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어권 없는 AP홀딩스, 에어프레미아 향방 결국 '가격 경쟁' 드래그얼롱 이후 공개매각 참여는 가능, 대명소노 자금력 월등 관측
감병근 기자공개 2024-10-30 07:29:27
이 기사는 2024년 10월 28일 15:01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에어프레미아 새 주인은 최종적으로 내년 6월경 진행될 공개매각을 통해 결정될 전망이다. JC파트너스 지분을 인수한 대명소노그룹은 현 최대주주인 AP홀딩스 지분에 대한 드래그얼롱을 행사할 가능성이 높게 점쳐진다. 이 경우 별도 방어권이 없는 AP홀딩스는 경쟁자를 가격에서 제쳐야만 경영권을 유지할 수 있다.28일 투자업계에 따르면 대명소노그룹 계열사 소노인터내셔널은 최근 JC파트너스가 보유한 에어프레미아 지분 약 22% 중 절반을 인수했다. 나머지 잔여지분 약 11%에 대해서도 내년 6월에 매입할 수 있는 콜옵션을 확보했다.
대명소노그룹은 이번 지분을 인수하며 AP홀딩스 지분 46%에 대한 JC파트너스의 드래그얼롱 행사 권한도 넘겨받는다. 이 드래그얼롱 권한은 우선제안권(First Offer)을 보유한 AP홀딩스로 지분 매각이 무산될 것을 대비한 안전장치로 파악된다.
현 상황에서는 대명소노그룹의 드래그얼롱 행사가 거의 확실시된다. 시기는 JC파트너스 잔여 지분에 대한 콜옵션 행사 직후인 내년 6월 중이 유력하다. 대명소노그룹이 드래그얼롱 행사가 가능함에도 경영권 없는 에어프레미아 소수지분만 보유할 이유는 없기 때문이다.
현실적으로 드래그얼롱 행사를 막는 방안은 AP홀딩스가 대명소노그룹의 지분을 매입하는 것뿐이다. 하지만 이는 대명소노그룹이 이제 막 인수한 지분을 바로 매각해야 한다는 의미인 만큼 현실적이지 않다는 의견이 많다.
![](https://image.thebell.co.kr/news/photo/2024/10/28/20241028133604828_n.jpg)
드래그얼롱이 행사되면 AP홀딩스와 대명소노그룹이 보유한 지분 약 68%는 묶여서 공개매각 대상이 된다. AP홀딩스는 제3자들과 함께 이 공개매각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가 있다. 이 경우 AP홀딩스는 대명소노그룹이 보유한 지분 약 22%를 인수대상으로 정하게 된다.
제3자와 동일가격 제안시 우선매수권 등 드래그얼롱에 대한 별도 방어권은 보장되지 않는다. AP홀딩스 입장에서는 오직 공개매각에서 제3자들과 가격 경쟁에서 이겨야만 경영권을 유지할 수 있는 셈이다.
업계에서는 이 공개매각에 JC파트너스 지분 인수주체인 소노인터내셔널을 제외한 대명소노그룹 계열사가 제3자 자격으로 참전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이번 JC파트너스의 지분 인수도 에어프레미아 경영권 확보를 위한 발판이라는 분석이다. 이 경우에는 대명소노그룹 측이 AP홀딩스 지분만을 인수대상으로 삼게 된다.
대명소노그룹이 이러한 전략을 세웠다면 AP홀딩스가 경영권을 유지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는 평가다. AP홀딩스가 가격 경쟁에서 풍부한 자산을 보유한 대명소노그룹보다 우위에 서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대명소노그룹은 현금 외에 현금화가 가능한 부동산 자산도 풍부하게 보유하고 있다. 올해는 공시대상기업집단에 지정되기도 했다.
다만 AP홀딩스가 에어프레미아 경영권을 사수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만큼 추가 자금 조달 등을 시도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이 경우 새로운 재무적투자자(FI)가 AP홀딩스 우군으로 등장할 수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KAI, 2500억 모집에 2.4조 몰려…수요예측 '대성공'
- 나래에너지서비스, 투자자 사로잡은 '실적 안정성'
- 얼라인이 주목한 코웨이…올해 현금흐름 싹 바뀐다
- 사라지는 해외 TR ETF…삼성운용 선두 자리 '위협'
- 코람코 '더에셋' 브랜드 확보…시리즈 오피스 만든다
- [사무관리사 경영분석]하위권 생존 경쟁, 스카이펀드서비스 존재감 눈길
- SI타워 매각 나선 KB운용, 자문단서 'NAI' 결국 뺐다
- LG화학 '부정적' 아웃룻에도 조 단위 매수주문
- 밴드 상단 과감히 높인 HD현대케미칼, 수요예측 '성공'
- 포스코, 모빌리티솔루션 매물로 내놓은 배경은
감병근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영풍-고려아연 경영권 분쟁]MBK "최윤범 회장, 집중투표제로 사법리스크 대응 의심"
- '악셀 사태 여파' KKR, DIG에어가스 인수 성공할까
- [영풍-고려아연 경영권 분쟁]'사실관계 틀린 글래스루이스' MBK, 편향성 문제 제기
- 글랜우드PE, 1호 블라인드 펀드 청산 완료 'IRR 29%'
- [한화 아워홈 인수 추진]한화, 장남·장녀 지분 매입 협상 완료
- DIG에어가스 매각, 에어프로덕츠 실패 반사이익 볼까
- [LP Radar]2달 빨라진 산은 상반기 출자, 중견급 PE 격전 예고
- [한화 아워홈 인수 추진]백기사 찾는 삼녀, 보유지분 담보로 내놓을까
- 맥쿼리, '전주원파워' 유력 인수 후보로 부상
- [한화 아워홈 인수 추진]경영권 고집하는 삼녀, 백기사 물색 난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