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언대용신탁 개발 나섰던 신한증권…하반기 중 출시 전망 초고령화 사회에 유언장 없이 상속 가능한 '유언대용신탁' 주목
이지은 기자공개 2025-05-12 14:38:33
이 기사는 2025년 05월 02일 14시5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신한투자증권이 유언대용신탁 출시를 위해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주민등록 인구 중 65세 이상 고령자 비중이 20% 이상인 초고령사회로 진입한 만큼 향후 신탁 시장 규모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은행을 이어 증권사 또한 속속 유언대용신탁 시장에 진출해 새로운 먹거리를 만들고자 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유언대용신탁은 유언장이 없더라도 신탁계약 형태로 재산상속이 가능하도록 한 상품이다. 고객(위탁자)이 은행 등(수탁자)에게 금전, 부동산 등을 신탁하면 생전에는 본인을 수익자로 정하고 위탁자 사후에는 생전에 정한 수익자(배우자, 자녀, 제3자 등)에게 신탁재산을 안정적으로 승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양육 의무를 다하지 않은 부모가 자녀의 재산을 상속받지 못하도록 하는 내용의 구하라법이 내년 1월 시행을 앞두고 있는 점 또한 유언대용신탁 수요 증가를 예상하는 목소리를 뒷받침하고 있다.
유언대용신탁 시장은 주로 은행이 주도권을 쥐고 있다. 가장 먼저 시장에 뛰어든 건 하나은행이었다. 하나은행은 지난 2010년 금융권 최초로 유언대용신탁 자체 브랜드인 '하나 리빙 트러스트'를 출시하고 리빙 트러스트센터를 독립 부서로 운영했다. 업계에 따르면 유언대용신탁 시장에서 하나은행이 차지하는 시장 점유율은 약 90% 이상이다.
하나은행을 비롯해 우리은행, KB국민은행 등 타 은행들도 유언대용신탁 상품을 내놓으면서 시장의 규모는 확대되는 추세다. 지난해 상반기 기준 5대 은행(KB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NH농협은행)의 유언대용신탁 잔액은 3조5000억원으로, 2022년 말(2조5000억원)대비 1조원가량 증가했다.
증권업계도 새로운 수익원 창출을 위해 해당 시장에 주목하고 있다. 증권사를 통해 가입한 신탁은 주식 매매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는 설명이다. 하나증권은 지난해 11월 '리빙트러스트팀'을 발족해 유언대용신탁 사업 강화에 나서는 중이다. KB증권은 2022년 'KB 인생 신탁'을 출시, 자산승계플랜의 다양한 기능을 고객 니즈에 따라 맞춤형으로 설계해 제공해오고 있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최근 증권사들이 유언대용신탁에 초점을 맞추는 분위기"라면서도 "다만 유언대용신탁에 가입하는 고객들이 매년 금융사에 내야 하는 수수료율이 낮지만은 않다는 점 등은 과제가 될 것으로 보여진다"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아이티센글로벌, 부산디지털자산거래소에 '센골드' 지분 매각
- LNG터미널 품은 포스코인터, 밸류체인 구축 '본격화'
- '뷰티사업 강화' 동국제약, 애경산업 인수 추진
- [케이지에이 IPO]8년만에 대형 스팩 합병, 상장 첫날 '합격점'
- 한투운용 커버드콜ETF, 미스매칭 전략 덕에 분배율 '두각'
- 코람코더원리츠, '하나증권 재계약' 기대되는 효과는
- 삼성증권 SNI, VVIP전용 비상장투자 '속도조절'?
- [i-point]케이쓰리아이, 아시아 최대 메타버스 전시회 참가
- 현대글로비스, 에어인천 출자 늘리고 우선매수권 공식화
- [철근업계 체력 점검]저평가 '고착화'...덩치에 따라 기업가치 '희비'
이지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NH증권의 해외주식 플랫폼 강화 묘수 '파트너십'
- [Market Watch]공모 BW 찍는 엘앤에프…2차전지 전망에 갈리는 투심
- ELS 추가 출시 나선 메리츠증권, 청약 초반 50억 몰렸다
- 삼성증권 '프라이빗 딜소싱팀' 해체…VVIP 상품 향방은
- [Tax 라운지]사모운용사 세무조사 확대 주춤?…MBK 조사 '가늠쇠'
- [Tax 라운지]해외 LP 유치 발목 잡는 '세무'…로펌 보증 마련 분주
- [스튜어드십코드 모니터]BNK운용, 의결권 반대 행사 비율 소폭 증가
- [스튜어드십코드 모니터]삼성액티브운용, 반대표 행사 비율 늘었다
- [증권사 기관전용펀드 열전]NH·한국·KB 전략 상이…자체 딜 발굴 vs 자사 IB 주선
- 메리츠증권, ELS 6종 추가 출시 검토…7월 중 예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