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운용 아픈 유산 전주페이퍼, 효자로 거듭날까 1분기 평가익 반영…작년 흑자전환으로 분위기 반전
양정우 기자공개 2022-05-19 08:03:28
이 기사는 2022년 05월 18일 06:30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신한자산운용과 합병이 단행되기 전 신한대체운용(옛 신한프라이빗에쿼티)의 악성 투자 자산이었던 전주페이퍼에 묘한 변화가 감지된다. 오랜 기간 애물단지로 여겨지던 전주페이퍼는 주력 사업을 수요가 풍부한 골판지원지로 바꾼 동시에 신재생에너지 사업으로 성장 엔진을 되살렸다. 실적 턴어라운드에 따라 신한운용은 재무제표에 대규모 평가차익을 반영했다.18일 자산관리(WM)업계에 따르면 신한자산운용은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실적에 전주페이퍼 지분에 대한 평가 차익을 200억원 가량 반영한 것으로 파악된다. 외부 평가기관의 공정가치 평가에 따른 결과다.
전주페이퍼는 모건스탠리PE와 옛 신한대체운용이 2008년 노르웨이 노르스케스코그로부터 약 8100억원에 인수한 기업이다. 투자 후 10여년이 넘게 흘렀지만 아직까지 새 주인을 찾지 못하고 있다.
당초 신한대체운용이 전주페이퍼를 인수했던 펀드는 국민연금 등 기관투자자(LP)들로 구성돼 있었으나 더 이상 만기 연장이 어려워지자 신한금융 계열사들이 십시일반 돈을 모아 기존 LP을 교체했다. 엑시트 실패에 대한 책임을 결자해지식으로 신한금융이 짊어진 셈이다. 현재 전주페이퍼 지분은 모건스탠리PE와 신한운용이 각각 58%, 42%를 쥐고 있다.
과거 신한대체운용 시절 전주페이퍼는 앓던 이와 다르지 않았다. 수천억원 대의 출자자 자금이 투입된 데다 끝내 회수를 하지 못하고 있다는 데 리스크가 작지 않았다. 하지만 꾸준한 체질 개선과 업황 반등에 따라 전주페이퍼는 다시 성장 궤도에 오른 것으로 평가 받는다. 바이아웃 딜로서 오랜 기간 경영에 참여한 결과 서서히 결실을 맺고 있는 셈이다.

지난해 전주페이퍼는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5901억원, 119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보다 매출 규모(4785억원)가 1200억원 가량 늘어난 동시에 영업이익은 흑자로 전환하는 데 성공했다. 미디어 시장의 트렌드 변화로 과거 주력인 신문용지 사업이 위기를 맞았으나 2018년 골판지에 쓰이는 골심지에 초첨을 맞추는 방향으로 대응에 나섰다. 그 뒤 골판지 수요가 늘며 실적이 개선되기 시작했다.
2010년 신재생에너지(바이오매스 열병합발전사업) 분야에도 진출했다. 당시만 해도 신문용지 사업 부진을 만회하기 위한 고육책 성격이 짙었지만 근래 들어 점차 성과를 내고 있다. 이 발전 부문은 2019년 전주페이퍼에서 전주원파워로 인적분할됐다. 결과적으로 모건스탠리PE와 신한운용이 동일한 지분율로 전주원파워를 나눠 갖고 있는 구조다.
신한자산운용이 1분기 200억원 가량의 평가차익을 반영한 건 단연 외부 기관이 전주페이퍼 보유 지분에 대해 공정가치를 진단한 결과다. 공정가치는 시장가격(경영권 프리미엄 포함)보다 보수적으로 책정되는 경우가 적지 않아 추가 평가차익을 인식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물론 신한자산운용과 모건스탠리PE가 평가차익이 아닌 실제 결실을 거두려면 매각 재도전이 성사돼야 한다. 현재 전주페이퍼와 전주원파워를 함께 매각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최대주주 모건스탠리PE가 경영권을 매각하고자 국내 회계법인을 주관사로 선정했다. 골심지와 발전 사업의 성장세가 어느 때보다 매각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베스트
-
- [VC 경영분석]SV인베, '대형펀드 운용+글로벌 투자' 전략 통했다
- 4년차 신생 에이벤처스, 'AUM 2200억' 돌파
- [2022 모태 2차 정시출자]키움인베, AUM 8000억 성큼…초기 펀드 500억↑목표
- [VC 투자기업]디앤에이, 성과 없는 R&D…VC 투자회수 가능할까
- 피노바이오, 2년전과 같은 '밸류'로 투자유치
- [명품 커머스 신흥강자 젠테]퀀텀 성장 기반 '탄탄한 B2B', 파페치 대항마 꿈 영근다
- [기업형 VC 돋보기]원익투자파트너스, 출범 키워드 '한미은행·협성회'
- [신영운용 재도약의 조건]‘영원한 전략은 없다’ 시장 변화 유연성 부재
- [신영운용 재도약의 조건]잘나가던 가치투자 본가의 ‘날개없는 추락’
- 헤지펀드 운용사, 공모 전환 바람…J&J운용 합류
양정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헤지펀드 운용사, 공모 전환 바람…J&J운용 합류
- 하나금융 도곡WM, 자율주행 비상장사에 '꽂혔다'
- "헤지펀드 사태 재발 막자" 금감원 신생 운용사 검사 착수
- 특수효과 제작사 스튜디오이온, 투자유치 나섰다
- 변동성 전략마저 마이너스 "비상구가 없다"
- [헤지펀드 판매사 지형도 분석]J&J운용, 최대 파트너 '신영 패밀리오피스' 급부상
- '운용-증권' 시너지 나왔다…DS 장덕수 빅픽처 스타트
- 아샘운용 베트남펀드, 마이너스 수익률 속 '존재감'
- DS운용, '최대 창구' NH증권 부상…채널 다각화 착착
- GVA운용, '공룡펀드 채널' 하나금투 단짝 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