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운운용, 투자자 요청에 펀드 만기 1년 연장 공모주 투자 성과 우수…누적 수익률 93%
조영진 기자공개 2022-06-10 08:08:26
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리운자산운용은 최근 ‘리운멀티플러스전문투자형사모1호’의 만기를 1년 연장한 것으로 확인됐다. 2020년 3월에 최초 설정된 이 펀드는 당초 3년 만기형 상품으로 결성됐지만, 오는 2024년 3월까지 일 년 더 운영될 전망이다.
이번 만기 연장은 펀드 수익자들의 선제적 요청과 더불어 만장일치 동의를 통해 이뤄졌다. 주식, 채권 등 여러 자산들이 약세를 보이는 가운데 기록한 ‘멀티플러스1호’의 성과가 재투자 심리를 자극한 것으로 파악된다. 업계에 따르면 멀티플러스1호의 누적수익률은 지난 5월 말 기준 93.8% 수준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 펀드는 코벤펀드, 공모주하이일드펀드에 재간접투자하거나 공모주 및 프리 IPO, 포스트IPO에 직접 투자하는 상품이다. IPO투자는 프리IPO와 포스트IPO 각각 전체 AUM의 5%를 넘기지 않는 방법으로 리스크를 축소한다.
최초 모집액 100억원, 목표 수익률 15% 안팎으로 설정된 이 펀드는 지속적인 자금 유입을 통해 현재 120억원 규모로 불어난 상황이다. 2021년 한해 수익률은 40.6% 수준이며, 올해 연초 대비 수익률도 플러스(약 4%)를 기록 중이다.
리운운용의 리스크 관리 방식이 펀드 성과에 일조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하우스는 코스닥, 벤처기업 투자에 신주의 경우 전환사채 매입을 통해 원금 보존에도 주력하고 있다. 구주의 경우 주가 변동성을 0으로 고정하는 ‘넷 포지션 제로’ 전략을 취하는 것이 특징이다.
기존 수익자들이 만기 연장을 희망함에 따라 홀로 펀드 몸집을 유지하고 있는 만큼, 공모주펀드 옥석가리기의 수혜를 받을 수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5월 30일 기준 국내 145개 공모주 펀드에서 최근 3개월동안 설정액이 1조1257억원가량 줄어들었다. 전체 설정액이 5조5000억원 수준임을 고려하면 뭉칫돈이 빠져나간 셈다. 145개 공모주 펀드의 최근 3개월, 6개월 수익률은 각각 -0.56%, -2.71% 수준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베스트
-
- 토니모리 계열 신기사 토니인베, 사내이사진 '개편'
- [VC 투자기업]다올인베, '아이씨에이치' 엑시트 착수
- [VC 투자기업]소프트뱅크벤처스, AI 진단 플랫폼 '루닛' 엑시트 착수
- SBA, 상반기 출자사업 GP 11곳 낙점
- [VC 신성 크릿벤처스]3개 펀드로 신속 투자, 스타트업 화수분 자리매김
- [VC 출사표/프롤로그벤처스]스타트업의 글로벌마켓 정박 파트너 꿈꾼다
- [VC 출사표/DSN인베스트먼트]디벨로퍼 DS네트웍스, 부동산으로 번 돈 '투자금'으로 쓴다
- [성장사다리펀드 10년]'창업·성장·회수' 국내 투자·출자 체계 확립
- LB운용 구본천 일가, 주주 등재 반년만에 배당금 챙겼다
- [VIP운용 공모하우스 변신]‘가치투자’ 앞세워 퇴직연금 자금 잡는다
조영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헤지펀드 운용사 실적 분석]CK골디락스, 자금 유입에 약세장 성과 '이상무'
- [헤지펀드 운용사 실적분석]약세장 비껴간 브이엠운용, 사상 최대 성과
- [인사이드 헤지펀드]이화운용, '상봉 듀오트리스 펀드' 만기 연장 총력
- 하나대체운용, 일본 롯폰기 레지던스 매각 '속도전'
- [부동산운용사 실적 분석]에이디에프운용, 상반기 사상 최대 성과
- [퇴직연금시장 분석]증권업종 2.4조 유입…수익률은 다소 저조
- 이화운용, 하나투어 공평동 사옥 일부 키움계열에 매각
- [thebell PB Survey]"주식·부동산 자산 축소…채권·현금 늘려야"
- [인사이드 헤지펀드]파로스운용, 올해 두번째 펀드로 하이일드 낙점
- 이화운용 첫 해외부동산펀드, 대규모 원금손실 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