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bell

인더스트리

LIG넥스원, 실적 악화 속 R&D 투자 확대 3년 새 2배 증가…인력구성도 연구원 중심

김성진 기자공개 2019-08-19 08:57:09

이 기사는 2019년 08월 16일 13:32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LIG넥스원이 지난 2015년 상장 이후 지속적인 실적 악화를 겪는 가운데서도 연구개발(R&D) 투자를 꾸준히 늘려온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방위산업 시장의 주요 경쟁요인으로 가격과 함께 기술력이 꼽히는 만큼, 장기적인 성장 발판을 마련하기 위한 투자로 분석된다.

1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LIG넥스원은 올 상반기 매출액 6454억원, 영업이익 145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해 매출액은 12.7% 줄었으며, 영업이익은 32.7% 감소했다.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8.7% 증가한 62억원으로 집계됐다.

LIG넥스원은 지난 2015년 순수 방산업체로서는 처음으로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하며 기대를 모았으나 이후 지속적인 실적 악화를 겪고 있다. 기업공개(IPO)와 함께 1조9000억원에 달했던 매출액은 지난해 1조4800억원으로 3년 만에 규모가 22% 감소했으며,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121억원에서 240억원으로 79% 줄어들었다.

실적 부진 원인으로는 사업중단 악재가 꼽힌다. LIG넥스원은 2011년 7월 방위사업청으로부터 373억원 규모의 고정형 장거리레이더 체계개발 사업을 따냈으나 2017년 사업이 중단된 바 있다. 2016년 운용시험을 실시한 결과 일부 항목 미충족으로 평가가 중단됐고, LIG넥스원은 요구성능 달성을 위해 보안 작업을 진행했음에도 방사청은 결국 계약 철회 결정을 내렸다.

또 다기능군용무전기(TMMR) 개발 지연에 따른 지체상금 손실도 실적에 영향을 미쳤다. TMMR개발은 정부가 2007년부터 추진하는 무전기 교체 사업으로, 4차산업 혁명에 따라 기존 아날로그 방식의 무전기를 디지털 방식으로 바꾸는 게 주요 내용이다. 당초 개발마감 기간은 2016년 까지였으나 성능변경 등 계약이행이 늦어지며 국방과학연구소는 LIG넥스원에게 666억5000만원에 달하는 지체상금을 부과했다. 다만 LIG넥스원은 적극적인 소명활동을 통해 지체상금 규모를 73억2000만원 수준으로 줄일 수 있었다.

clip20190816013732

지속적인 실적 악화는 재무부담을 초래했다. 올 2분기 기준으로 LIG넥스원의 부채비율은 약 300%로 상장 당시인 2015년 200%와 비교하면 100% 포인트 올랐으며, 단기차입금은 3575억원으로 6배 가까이 늘었다. 단기채무지급능력을 판단하기 위한 지표로 활용되는 유동비율은 109%를 보이고 있다.

LIG넥스원은 이처럼 실적이 악화하는 가운데서도 R&D 투자를 늘려온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전장 환경이 첨단무기의 각축장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R&D를 통한 기술력 확보가 중요시되기 때문이다. LIG넥스원의 2015년 R&D 투자금액은 260억원 수준이었으나 2018년 500억원 수준으로 두 배 가까이 늘었다. 올 상반기 R&D 투자금액은 300억원으로 이미 지난 2015년 한 해 동안 사용된 금액을 넘어섰다. 전체 매출에서 R&D 투자금액이 차지하는 비중도 2015년 1.4%에서 올해 상반기 4.7%로 3.3% 포인트 올랐다.

세부적으로 보면 자산으로 계상한 금액은 2015년 68억원에서 2018년 172억원으로 늘었으며, 같은 기간 비용으로 계상된 금액은 194억원에서 325억원으로 증가했다. R&D 비용은 미래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것이 구체적으로 기대되는 개발단계에서는 자산으로 계상되며, 그 전 단계인 연구단계에서는 단순 비용으로 인식된다.

인력구성을 봐도 LIG넥스원이 R&D에 집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체 직원 3150명 중 46%인 1451명의 직원이 R&D 인력이며, 관리·영업은 28%, 생산은 26%다. 특히 R&D인력의 62%인 899명은 석·박사로 구성돼 있다.

신평사 관계자는 "LIG넥스원은 경쟁사 대비 R&D 사업 비중이 높은 편이라 투자 금액도 많을 수밖에 없다"며 "군 전투가 현대화하며 R&D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지만, R&D 사업의 경우 저가 입찰하는 경우가 많아 당장 실적에 크게 도움이 되지는 않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주)더벨 주소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41 영풍빌딩 5층, 6층대표/발행인성화용 편집인이진우 등록번호서울아00483
등록년월일2007.12.27 / 제호 : 더벨(thebell) 발행년월일2007.12.30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김용관
문의TEL : 02-724-4100 / FAX : 02-724-4109서비스 문의 및 PC 초기화TEL : 02-724-4102기술 및 장애문의TEL : 02-724-4159

더벨의 모든 기사(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copyright ⓒ thebel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