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인터 '에너지 합병' 효과 톡톡, 수익성 개선세 3분기 누적 영업이익률 3.9%, 에너지 사업 '일등공신'
김위수 기자공개 2024-10-31 09:14:18
이 기사는 2024년 10월 30일 17:53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지난해 계열사인 포스코에너지를 합병해 에너지와 친환경 소재, 식량 등을 아우르는 종합 사업회사로 거듭났다. 주목할 점은 포스코에너지 합병 후 포스코인터내셔널의 수익성이 개선됐다는 점이다.2022년 2.4%였던 포스코인터내셔널의 영업이익률은 지난해 3.5%로 1.1%포인트(p) 올랐다. 올들어서도 영업이익률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올 3분기 영업이익률은 역대 최대치인 4.3%로 나타났다. 이를 포함한 올 1~3분기 누적 영업이익률은 3.9%다.
◇높은 영업이익률, 비결은 '에너지'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올 3분기 3572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다. 매출은 8조3558억원, 영업이익률은 4.3%로 나타났다. 포스코인터내셔널 측은 이에 대해 "3분기 영업이익률은 역대 최대치"라고 설명했다.
3분기 실적을 포함한 1~3분기 누적 매출은 2440억원, 영업이익은 9723억원이다. 매출은 전년 대비 3.3% 줄었고 영업이익은 2.5% 오른 수치로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1~3분기 평균 영업이익률은 3.9%로 지난해 영업이익률(3.5%) 보다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의 수익성이 개선된 것은 에너지 사업 덕분이다. 당초 상사업의 영업이익률은 2% 수준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에너지 사업을 합병해 상사업의 낮은 수익성을 보완할 수 있었다. 상사업을 영위하는 경쟁사들만 봐도 영업이익률이 포스코인터내셔널만큼 높은 기업은 없다. LX인터내셔널의 올 상반기 영업이익률은 3%, 현대코퍼레이션 및 GS글로벌의 영업이익률은 1.9%로 나타났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의 수익성 개선이 시작된 지난해 영업이익률을 살펴보면 이같은 사실이 극명하게 드러난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의 기업 사업을 맡는 소재 부문의 영업이익률은 1.4%밖에 되지 않았지만, 에너지 부문 영업이익률은 15.2%로 나타났다.
올들어 포스코인터내셔널의 영업이익률은 △1분기 3.4% △2분기 4.2% △3분기 4.3%로 매 분기 올랐다. 이같은 추세라면 포스코인터내셔널의 올해 연간 영업이익률 역시 지난해(3.5%)보다 높은 수치를 기록할 가능성이 크다.
◇EBITDA 개선, 재무지표 안정화
수익성이 높아지며 현금창출력도 개선되는 흐름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의 IR자료에 따르면 올 3분기 회사의 상각전영업이익(EBITDA)은 4917억원이다. 1~3분기 누적 EBITDA는 1조3759억원이다. 합병 전인 2022년 EBITDA(1조2990억원)를 이미 뛰어넘었다.
오는 4분기 3191억원 이상의 EBITDA를 창출해낸다면 지난해보다 높은 EBITDA를 기록할 전망이다. 올 1~3분기 포스코인터내셔널의 분기 평균 EBITDA는 4586억원이다.
유입되는 현금이 늘어나며 재무건전성이 강화되는 모습이다. 지난해 150.8%였던 포스코인터내셔널의 부채비율은 올 3분기 말 기준 137.8%로 낮아졌다. 부채총계는 줄어든 반면 자본총계는 쌓인 결과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현재 사업을 확장하기 위한 작업을 진행 중이다. 업계 및 증권가에서 포스코인터내셔널의 이익 성장을 점치는 이유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말레이시아 및 인도네시아에서 내년부터 탐사 시추를 시작한다. 자회사 세넥스 에너지는 호주 육상 가스전 개발로 내년 4분기부터 생산량을 지난해 대비 3배 수준으로 늘린다는 구상이다. 또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액화천연가스(LNG) 저장용량은 2026년 기존 대비 40% 확대할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천연흑연 확보를 위한 지분투자도 계약도 지난달 체결하기도 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KAI, 2500억 모집에 2.4조 몰려…수요예측 '대성공'
- 나래에너지서비스, 투자자 사로잡은 '실적 안정성'
- 얼라인이 주목한 코웨이…올해 현금흐름 싹 바뀐다
- 사라지는 해외 TR ETF…삼성운용 선두 자리 '위협'
- 코람코 '더에셋' 브랜드 확보…시리즈 오피스 만든다
- [사무관리사 경영분석]하위권 생존 경쟁, 스카이펀드서비스 존재감 눈길
- SI타워 매각 나선 KB운용, 자문단서 'NAI' 결국 뺐다
- LG화학 '부정적' 아웃룻에도 조 단위 매수주문
- 밴드 상단 과감히 높인 HD현대케미칼, 수요예측 '성공'
- 포스코, 모빌리티솔루션 매물로 내놓은 배경은
김위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밴드 상단 과감히 높인 HD현대케미칼, 수요예측 '성공'
- [Deal Story]모집액 9배 예스코홀딩스, 공모채 흥행 기대감
- 한화오션 '조달 다각화', 500억 규모 사모채 발행
- [IPO 모니터]와이즈넛, 밴드 하단 아래서 공모가액 결정
- SK이노 자회사 인천석유·지오센트릭 나란히 공모채 발행
- [IPO 모니터]상장 일정 지연 위너스, 투심 회복 가늠 '전화위복'
- [Rating Watch]에코프로 크레딧, 신용평가사는 '고민중'
- 기업어음 발행금액 5조, 연초부터 시장 '문전성시'
- [Deal Story]올해 첫 공모채 수요예측 흥행, 포스코 언더금리 확보
- 회사채 차환 준비 예스코홀딩스, 증액 발행 나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