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석화 박준경 시대 열린다]박주형 전무 이사회 진입 가능성은②재무 분야 임원으로 존재감, 박준경 부사장과 남매경영 나설듯
김위수 기자공개 2022-06-17 07:44:19
[편집자주]
금호석유화학은 다음 달 임시 주주총회에서 박찬구 회장의 장남인 박준경 부사장을 사내이사로 선임하는 안건을 다룬다. 박 부사장의 이사회 입성은 금호석화 '3세 경영'의 포문을 여는 일로 받아들여진다. 더벨이 박 부사장의 사내이사 선임에 따른 금호석화 이사회 및 경영환경의 변화를 짚어봤다
이 기사는 2022년 06월 14일 09:27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박찬구 금호석유화학(금호석화) 회장의 딸인 박주형 전무는 2015년부터 회사에서 근무 중이다. 현재 구매재무담당 전무로 임원 명단에 올라있다. 당장은 아니더라도 박 전무가 향후 이사회에 진입, 박준경 부사장과 '남매 경영'에 나설 것으로 예측된다. 박 전무는 1980년생으로, 금호석화 이사회에 진입할 예정인 박 부사장과의 나이 차이는 단 두 살이다.◇금호석화 '요직' 구매·자금 담당
아이오와대학교에서 통계학을 전공한 박 회장은 자타공인 재무 전문가다. 박 회장의 능력이 빛을 발한 것은 2010년 맺은 채권단 자율협약을 조기졸업한 일이다. 재무상황을 안정화하는 것이 1순위라고 본 박 회장은 당시 498%에 달했던 부채비율을 낮추는 데 집중해 3년만에 200% 밑으로 떨어트리는 데 성공했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의 워크아웃과 금호석화의 자율협약 등을 거친 박 회장은 재무관리의 중요성을 크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금호석화 경영 정상화 이후에도 박 회장은 보수적인 경영기조를 이어갔다.

박 전무는 입사 후 박 회장의 측근이자 재무 담당 임원으로 현재 이사회에 참여 중인 고영도 전무와 호흡을 맞춰왔다. 당시 고 전무는 구매·재무담당 상무로, 박 전무는 구매·자금담당 상무로 있었다.
박 전무는 금호석화 입사에 앞서 이화여대 특수교육과를 졸업한 뒤 2010년 대우인터내셔널에 입사해 5년여간 경력을 쌓았다. 2015년 상무로 입사한 뒤 6년만인 2021년 전무로 승진했다. 금호석화 내부적으로도 박 전무에 대한 평판은 좋은 것으로 전해진다.
◇박준경·박주형 '남매경영' 본격화될까
박 회장 자신이 재무에 전문성을 가진 대표이사로 이사회에서 활동했고, 대표이사직을 사임한 후부터는 또 다른 재무통인 고 전무가 사내이사로 참여하고 있다. 즉 이사회에서 재무 담당 임원이 빠진 적이 없는 셈이다.
고 전무를 제외하고는 박 전무가 금호석화 재무 분야에서 가장 높은 직위를 가지고 있다. 박 전무도 추후 오빠인 박 부사장의 뒤를 이어 금호석화 이사회에 진입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점쳐진다. 재계 관계자는 "금호석화 내부에서도 박 전무가 향후 이사회에 입성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금호석화 측은 "이사회가 결정할 사안"이라고 말했다.
시일이 그리 오래 걸리지는 않을 것으로 추측된다. 먼저 이사회 멤버가 된 박 부사장의 경우 상무보에서 부사장으로 승진, 이사회에 진입하기까지 약 10년이 걸렸다. 비슷한 전철을 밟는다면 금호석화에서 임원을 단지 8년차가 된 박 부사장도 이사회 입성이 마냥 먼일이 아닐 가능성이 크다. 박 부사장이 상무보로 임원생활을 시작했지만, 박 전무는 상무로 더 높은 지위로 입사한 점을 감안하면 이사회 진입에 더 적은 시간이 소요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현재 이사회 구성원인 백종훈 대표이사와 고영도 전무는 각각 1961년생, 1965년생이다. 임원으로 활동하기에 많은 나이는 아니다. 금호석화에는 1960년대 임원이 다수 포진해있다. 그렇다고 아주 적은 나이도 아니다.
수년 후 자연스러운 세대교체가 이뤄지는 수순을 예상할 수 있다. 박 부사장과 박 전무가 각각 현재 이사회 멤버로서 영업 전문가인 백 대표, 재무 전문가인 고 전무의 역할을 그대로 이어갈 수 있는 셈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아이씨케이, 신용카드 판매 호조 덕 흑자 전환
- '비만 치료제 개발' 글라세움, 코스닥 예심 청구
- 코웨이, 아이콘 얼음정수기 주문량 폭발…공장 풀가동
- '수출 호조' 한국맥널티, 상반기 최대 매출 달성
- '디지코' KT, 온실가스 관제 솔루션 대외 활용 구상
- "컴투스 메인넷의 목표, 블록체인 진입장벽 지우기"
- SKT, 'Scope3'까지 철저 관리…외부서도 로직 인정
- [갤럭시언팩 2022]삼성전자, '폐어망 부품화' 10년 노력 빛…관건은 가격
- KT알파, 안정적 매출 성장 지속…8할은 '커머스' 몫
- [사면의 경제학 2.0]삼성 오너가, 사면으로 본 경영·투자 효과
김위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사면의 경제학 2.0]'사면 불발' 박찬구 회장, 금호석화 3세승계 속도 내나
- LX하우시스, 가팔라지는 부채비율...유휴자산 정리할까
- 자산 2조 넘어선 KCC글라스, 상법·자본시장법 대비 현황은
- SK이노가 공개한 BSM, SK㈜와 다른 점은
- [지속가능경영 리뷰]폐배터리 처리, LG엔솔 대응 방안은
- 성장 동력 필요한 구본준호 LX, 매그나칩 대안은
- 카카오모빌리티 출신 이재호 부사장, SK에너지 美 투자 이끈다
- [한화 사업구조 재편]김동관 사장, ㈜한화 지배력 확대 작업 재개될까
- [한화 사업구조 재편]㈜한화 장악한 김동관, 건설 지배력 강화 나설까
- [정유사 탈정유 로드맵]키워드는 친환경·플랫폼…고민 큰 SK에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