위에 개별 칩을 정밀하게 쌓는 반도체 후공정(패키징) 필수장비다. 한미반도체가 챗GPT 관련주로 꼽히는 이유다.
◇마이크로쏘 확대해 2024년까지 연매출 6000억 목표
한미반도체는 지난해 외형적으로는 실적이 저조했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3275억원, 1118억원으로 전년(3731억원, 1224억원) 대비 감소했다. 글로벌 금리인상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국시장 봉쇄 등 각종 악재가 겹친 데다 고정비 부담 증가, 환율 하락, 내부회계 기준 변경에 따른 충당금 설정 탓이다.
다만 같은 기간 영업이익률은 32.8%에서 34.1%로 상승했다. 고부가가치 마이크로 쏘 등의 장비 매출 비중이 늘면서 수익성이 전반적으로 좋아졌다. 반도체 패키지를 절단하는 데 쓰는 마이크로 쏘는 그간 일본이 거의 독점해 왔는데 한미반도체가 2021년 6월 장비 국산화에 성공했다.
시장에서는 한미반도체의 주력제품인 마이크로 쏘가 탑재된 MSVP(Micro Saw Vision Placement) 매출 비중이 30% 수준까지 오른 것으로 보고 있다. 올해는 40%까지 확대될것으로 전망된다. 고마진 MSVP 매출이 늘어남에 따라 수익성도 한층 제고되고 있다.
한미반도체는 2024년까지 마이크로 쏘 장비 관련 매출을 2000억원 이상으로 끌어올려 연매출 6000억원을 달성한다는 목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우리금융지주, 운용 합병으로 규모의 경제 택했다
- [CFO Change]엘앤에프, 투자자 저변 다변화 이끌 '류승헌 부사장'
- [기업집단 톺아보기]'지주회사' 동원산업, HMM 인수 자신감의 원천은
- 신세계百, '부사장급' 상품본부장에 상무 중용 '파격'
- [숨은 진주 SC제일은행]성장 원동력은 'SC' 브랜드 앞세운 '기업금융·WM'
- 진옥동의 싱크탱크…신한미래전략연구소장 교체
- [CFO 워치/우리은행]유도현 부행장, 자본비율 개선에 달린 기업금융 성패
-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과 워런 버핏
- [두산로보틱스 IPO]‘가격차’로 M&A 불발…상장후에도 추가조달 가능성
- [두산로보틱스 IPO]해외 확약비중 국내의 10분의1...반복되는 '역차별 논란'
원충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투자 포트폴리오 리포트/삼성전자]대부업체·위성방송은 왜 출자했나
- [심상찮은 카드사 비용 리스크]우리카드 이재일 상무 1년…'단기조달' 컨트롤 과제
- [심상찮은 카드사 비용 리스크]현대카드 전병구 부사장, 악화된 실질 수익창출력
- [투자 포트폴리오 리포트/삼성전자]이건희·이재용, 2대 걸쳐 챙기는 파트너 '원익IPS'
- [심상찮은 카드사 비용 리스크]삼성카드, 운신폭 좁아진 '수익성 방어'
- [GS건설 파이낸셜 뷰]영업정지 'EOD 위험' 없다
- [조달전략 분석]합병 앞둔 셀트리온, 시장성 조달 재가동
- [CFO's Partner]대우·우투·미래에셋…네이버, CFO 따라 '각양각색'
- [심상찮은 카드사 비용 리스크]KB국민카드, 서은수 전무 앞에 놓인 '충당금 부담'
- [GS건설 파이낸셜 뷰]미리 현금비축 '신의 한수'…가진 돈으로 버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