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뷰티 최대어' 클래시스, 높은 몸값에 대형 인수후보도 난색 EBITDA 멀티플 30배 이상 밸류 전망, 국내 SI·FI 인수 포기에 중국 SI 등장 가능성
감병근 기자공개 2024-10-31 08:22:45
이 기사는 2024년 10월 30일 09:18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미용의료기기 제조업체 클래시스 매각이 추진 중인 가운데 유력 인수후보로 꼽히는 대형 전략적투자자(SI) 및 재무적투자자(FI) 상당수가 인수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클래시스의 성장성과 수익성은 대체로 수긍하지만 높은 몸값에 인수를 미리 포기하는 분위기다. 이에 중국 등 해외 SI를 포함한 소수의 원매자들로 인수전이 진행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30일 투자업계에 따르면 베인캐피탈은 수 개월전부터 국내외 대형 FI를 대상으로 클래시스 경영권 매각을 물밑에서 타진해왔다. JP모간, 씨티글로벌마켓증권을 매각주관사로 선정하면서 조만간 매각 마케팅 활동을 본격적으로 진행할 전망이다.
현재 클래시스 유력 인수후보로는 국내외 대형 FI들과 함께 삼성, LG 등 국내 대기업들이 거론되고 있다. 다만 이들 중 상당수는 이미 인수를 검토하지 않기로 내부 결정을 마친 상황으로 파악된다.
대형 SI·FI들이 클래시스 인수에서 일찌감치 발을 빼는 가장 큰 이유는 높은 몸값이다. 클래시스 시가총액은 3조4000억원대에 형성돼 있다. 작년 말 기준 연결 상각전영업이익(EBITDA)은 939억을 기록했다. 최근 실적 상승세를 고려해 올해 EBITDA가 1000억원 초반대에 이른다고 해도 현 주가에 30배 이상의 멀티플이 적용됐다는 계산이 나온다.
이번 매각 대상은 베인캐피탈이 보유한 지분 61.57%다. 현재 주가를 기준으로 할 경우 지분 가치는 2조원가량이다. 하지만 여기에 경영권 프리미엄을 얹어 베인캐피탈은 3조원대 가격을 원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수자 입장에서는 EBITDA 멀티플 30배를 크게 웃도는 밸류에이션을 책정해야 하는 셈이다.
클래시스의 성장성을 고려하더라도 이러한 밸류에이션을 감당할 수 있는 원매자는 많지 않을 것이라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클래시스는 초음파(HIFU) 장비 위주로 국내를 포함한 아시아 지역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에는 이루다 인수 이후 고주파(RF) 장비를 출시하며 북미, 유럽 시장을 개척하고 있는 중이다. 다만 성과를 내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투자업계의 한 관계자는 "미용의료기기 시장에서 초음파 장비는 가성비 제품으로 여겨지는 경향이 있다"며 "북미, 유럽은 하이엔드 고주파 장비가 자리를 잡은 데다 인종간 피부 특성 차이로 인해 레이저 장비에 대한 선호도가 높다는 점 등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인수전이 본격화될 경우 기존 거론된 인수후보들 대신 중국 SI들이 등장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도 나온다. 중국은 K-뷰티의 영향을 여전히 강하게 받는 시장으로 꼽힌다. 여기에 가성비 장비에 대한 수요가 높다는 점도 인수전 참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투자업계의 다른 관계자는 "현재 거론되는 가격으로는 클래시스가 국내 대기업은 물론 글로벌 FI에게 인수되기는 어려워 보인다"며 "다만 자금력을 갖춘 중국 SI라면 이 정도 가격을 감당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코스닥 1세대 생존기]'영업이익률 40%대' 리노공업, 현금곳간 3400억대
- [퀀텀점프 2025]케이피에스 "신약개발 프로젝트 본격화, 추가 M&A 추진"
- [Red & Blue]'바이오던스' 올라탄 제닉, 추가 상승 전망은
- 카카오 변호인단 "SM 시세조종 지시? 당시 일본 출장"
- 한진만 사장의 파운드리 살아남기
- 반품 처리 솔루션 '케이존', 21억 시리즈A 투자유치
- [thebell League Table]크릿벤처스, 투자·회수 활발…펀드레이징 기대
- CJ제일제당 그린바이오사업 매각, MBK·칼라일 2파전 되나
- 한국앤컴퍼니, VC 설립 만지작…CVC 탄생 이어질까
- '광폭 행보' CVC캐피탈, 스타비젼 낙점 배경은 '수익성'
감병근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한화 아워홈 인수 추진]한화, 내달 7일 장남·장녀 지분 SPA 체결한다
- [영풍-고려아연 경영권 분쟁]MBK "최윤범 회장, 집중투표제로 사법리스크 대응 의심"
- '악셀 사태 여파' KKR, DIG에어가스 인수 성공할까
- [영풍-고려아연 경영권 분쟁]'사실관계 틀린 글래스루이스' MBK, 편향성 문제 제기
- 글랜우드PE, 1호 블라인드 펀드 청산 완료 'IRR 29%'
- [한화 아워홈 인수 추진]한화, 장남·장녀 지분 매입 협상 완료
- DIG에어가스 매각, 에어프로덕츠 실패 반사이익 볼까
- [LP Radar]2달 빨라진 산은 상반기 출자, 중견급 PE 격전 예고
- [한화 아워홈 인수 추진]백기사 찾는 삼녀, 보유지분 담보로 내놓을까
- 맥쿼리, '전주원파워' 유력 인수 후보로 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