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클라우드, 모회사로부터 2600억 '자금수혈' 차입금 상환 임박했지만 부족한 현금곳간…모회사 지원 받는다
노윤주 기자공개 2024-03-27 09:22:07
이 기사는 2024년 03월 26일 19시1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네이버가 자회사인 네이버클라우드에 2600억원 상당 자금을 대여하기로 결정했다. 목적은 운영자금 및 차입금 상환 용도다. 네이버클라우드는 데이터센터 '각' 설치 등 인프라투자를 지속하면서 차입금이 증가해왔다. 상환 시기가 도달하면서 모회사인 네이버가 구원투수로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26일 네이버는 100% 자회사인 네이버클라우드에 2600억원을 대여한다고 공시했다. 네이버가 직접 나서서 자금을 빌려준 건 이번이 처음이다. 네이버클라우드 자기자본 72.82%에 달하는 규모다.
만기일은 올해 12월 31일이다. 차입규모와 기간으로 미뤄봐 만기일이 도래한 차입금을 갚기 위해 모회사인 네이버가 자금을 수혈해준 것으로 관측된다. 네이버클라우드 관계자는 "공시내용 외 차입상환 규모, 모회사의 자금수혈 결정 배경 등에 대해서는 대외 공개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우선 내달 중 관계사인 네이버파이낸셜에게 빌린 500억원 규모 단기차입금을 갚아야 한다. 네이버클라우드는 2020년 네이버파이낸셜로부터 500억원을 빌렸고 이미 두차례 상환일자를 연기했었다. 이 외에도 올해 갚아야 할 차입금이 남아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아직 네이버클라우드의 2023년 사업보고서는 공개되지 않았다. 이에 올해 갚아야 할 단기 차입금 규모를 정확히 확인하기 어렵지만 대형 데이터센터 구축 등 지속된 시설투자(CAPEX)로 현금이 부족해 보인다.
2022년 네이버클라우드가 보유한 현금및현금성자산은 835억원이었다. 반면 CAPEX는 2306억원이었다. 그 전 해에는 3332억원을 투자했다. 같은 시기 갚아야 할 장·단기 차입금은 3925억원에 달했다.
이 중 1년 안에 갚아야 하는 단기 차입금과 유동성장기차입금만 3240억원 상당이었다. 2023년에만 3240억원을 갚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같은 시기 비유동부채는 4063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중 만기가 1년 이상 남은 장기차입금은 685억원이었다. 올해부터 갚아나가야 하는 부분이다.
지난 1년간 차입금 증가 유무는 당장 알 수 없지만 모회사인 네이버 2023년 사업보고서를 통해 부채가 증가했다는 것은 확인할 수 있다. 작년 말 기준 네이버클라우드 부채는 그 전해에 비해 2163억원 증가한 1조2321억원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대신밸류리츠, IPO 수요예측 '흥행'…경쟁률 7대 1
- 구조조정 '신호탄'...롯데케미칼-HD현대, 대산 NCC 통합 추진
- "남은 리밸런싱 과제는"…SK, 엄숙한 분위기 ‘끝장토론’
- 케이카 "제3 경매장 연말 개장한다"
- 취임 9일만에 재계 만난 이재명, 확연한 '친기업 행보'
- '이 대통령 밀착' 이재용 회장, 'AI·반도체·바이오' 투자 강조
- [2025 BIO USA]'발표세션' 첫 출격 삼진제약, 재기 노리는 코오롱티슈진
- [공모주 시장 지각변동]주관사서 이어지는 볼멘소리 "책임 늘고 과실 줄었다"
- AI콴텍, 퇴직연금 RA일임 개시 눈앞…농협은행과 맞손
- 브이아이운용, '국채+삼성전자+공모주' 3중 전략 택한 배경은
노윤주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FSK L&S는 지금]코로나 이후 지속된 부진, 미·중 갈등에도 '기회는 있다'
- [위믹스 판결문 뜯어보기]베일 벗은 거래소 상장 계약…같은 코인·다른 내용
- [FSK L&S는 지금]초기 멤버 떠나고 오른 2막, 성장 가속 페달 밟는다
- 두나무 송치형 회장의 다음 수
- [크립토 컴퍼니 레이더]해시드, 정책실장 임명된 김용범 대표 후임자 물색 '속도'
- [크립토 컴퍼니 레이더]대기업 된 빗썸, 대주주 사업내역까지 '전부 공개'
- [이재명 정부 출범}'국가 LLM' 개발 공약, 소버린 AI 수혜 기업 나올까
- [크립토 대선 공약 체크]수수료 인하·글로벌진출 공약…갈라파고스 현상 해소할까
- [크립토 대선 공약 체크]'1거래소-1은행' 폐지, 점유율 새 국면 열리나
- [크립토 대선 공약 체크] 가상자산 '2단계 법안' 제정 한 목소리…연내 현실화 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