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텍 새내기주, 절반 이상 목표 매출 미달 우려 금감원·거래소, 상장 기준 강화 움직임…매출 없는 바이오텍 기술성 평가 '긴장'
심아란 기자공개 2020-11-26 12:47:28
이 기사는 2020년 11월 25일 14:45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올해 바이오텍 새내기주의 절반 이상이 매출 목표치를 달성하지 못할 전망이다. 추정치와 실제 매출의 괴리율이 커지면서 금융감독원과 한국거래소 등이 상장 기준을 까다롭게 볼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당장 기술특례제도의 문턱이 높아질 가능성이 언급된다. 매출 없는 바이오텍들은 미래 추정 이익의 실현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할 경우 기술성 평가부터 난관이 예상된다.
25일 기준 올해 기술특례상장을 통해 코스닥 입성한 바이오텍은 총 10곳이다. 대부분 업체들이 3~4년 후의 추정 이익에 근거해 밸류에이션을 산정했다. 이 중 당장 올해 매출 목표치에도 근접하지 못한 곳이 6곳으로 집계됐다.
목표치와 실제 매출의 괴리율이 가장 큰 곳은 이오플로우다. 이오플로우는 올해 예상 매출액을 25억원으로 잡았다. 상반기까지 약 2900만원의 매출을 올려 달성률이 1%에 그쳤다.
다만 이오플로우는 수익을 개선할 여지는 있다. 이오플로우는 당뇨병 환자의 혈당을 조절해주는 인슐린 주입 패치 '이오패치(EOPatch)' 제품화에 성공했다. 작년 6월 국내에서 품목허가를 받았으며 4분기부터 해외를 포함해 본격적인 매출 확대를 예상하고 있다.

암 진단키트와 당뇨병 치료제 개발 업체인 압타머사이언스도 매출 목표치 달성률이 8%에 그쳤다. 증권신고서에는 올해 예상 매출액을 12억원이라 적어냈지만 3분기까지 1억원을 기록 중이다. 5월에 판매를 개시한 폐암 조기진단 제품(AptoDetect™-Lung)의 매출이 기대치에 미치지 못한 탓이다.
이 외에도 피플바이오(14%, 상반기), 소마젠(52%, 이하 3분기), 젠큐릭스(19%), 에스씨엠생명과학(11%) 등 4곳도 목표치 대비 매출 달성률이 낮게 나타났다.
고바이오랩과 박셀바이오 등 두 곳의 신약개발 업체는 올해 예상 매출액을 '0원'으로 써냈다. 주력 파이프라인이 임상 단계에 있는 만큼 상장 첫해부터 유의미한 성과를 보여주기엔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이다.
양사 모두 2021년부터는 기술이전을 통해 매출을 낼 것으로 약속했다. 고바이오랩은 건선 아토피 피부염(KBLP-001)의 기술이전 계약금으로만 328억원의 매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박셀바이오는 다발골수종 치료제(Vax-DC), 반려견 암 치료제(박스루킨-15)의 기술료로 27억원의 매출을 올린다는 계획이다.
바이오텍 가운데 매출 목표치를 달성한 업체도 눈에 띈다. 코넥스에서 코스닥으로 이전상장한 제놀루션이다. 올해 예상 매출을 295억원으로 잡고 기업공개(IPO)를 진행했다. 3분기까지 누적 매출액이 이미 507억원으로 목표치를 훌쩍 뛰어 넘었다.
제놀루션은 진단 시장에서 RNA 추출 기술력으로 실적 개선에 성공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사태로 RNA 추출 수요가 폭증했고 자체 추출 장비(Nextractor, NX-48 계열)로 시장 수요를 흡수한 덕분이다.
자체 진단 장비와 코로나19 진단키트를 판매한 미코바이오메드도 선전하고 있다. 올해 목표 매출액을 398억원으로 잡은 가운데 3분기까지 85%를 채운 339억원을 기록했다.
시장 관계자는 "코오롱티슈진과 신라젠의 상장 폐지 이슈로 금감원과 거래소의 바이오텍 심사가 엄격해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유의미한 매출이 나오면 심사가 보다 수월해질 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추정 매출의 근거를 확실하게 보여주는 게 중요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바이오 업계 관계자는 "기술특례상장 업체들의 매출 괴리율이 커지면서 앞으로 추정 매출의 근거를 엄격하게 평가한다는 이야기가 나온다"라며 "앞으로 기술성 평가 통과도 어려워 질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Company Watch]넵튠, 비용과의 전쟁 2년만에 영업적자 절반 '뚝'
- 카카오엔터 탄생 숨은 조력자 앵커에쿼티
- 카카오엠, 별도 IPO 아닌 페이지 합병 택한 배경은
- 카카오엔터, 김성수·이진수 각자대표 체제 유력
- 빅히트-네이버 지분스왑, 원히트원더 우려 해소되나
- IPO 비교기업에 네이버, 빅히트 '큰그림' 통할까
- [삼성 시스템 경영 점검]위기대응 프로세스 어떻게 작동했나
- [스팩 합병 기업 리뷰]인산가, 장남승계 힘 실리나
- [Company Watch]IPO 앞둔 오로스테크 2대주주 '시엠테크' 정체는
- [K-바이오 2021 출사표]정두영 피노바이오 대표 "ADC 플랫폼으로 IPO 목표"
심아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K-바이오 2021 출사표]파멥신의 '올린베시맙', 글로벌 빅딜로 이어질까
- [K-바이오 2021 출사표]파로스아이바이오, AI 플랫폼 '케미버스'로 신약개발
- 트리거 1300억 L/O, ABL바이오 추가 수익 기대
- [K-바이오 2021 출사표]엑소코바이오, 'IPO·흑자' 두마리 토끼 잡겠다
- 진단업체 '코로나'를 잊어라
- 코오롱티슈진, 3년치 재무제표 '의견거절' 추가
- 일동제약 CB, 제약사 메자닌 물꼬틀까
- '시리즈 A' 오토파지사이언스, 200억 몸값 책정
- [K-바이오 2021 출사표]'의료 AI' 뷰노, 2022년 매출 200억 가능할까
- 와이바이오로직스, A·A 기평 통과…IPO 일정 가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