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현규 체제' ESG 경영 직접 들여다본다 대표이사 직속 운영, 협력사 전략 지원도
문누리 기자공개 2022-06-17 07:52:30
이 기사는 2022년 06월 16일 16:12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올해 한국콜마 수장으로 선임된 최현규 대표가 ESG경영팀을 직속으로 운영하는 등 관련 현황을 직접 들여다본다. ESG 위원회와는 별개로 일선 실무 단계에서 환경, 사회, 지배구조 등 경영 전략을 추진할 헤드쿼터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이밖에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CP)을 운영하는 등 ESG 경영전략을 확대할 방침이다.◇ESG경영팀 직속 운영, 4월 인수 '연우'와 협력도
16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콜마는 최근 대표이사 직속의 ESG경영팀을 신설했다. 영업부서 출신의 오준형 부장을 팀장으로 선임하고 화장품, 의약품, 건강기능식품 등 핵심사업 부서들과 협업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사업부서별 ESG 관련 개선과제를 도출하고 실행 계획을 세워 배분 및 모니터링하는 역할이다. 전 직원을 대상으로 교육도 진행할 방침이다.
대표이사 직속인 만큼 최 대표가 ESG경영 전략을 직접 모니터링한다는 방침이다. 최 대표는 올해 3월 주총에서 "ESG 경영을 강화하고 다양한 주주환원정책을 모색해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언급하는 등 ESG경영 전략 필요성을 강조했다.

ESG경영팀은 관련 업계 기업들과의 협업 네트워크도 연결한다. 협력사들과 ESG역량 진단과 컨설팅, 교육 프로그램 등을 공유한다. 예컨대 종합포장재 기업인 동원시스템즈나 플라스틱 소재 제조기업 HDC현대EP와 친환경 화장품 포장재 소재개발 업무협약을 맺고 연구개발에 들어가기로 했다.
올해 4월 인수한 글로벌 패키징 기업 연우와도 시너지를 낸다. 연우는 지속성장경영을 위해 3R(Recycle, Refill, Reduce)을 기반으로 한 친환경 용기 개발에 나서고 있다. 2월 재활용 플라스틱을 사용하고 추적·관리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국제 친환경 인증 'ISCC PLUS'를 획득하기도 했다.
◇협력사 ESG 전략 네트워크 지원 나서
ESG 경영 중 거버넌스(G) 전략 강화를 위해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CP)'도 운영한다. 윤리경영과 준법경영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으로 부패방지 및 컴플라이언스 방침을 제정해 관리한다.
이를 위해 법무팀이 소속된 한국콜마홀딩스 준법지원그룹 아래 CP팀을 만들었다. 준법지원그룹을 총괄하는 김영호 상무가 해당 프로그램을 진두지휘하고 있다. 한국콜마에선 차장급 직원이 CP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CP팀에선 반부패 및 정보보안 관련 교육도 실시한다. 전 임직원을 대상으로 반부패 아카데미 교육을 진행하는 방식이다. 예컨대 최근 팀장급 직원들을 대상으로 국제표준인증인 부패방지경영시스템과 준법경영시스템을 위해 내부 심사원 양성 교육을 실시했다.
향후 한국콜마는 나이스평가정보의 ESG 역량 진단과 컨설팅, 교육 프로그램도 주요 협력사에 지원한다. 이를 위해 최근 한국콜마는 나이스평가정보와 '협력사 ESG 역량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한국콜마 관계자는 "ESG 경영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지만 실제 대응 여력이 없는 중소형 협력사를 지원하는 취지"라며 "한국콜마 협력사에 특화된 ESG 평가지표를 공동 개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KT, 주춤한 영업익…일회성 빼면 탄탄한 펀더멘털 입증
- '범죄도시2'로 본 콘텐트리중앙 수익극대화 전략
- 인크로스, 리오프닝에 '방긋'…취급고 부활
- IPO 강행 쏘카, 원스토어·SK쉴더스와 다른 처지
- 애니모카, 약세장에도 공격적 투자 계속…분기당 40개 목표
- 턴키 가시화 하나마이크론, 메모리PKG 중장기 경쟁력에 힘
- [택시대란, 묘수 찾는 모빌리티업]'하늘의 별따기' 심야택시, 모빌리티업계에 기회일까
- [RE100 앞장선 통신사]'넷 제로'로 가는 길, 통신사 앞에 놓인 장애물은
- [네이버를 움직이는 사람들]'MZ세대' 최수연 대표, '글로벌 3.0' 선봉장에 서다
- [원전산업 체인 점검]오르비텍, '123조' 해체 시장 개화 대비 '구슬땀'
문누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대체육 식품사 열전]통합 롯데제과, '제로미트' 비건 브랜드 힘준다
- [대체육 식품사 열전]풀무원, '식물성 지구식단' HMR 카테고리 확장
- [대체육 식품사 열전]대상, 배양육 투자로 비건 소재사업 키운다
- [대체육 식품사 열전]농심, 'HMMA' 공법 살려 프리미엄 시장 겨냥
- [대체육 식품사 열전]CJ제일제당, 자체개발 'TVP' 해외 라인업 확대
- [MZ세대 플랫폼 프리즘]무신사, 'MUSINSA JAPAN' 달고 해외 공략 본격화
- 아모레퍼시픽, 투자담당 '미래성장팀' 전략실로 흡수
- [H&B 적자생존]롭스, 롯데마트 콜라보 '숍인숍' 시너지
- [H&B 적자생존]아리따움, '디지털 전환 전략' 가맹점 살리기 집중
- 아모레, 뷰티영업 '채널→브랜드·비대면' 색깔 바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