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주사 자본 재분배 성적표]제이제이한라, HL D&I 장기채 중도 상환HL홀딩스 증자대금 1170억 투입, 연간 이자비용 54억 절감
김형락 기자공개 2024-10-24 08:17:28
[편집자주]
지주사의 주요 역할 중 하나가 그룹 각 계열사에 대한 자본재분배다. 지주사는 재무건전성 우위 계열사로부터 배당수익과 상표권사용수익 등을 수취해 이를 재원으로 유상증자나 사채인수 등 방법으로 열위 계열사를 지원한다. 하지만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무리한 자본재분배는 우위 계열사까지 망가뜨리고 지주사의 재무건전성도 악화시킬 위험이 있다. THE CFO가 각 그룹 지주사의 자본재분배 형태와 이에 따른 재무지표상 변화를 점검해본다.
이 기사는 2024년 10월 22일 08시09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HL그룹 지주사 HL홀딩스가 제주도 묘산봉 관광 단지 개발 사업을 영위하는 종속기업 제이제이한라(J.J. Halla)로 차입금 상환 재원을 출자했다. 제이제이한라는 미개발 부지를 보유하고 있지만 자체적인 영업 창출 기반은 부재하다. 제이제이한라는 계열사 에이치엘디앤아이한라(HL D&I)에 발행한 이익참가부사채를 중도 상환해 금융비용을 줄인다.HL홀딩스는 지난 4일 제이제이한라로 1170억원을 출자했다. 제이제이한라는 증자대금을 채무상환자금(1164억원)과 운영자금(6억원)으로 쓴다. 제이제이한라는 차입금을 상환해 금융비용을 줄이고, 부채비율을 낮춘다. 유상증자 효과 단순 반영시 지난해 말 210%였던 제이제이한라 부채비율은 38%로 내려간다.
제이제이한라는 HL홀딩스 100% 자회사다. 2022년 아난티그룹과 설립한 합작 법인에 주요 자산을 양도한 뒤 관광단지 개발 사업 시행사 역할만 수행한다. 보유 중인 잔여 부지에 대한 부동산·관광지 개발을 추진 중이지만, 개발 사업 손실 영향 등으로 당기순손실을 지속했다. 올 상반기 순손실은 51억원이다.
제이제이한라가 보유 중인 자산은 대부분 토지다. 지난해 말 자산총계(2905억원) 중 72%(2067억원)가 토지다. 나머지 5%(151억원)는 지분법 적용 투자주식, 4%(109억원)는 현금·현금성 자산이다. 제이제이한라는 아난티한라와 아난티제이제이 지분을 각각 20%씩 들고 있다.
아난티한라는 제이제이한라가 아난티와 제주 세인트포 골프장·리조트를 공동 운영하기 위해 설립했다. 아난티는 아난티한라 지분 80%를 들고 있다. 제이제이한라는 2022년 6월 아난티한라에 골프장·골프텔을 1200억원에 양도했다.
아난티제이제이는 제이제이한라가 아난티와 제주 묘산봉 관광 단지를 공동 개발하기 위해 설립했다. 아난티는 아난티제이제이 지분 70%를 보유했다. 제이제이한라는 2022년 5월 제주시 구좌읍 김녕리 소재 부지 토지 28만3087㎡를 650억원에 아난티제이제이로 처분했다. 아난티제이제이는 펜트하우스 약 150실, 호텔 약 200실 규모 휴양 콘도·호텔을 건설 중이다. 운영 개시일은 2026년 이후다.
제이제이한라 순손실은 대부분 이자비용에서 발생한다. 지난해 이자비용(60억원)과 지분법손실(46억원)이 당기순손실(117억원)로 쌓였다. 그해 말 제이제이한라 총차입금은 1339억원이다. 같은 기간 차입금의존도는 46%다.
제이제이한라 차입금은 모두 사채다. 사채 미상환 잔액은 각각 2016년 발행한 1040억원 규모 제2회 기명식 사모 무보증 이익참가부사채(이자율 4.6%)와 지난해 10월 발행한 300억원 규모 제1회 무보증 사모사채(이자율 6.95%)다. 이익참가부사채 채권자는 HL D&I다. 만기는 2028년 3월이었다. 제이제이한라가 HL홀딩스 증자대금으로 이익참가부사채를 상환해 지주사에서 HL D&I로 유동성이 흘러갔다.
HL홀딩스가 제이제이한라에 출자한 금액은 3210억원으로 늘었다. HL홀딩스는 2022년 한 차례 출자전환을 했다. 그해 6월 HL홀딩스가 제이제이한라로 1050억원을 출자할 때, 보유 중인 제이제이한라 1회 기명식 사모 무보증 이익참가부사채(1040억원, 이자율 4.6%)와 상계처리했다. 2016년 발행해 만기를 연장해 오던 사채였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세아제강지주의 변신]김철홍 전략담당 이사 "주주들, 하반기 해상풍력 성과확인"
- [thebell desk]무안공항 참사, 국토부 책임은 없을까
- [i-point]코스모신소재, 동종업계 유일 5년 연속 흑자
- [i-point]신테카바이오, AI 언어모델 기반 ‘LM-VS’ SaaS 런칭
- [Deal Story]한솔케미칼 4년만에 공모채 복귀전 '달라진 존재감'
- 금감원 부원장보, 증권사 CFO 호출…무슨 얘기 나눴나
- KB금융의 '호부호형'
- [Gallery Story]서정아트, 이태원 분점 추진 '갤러리 비즈니스 키우기'
- [갤럭시 언팩 프리뷰]삼성의 폼팩터 혁신, XR 기기 출격 주목
- [갤럭시 언팩 프리뷰]글로벌 1위 키워드 'AI·라인업 확대'
김형락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사외이사 전문성 분석]SK텔레콤의 선택, 글로벌 AI 경쟁에서 살아남기
- [거버넌스 워치]이마트, 보수 정책 비공개 고수하나
- [Board Match up/배터리 3사]주주 소통 모범은 LG에너지솔루션
- [Board Match up/배터리3사]리스크 관리 정점엔 이사회, 보고 체계는 달라
- [theBoard League Table]체면 세운 롯데이노베이트, 타 계열사는 부진 평가
- [theBoard League Table]네이버, 카카오보다 '한 수 위'…보상체계 돋보여
- [theBoard League Table]이사회 평가 부재한 대기업 다수
- [Board Match up/배터리3사]캐즘 극복엔 기술 뿐…엔지니어 출신 CEO 전성시대
- [선행 지표 분석]HD현대오일뱅크, 반가운 정제마진 회복 신호
- [투자 포트폴리오 리포트/LIG넥스원]고스트로보틱스, 추가 투자 필요한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