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케미칼, ‘코폴리에스터’ 믿음 통했다 [Company Watch]3분기 사상 최대 영업이익 달성...바이오에너지 빈자리 회복
김서영 기자공개 2020-11-11 07:59:55
이 기사는 2020년 11월 09일 15:39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SK케미칼이 바이오에너지(BE) 사업부문을 매각하자 일부 업계에서는 아쉬운 반응이 나오기도 했다. SK케미칼이 믿고 의지한 코폴리에스터(co-polyester) 사업부문이 사상 최대 영업이익을 견인하면서 세간의 우려를 씻었다.SK케미칼은 6일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 3521억원, 영업이익 523억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3805억원) 대비 7.4% 줄어들었으나,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271억원) 대비 92.9% 증가하며 분기 사상 최대 영업이익을 달성했다.

SK케미칼은 바이오에너지 사업부문에 대한 매각 작업 완료 후 처음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3분기 실적은 바이오에너지 사업부문이 포함됐던 올해 2분기 실적을 따라잡았다. 3분기 연결 실적은 2분기 매출(3684억원)의 95.6%를 기록했다. 3분기 영업이익은 2분기(240억원)의 2배를 웃돌았다.
바이오에너지 사업부문의 빈자리를 메운 것은 코폴리에스터 사업부문이다. SK케미칼은 바이오에너지 사업부문 매각 당시 코폴리에스터의 유망성을 믿고, 수지 사업에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코폴리에스터는 PC(폴리카보네이트), PVC(폴리염화비닐) 등 기존 제품을 대체하는 고기능 수지다. 코폴리에스터는 주로 화장품 용기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SK케미칼의 판단이 맞아떨어졌다. 코폴리에스터 사업부문은 3분기 1251억원을 벌어들여, 전체 매출액의 35.5%를 차지했다. 영업이익은 275억원을 기록해 사상 최대 분기 실적을 기록했다. 특히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67억원) 대비 3배(311%) 증가했다.

SK케미칼은 경영실적 보고서를 통해 이번 실적은 원료 가격의 하향 안정화와 물량 증가로 인한 영업 레버리지 효과 덕분이라고 밝혔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진원지인 중국 시장 내수가 살아나면서 수요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SK케미칼은 오는 4분기에도 견조한 수요가 유지될 것으로 전망했다.
SK케미칼 관계자는 “이번 3분기에 코폴리에스터와 제약 부문의 성적이 좋았다”며 “SK케미칼의 핵심인 수지 사업에 역량을 집중해왔다”라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위지윅스튜디오, 美 이어 러시아 공연 IP 확보
- 한투부동산신탁, 1500억→2000억 증자…업계 최고 수준
- SK디앤디, 매각 불발된 '그랜드 제주 조선' 다시 품는다
- [thebell PB Survey]"불 붙은 코스피, 1분기 3300 넘는다"
- 전장으로 몸값 높이는 LG전자, EV 30조 눈앞
- [Company Watch]'소재기술 강자' 알엔투테크, 모빌리티 신시장 진입
- [CFO 워치]김원진 현대제철 전무, 비제철 출신 '멀티 플레이어' CFO
- [CFO 워치]서강현 현대차 부사장, 현대제철 찍고 '화려한 복귀'
- 강신호 CJ대한통운 대표, 첫 과제는 ESG 개선?
- 세트렉아이 인수한 한화, 위성산업 밸류체인 구축
김서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에어프레미아, 코로나 악천후 속 '신규 취항' 고군분투
- 흥아해운-STX의 '잘못된 만남'
- 흥아해운 계약금 반환 의사...채권단 '동의' 관건
- [CFO 워치]최명호 롯데글로벌로지스 재무부문장의 마지막 카드 'IPO'
- [2021 승부수]SK네트웍스, 3년 준비한 ESG 경영 '가속화'
- '프로퍼티'에 발목 잡힌 흥아해운, 대여금 해결 '자신감'
- '차순위' KSS해운, '어부지리' 흥아해운 주인 되나
- [지배구조 분석]금호HT, 'M&A 손바뀜' 2년만에 '가족 경영' 본궤도
- 현대차 E-GMP '게임 체인저' 승부수 통할까
- '인사통' 허현숙 상무, 기아차 북미권역 '나홀로' 승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