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bell League Table]한국물 2년 연속 200억불 돌파…통화 다변화[KP/Overview]우량 크레딧물 주류…통화 다변화 눈길
김지원 기자공개 2022-07-01 09:13:02
이 기사는 2022년 06월 30일 18:24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2022년 상반기 한국물(Korean Paper) 시장에는 2021년에 이어 200억달러 넘는 발행이 이뤄졌다. 매 FOMC 직후 변동성이 고조되었다가 잠시 시장이 반등하는 패턴이 이어진 가운데 국내 이슈어들은 빠듯하게 발행을 이어갔다. 변동성 확대로 인해 NIP(뉴이슈어프리미엄)도 예년보다 높은 수준으로 지급했다.미국이 공격적으로 기준금리를 인상하자 달러 이외 통화로 조달을 시도하는 발행사가 속속들이 등장했다. 사무라이본드와 캥거루본드, 스위스프랑채권이 오랜만에 모습을 드러내며 통화 다변화를 이끌었다.
◇2년 연속 반기 만에 200억달러 돌파
더벨 리그테이블에 따르면 2022년 상반기 공모 한국물 발행량은 200억1645만달러다. 전년 동기(271억3310만달러) 대비 26.23% 줄어들었으나 더벨플러스 집계 이래 2021년에 이어 두 번째로 반기 만에 200억달러 넘는 발행량을 기록했다.

다만 코로나19 이후 저금리 기조와 풍부한 유동성의 수혜를 입었던 2021년과 달리 2022년에는 본격적인 금리인상기에 접어들며 녹록지 않은 발행이 이어지고 있다. 2분기에만 미래에셋증권, KB국민카드, 부산은행 등 3개 발행사가 연달아 발행을 연기하기도 했다.
높은 변동성 탓에 전 세계적으로 우량 크레딧물 선호 현상이 두드러지며 AA 급 신용도를 보유한 공기업과 특수은행이 전체 발행의 64.08%를 차지했다. 보험사를 제외한 일반 기업 중 한국물 시장을 찾은 곳은 기아, 대한항공, 현대중공업 3곳뿐이었다.
한국물 시장의 빅이슈어 중 하나인 한국수출입은행이 압도적인 조달을 이어가며 전체 발행량을 끌어올렸다. 상반기에 50억9093억달러를 찍어내며 전체 발행사 중 가장 많은 금액을 찍었다. 1월, 3월, 5월 각각 달러, 호주달러, 유로화 등 각기 다른 통화로 발행을 진행해 다양한 조달 전략을 펼친 점도 눈에 띈다.
상업은행 중에서는 KB국민은행이 12억2865달러을 발행해 선두를 기록했다. 1분기와 2분기에 각각 글로벌본드와 유로본드를 발행해 2건의 트랙 레코드를 쌓았다. 특히 6월에는 올해 국내 상업은행 첫 유로화 커버드본드를 발행하며 3년 연속 커버드본드 발행에 성공했다.
◇전체 물량 중 절반 ESG채권…주류 자리매김

ESG채권은 한국물 시장의 주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2022년 상반기 등장한 31건의 딜 가운데 22건이 ESG채권이었다. 상반기 전체 발행량의 55.87%가 ESG채권으로 발행됐다. 그린본드(Green Bond)와 지속가능채권(Sustainability Bond)이 각각 11건, 7건, 소셜본드(Social Bond)가 4건이었다.
ESG채권은 달러, 호주달러, 유로화, 스위스프랑 등 다양한 통화로 발행됐다. 수출입은행이 1월 10년물로 10억달러의 그린본드를 발행한 것을 시작으로 IBK기업은행과 현대캐피탈은 각각 호주 시장과 스위스 시장에서 소셜본드와 그린본드를 발행했다. 주택금융공사는 유로화 커버드본드 형태로 6억유로의 소셜본드를 발행했다.
신한은행은 4월 한국물 시장에서 국내 최초로 기후채권(Climate Bond)의 포문을 열며 ESG채권의 새 활로를 마련했다. 기후채권은 그린본드의 종류 중 하나로 사용처가 기후 변화 대응 프로젝트로 엄격하게 제한되기 때문에 발행 난이도가 높은 채권으로 통한다.

달러 금리가 빠르게 오름에 따라 한국물 시장의 달러화 편중 현상은 다소 약화했다. 2022년 상반기 달러채 발행 비중은 79.06%로 전년 동기(90.93%) 대비 대폭 감소했다. 유로화 13.95%, 호주달러 4.67%가 그 뒤를 이었다.
3년여 만에 사무라이본드도 등장했다. 대한항공이 1월 300억엔 사무라이본드를 발행했다. 스위스프랑채권도 소량 모습을 드러냈다. 6월 현대캐피탈이 UBS 단독 주관하에 2억스위스프랑 채권을 찍었다.
현대캐피탈은 1분기에도 7억달러 글로벌본드와 2억호주달러 캥거루본드 발행을 마치며 수출입은행과 마찬가지로 3번 모두 다른 통화로 발행하는 등 노련한 조달 노하우를 구사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메타랩스, 흑자전환 '코앞'…영업손실 대폭 감소
- 새한창업투자, 2건이나 중기부 시정명령 받은 이유는
- [Market Watch]7월 투심도 '꽁꽁', A급 발행사만 피봤다
- 위세아이텍, 10개 분기 연속 ‘최대 매출’ 달성
- 신진에스엠, 슈퍼 개미 탓 성장동력 발굴 스텝 꼬였다
- 치열해진 'SLL·스튜디오드래곤', 엇갈린 매출·수익 향방
- 펄어비스, 법인세 환급으로 메운 인건비 부담
- [갤럭시언팩 2022]갤럭시워치5, 애플과 차별점은 "BMI측정 기능 장착"
- 지니뮤직, 음악사업 외 포트폴리오 확장 '박차'
- [갤럭시언팩 2022]노태문 사장 "폴더블폰, 삼성의 미래 게임체인저"
김지원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Market Watch]7월 투심도 '꽁꽁', A급 발행사만 피봤다
- [Korean Paper]부산은행, 달러채 발행계획 '잠정 중단'
- [Korean Paper]산업은행, 글로벌본드 발행 추진…RFP 발송
- [Korean Paper]NH증권, 공모 외화채 발행 계획 접었다
- [Korean Paper]수은, 윤희성 행장 취임후 첫 '공모조달' 나선다
- 하이투자증권, PF로 상반기 수익 방어했다
- [Korean Paper]한달만에 2조 찍은 포스코…신용등급·타이밍 덕봤다
- 교보증권, ESG경영 본격 시동…'기후금융' 앞장선다
- [Korean Paper]포스코, 올해 첫 글로벌본드 프라이싱 시작
- [2022 정기 신용평가]"거시 환경 관찰 더 필요…평정에 신중 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