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5년 04월 21일 10시4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사실 : 실제로 있었던 일이나 현재에 있는 일진실 : 거짓이 없는 사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나와 있는 사실과 진실의 사전적 정의다. 사실은 눈에 보이는 객관적 사건의 실체를 의미한다. 진실은 사실의 하위어 개념으로 사실에 대한 평가 또는 고찰의 의미가 더해진다. "정확한 사실을 보도하는 것을 넘어 그 안에 담겨 있는 진실을 대중에게 알려야 하는 의무가 있다"는 얘기는 기자라면 누구나 들어봤을 조언이다.
불특정 다수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 그 정보가 어떻게 받아들여질 것인가를 늘 고민해야 한다는 의미다. 의도적 왜곡은 물론 미필적 고의도 경계해야 한다.
이는 비단 언론에게만 적용되는 얘기가 아니다. 대중 투자자들에게 기업 정보를 알리는 IR·PR 담당자들도 마찬가지다. 다양한 해석의 여지가 있는 데이터를 다루는 기업일수록 그 안에 담긴 의미까지 진실하게 알려야 한다.
최근 한 바이오 기업은 자신들의 핵심 파이프라인 임상 2상 결과를 공개하며 유효성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추가로 유효성 지표 수치가 글로벌 경쟁 약물보다 두 배 가까이 높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이들이 공개한 정보는 객관적 사실이다. 유효성 지표의 개선이 확인됐고 경쟁 약물이 임상 3상에서 기록한 것보다 높은 숫자를 기록했다. 하지만 그 안에는 진실이 아닌 것들도 포함이 됐다. 일견 경쟁 약물 대비 우수한 '약효'를 발휘한 것처럼 보이나 이는 진실이 아니다.
비교 대상인 약물과 다른 방식으로 측정됐기 때문에 같은 지표라고 해도 단순 비교는 어렵다. 어느 측정 방식이 옳고 틀리다의 영역이 아니지만 비교가 더해지며 일종의 왜곡이 일어났다.
데이터 발표 이후 기업의 주가는 4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하지만 3거래일 후 주가는 이내 원래 자리로 돌아왔다. 의도한 바가 아닐지라도 진실이 혼동된 정보 때문에 '유효성 입증'이라는 긍정적 사실도 단기간에 힘을 잃었다.
바이오의 데이터는 높은 전문성이 요구되는 영역이다. 일반 개인 투자자는 대중 매체와 기업이 제공하는 정보에 많이 의존해 투자를 결정할 수밖에 없다. 사실만을 전달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 안에 담긴 진실의 왜곡 가능성도 함께 되돌아봐야 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평택 고덕 자연앤 하우스디, 이달 분양 돌입
- [FSK L&S는 지금]코로나 이후 지속된 부진, 미·중 갈등에도 '기회는 있다'
- 몸값 '3.7조+α', 'SSM·부동산' 분리매각 가능성 대두
- '인가 전 M&A' 여파, MBK파트너스 구주 손실 불가피
- [ASIC 시대 개막]SK하이닉스, AI 메모리 전략 '패키지 기술 내재화'
- [i-point]한컴위드·티지, 차세대 보안 '제로 트러스트' 공략 맞손
- [i-point]크라우드웍스, ‘대한민국 인공지능산업대상’ NIPA 원장상 수상
- [종근당 신약 확장 변곡점]보유 현금 2000억, 2조 투자금 외부조달 최소화 '자신감'
- [i-point]레이저쎌, 레이저 본딩 기술 기반 장비 수주 확대
- [영상]대성파인텍, 모노리스 흡수합병…김병준·김종석 대표 만나보니
이기욱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종근당 신약 확장 변곡점]보유 현금 2000억, 2조 투자금 외부조달 최소화 '자신감'
- [K-바이오텍 열전]미용KOL 점찍은 에스바이오의 '에스테팜' 재생의료 확장
- [뉴로핏 IPO]적자 한계 AI 진단 비교군 제외…치료분야 확장 '차별화'
- [기업지배구조보고서 분석]'대표=이사회' 제일약품 3세 '한상철' 영향력 더 세졌다
- [종근당 신약 확장 변곡점]바이오 신약 R&D 단지 조성에 2.2조 '제약업 역대급 투자'
- [뉴로핏 IPO]모든 C레벨 참여하는 8인 이사회, CEO '전문성' 보완책
- [기업지배구조보고서 점검]부사장만 대표가 된다? 유한양행의 CEO 승계 관리법
- [뉴로핏 IPO]'공모액 70%' R&D 인건비 투자, 빅파마 파트너십 극대화
- [ASCO로 보는 K-바이오]유한의 렉라자 밸류업…J&J 부작용·활용법 연구 발표
- 항체 모으는 리가켐바이오, 올해만 4번째 '노바락' 기술 도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