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지주회사 전환]숨가빴던 50일, 막판까지 '주주설득' 총력이사진 1명 제외 전원 참석, 책임감 있는 모습 관측…최 회장, 주주 질의에 침착하게 답변
유수진 기자공개 2022-01-28 15:54:30
이 기사는 2022년 01월 28일 13:18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포스코가 28일 임시 주주총회에서 물적분할안을 처리했다. 출석 주주 3분의 2 이상의 지지에 힘입어 계획대로 오는 3월 지주사 체제를 완성할 수 있게 됐다. 구체적으로 출석 주주의 89.2%, 의결권 있는 주식수 기준 68%의 주주가 찬성표를 행사했다.주주들의 지지를 얻는 과정이 결코 쉽진 않았다. 포스코는 작년 12월 분할 계획을 발표한 후 50일 가까이 주주설득에 집중했다. 이날 주총엔 사내이사는 물론 사외이사까지 다수가 출동했다. 의장을 맡은 최정우 회장 역시 주주들의 질의에 일일이 답변하는 등 막판까지 최선을 다하는 모습을 보였다.
28일 오전 9시 서울 포스코센터에서 열린 포스코의 임시 주총에는 등기임원들이 대부분 자리했다. 이사회 구성원 12명(사내이사 5명·사외이사 7명) 중 11명이 참석했다. 유일하게 장승화 사외이사만 불참했다. 이사회 의장을 맡고 있는 인물이다.
이사들의 주총 참석은 의무가 아니다. 다른 기업들의 사례를 보더라도 주총에 이사회 멤버들이 총출동하는 경우는 드물다. 포스코 사외이사들은 주식을 보유하고 있지 않아(작년 9월 기준) 의결권도 없다.

이는 이사회가 책임감 있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목적으로 풀이된다. 그간 포스코 주주들은 물적분할 결정이 '지주사 디스카운트'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해왔다. 이사회는 물적분할을 통한 지주사 체제 전환을 결정한 주체다.
앞서 포스코 이사회는 작년 12월10일 회의에서 분할계획서를 승인하고 임시 주총 날짜를 확정했다. 철강사업을 물적분할 방식으로 떼어내고 존속회사를 지주사로 전환하는 방식이다. 12명 전원이 출석해 만장일치로 처리했다.
신설 철강자회사의 정관을 수정하기 위해 모인 지난 4일 이사회 때도 마찬가지였다. 전원 동의 하에 정관을 바꿨다. 이때 자회사 정관에 향후 상장을 추진하려면 포스코홀딩스 주주들의 동의(특별결의사항)를 얻어야 한다는 내용을 추가했다. 이사회 산하에 ESG위원회도 설치하기로 했다.
이날 오전 9시에 시작된 주총은 10시가 넘어 끝났다. 안건이 하나뿐이었다는 점 등을 고려하면 이례적으로 장시간 진행된 셈이다. 특히 주총 의장을 맡은 최 회장은 주주 발언을 경청하고 성심성의껏 답변하는 모습을 보였다. 중간에 말을 끊거나 재촉하지 않고 주주들이 원하는 만큼 발언을 할 수 있도록 충분히 시간을 줬다. 일부 주주간 이견차로 언성이 높아졌을 땐 직접 나서 상황을 정리하기도 했다.

현장에 온 주주들은 향후 포스코(사업회사)가 정관을 수정해 기업공개(IPO) 등에 나설 가능성에 대해 염려했다. 정관 변경이 주총 결의가 필요한 사항이지만 포스코홀딩스가 100%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지주사 경영진의 뜻대로 진행될 수 있다는 것이다. 경영진이 바뀐 다음을 걱정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최 회장은 "회사는 경영 연속성을 갖고 계속 가는 것"이라며 "주주들이 계속 지켜보고 있는데 향후 경영진 바뀐다고 해서 정관을 바꿔 (상장을) 하진 않을 걸로 본다. 주주와 회사간 신뢰관계에서 유지될 거라 본다"고 답했다.
포스코는 주총을 앞두고 이달 초 주주환원 계획을 업데이트하기도 했다. 2020년 발표한 배당정책에 따라 올해까지 배당성향(연결 기준) 30%를 유지하되 그 이후 최소 1만원 이상의 배당을 실시하겠다고 약속했다. 또한 연내 자사주 소각을 실시해 주주가치 제고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작년 말 기준 보유 중인 자사주는 1156만1263주(13%)다.
최 회장은 "약속한 배당성향에 맞춰 장기·안정적으로 배당정책을 펼칠 것"이라며 "주주들의 요구에 따라 자사주 소각을 검토하고 있다. 주주가치를 가장 제고할 수 있는 시기를 고민해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메디콕스, 블리스터 포장 사업으로 매출 다각화
- 네스트리, 반가사유상 NFT 자체 쇼핑몰서 판매
- 한글과컴퓨터, 플레이그램에 '한컴MDS' 매각
- 코웨이, 장애인 휠체어농구단 운영…'ESG경영' 박차
- 베르티스-볼크 '건강살자', 유방암 혈액검사 MOU 체결
- 롯데케미칼 배터리소재 진출, 김교현의 자신감
- 코리아센터, 전주시 배달 앱 '전주맛배달' 활성화 지원
- 위세아이텍 '와이즈프로핏', 조달청 디지털서비스몰 등록
- 누리플랜 리파이낸싱, 자회사 상장 주관사 시너지 효과?
- [Company Watch]'날개 단' 미래컴퍼니, 연간 수치 뛰어넘는 영업익 달성
유수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현대차·기아, 21조 '국내 투자' 발표 시점 '눈길'
- [중고차시장, 피치마켓 될까]'거대공룡' 현대차그룹의 상생 약속
- [중고차시장, 피치마켓 될까]대기업 가로막던 빗장, 풀리는데 '10년'
- [중고차시장, 피치마켓 될까]'30조' 시장, 2023년 마침내 '활짝'
- [이사회 분석]'박삼구 리스크' 겪은 아시아나IDT, 경영투명성 강화 '잰걸음'
- [ESG위원회 중간점검]포스코홀딩스, 그룹 'ESG협의회'와 시너지
- 르노코리아, 16년만에 지분구조 변동…'3자주주' 체제로
- 증여세 숙제 조현범 회장, 주담대 추가 동원하나
- 새내기 김경배 HMM 사장의 '굿 스타트'
- [주주 프렌드십 포커스]현대글로비스 주주는 실제 '수익'을 얻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