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공시대상기업집단]자산 7조 넘은 '엠디엠', 부동산 불황에도 외형 불린다전년비 3계단 상승 63위 기록, 매출액 1.8조 달성…4년 연속 디벨로퍼 최선두 유지
신상윤 기자공개 2024-05-17 07:43:45
이 기사는 2024년 05월 15일 12시0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디벨로퍼 엠디엠그룹이 자산총액을 7조원대로 불리면서 대기업 순위를 끌어올렸다. 계열사 숫자에는 변동이 없었지만 매출과 순이익 등 경영실적 전반이 개선됐다.15일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2024년도 공시대상기업집단'에 따르면 엠디엠그룹은 지난해 말 자산총액 7조4600억원을 기록해 전체 63위를 기록했다. 전년 말 자산총액 6조8260억원으로 2023년도 순위 66위에서 3계단 상승했다.
엠디엠그룹은 2021년도 공시대상기업집단에 처음 진입했다. 당시 69위에 이름을 올렸던 엠디엠그룹은 2022년도엔 57위로 순위가 껑충 뛰었다. 하지만 2023년도엔 순위가 낮아지면서 아쉬움을 남겼다. 2024년도 공시대상기업집단 순위에선 다시 순위를 3계단 끌어올리면서 디벨로퍼 업계에선 입지를 굳혔다.

엠디엠그룹은 문 회장을 필두로 부동산 개발 사업을 영위하는 엠디엠과 엠디엠플러스, 금융분야의 한국자산신탁과 한국자산캐피탈 그리고 엠디엠자산운용 등이 계열사로 포진돼 있다. 종합부동산금융그룹을 표방하는 엠디엠그룹에 속한 계열사는 총 15개다. 2023년도에 이어 계열사 수는 변화가 없다.
다만 자산총액이 7조원을 넘으면서 외형이 불었다. 최근 부동산 개발 사업이 PF 시장의 경색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것과 대조된다. 지난해 말 기준 엠디엠과 엠디엠플러스가 보유한 재고자산의 용지 규모만 총 1조2000억원에 달하는 상황이다. 부채비율은 2023년도 97.4%에서 2024년도 84.1%로 13.3%포인트 개선됐다.
전체 계열사 매출액은 1조8410억원을 기록했다. 당기순이익은 6120억원이다. 매출액 대부분은 본업인 부동산 개발사업이 견인했다. 지난해 엠디엠과 엠디엠플러스 별도 매출액은 각각 8815억원, 4371억원을 기록했다.
엠디엠그룹은 올해 서울 광진구 광장동에서 공급하는 '포제슨한강' 분양을 비롯해 부산 해운대 그랜드호텔 인근 개발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여기에 서울 서초구 서초동의 옛 정보사 부지 개발사업 등도 차기 먹거리로 꼽힌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대신밸류리츠, IPO 수요예측 '흥행'…경쟁률 7대 1
- 구조조정 '신호탄'...롯데케미칼-HD현대, 대산 NCC 통합 추진
- "남은 리밸런싱 과제는"…SK, 엄숙한 분위기 ‘끝장토론’
- 케이카 "제3 경매장 연말 개장한다"
- 취임 9일만에 재계 만난 이재명, 확연한 '친기업 행보'
- '이 대통령 밀착' 이재용 회장, 'AI·반도체·바이오' 투자 강조
- [2025 BIO USA]'발표세션' 첫 출격 삼진제약, 재기 노리는 코오롱티슈진
- [공모주 시장 지각변동]주관사서 이어지는 볼멘소리 "책임 늘고 과실 줄었다"
- AI콴텍, 퇴직연금 RA일임 개시 눈앞…농협은행과 맞손
- 브이아이운용, '국채+삼성전자+공모주' 3중 전략 택한 배경은
신상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Company Watch]동신건설, 롤러코스터 주가 속 수익성 둔화
- SK에코플랜트, 통합 환경 브랜드 're' 상표권 넘긴다
- [건설업계 생크션 어젠다]부동산개발협회 "비아파트 공급 활성화·용도 전환 필요"
- 디벨로퍼 신영그룹, 안산 메추리섬 일원 매각 재정비
- [기업지배구조보고서 점검]삼성E&A, CEO 후보군 3명 확대
- '팀코리아' 대우건설, 원자력사업단 속도붙는다
- [이재명 정부 출범]'가덕도신공항·GTX' 정상화, AI 데이터센터 '단비'
- [토목 엔지니어링 뉴 리더십]'2세 경영' 본격화 한 이산, 미미한 지분 변동 의미는
- [토목 엔지니어링 뉴 리더십]'후발주자' 이산, 2세 경영으로 이어진 '삼륜경영'
- [토목 엔지니어링 뉴 리더십]동명기술공단, 일찌감치 마친 '승계' 지배구조 안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