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진디스플레이, 매물로 나왔다 거래 대상 허진규 회장 비롯 특수관계인 지분 43.19%, 가격 1000억 선 거론
이명관 기자공개 2022-08-02 09:01:52
이 기사는 2022년 08월 01일 16:40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일진디스플레이가 매물로 나왔다. 지난해부터 물밑에서 원매자들과 접촉 중인 것으로 파악된다. 일진디스플레이는 허진규 회장이 후계구도 정리를 끝내고 유일하게 최대주주로 올라 있는 곳이다.1일 IB업계에 따르면 일진디스플레이 매각이 진행 중인 것으로 파악된다. 거래 대상은 허진규 회장과 그 특수관계인, 계열사가 보유 중인 일진디스플레이 지분 43.19%다. 지난 3월 말 기준 허 회장은 지분 24.63%로 최대주주다. 차녀 허승은씨도 지분 0.82%를 직접 보유하고 있다. 이 외에 일진머티리얼즈(11.19%), 일진유니스코(3.45%), 일진반도체(3.09%) 등이다.
IB업계 관계자는 "작년부터 나와있던 매물로 보면 될 것"이라며 "실제 작년부터 이미 기업구조조정펀드 가진 다수의 펀드들이 검토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시장에서 거론되는 예상 거래 가격은 1000억 안팎이다. 이는 코스닥 상장사인 일진디스플레이의 시가총액과 경영권 프리미엄을 고려해 산출된 수치다. 이날 종가(2110원) 기준 시가총액은 1087억원 정도다. 거래 대상 지분의 밸류는 470억원이다.
일진디스플레이는 그룹 차원에서 볼 때 아픈손가락이나 다름없는 곳이다. 2019년부터 내리 3년간 적자를 내며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지난해 두 번에 걸쳐 유상증자를 통해 자금 수혈도 이뤄졌다. 이때 허 회장을 비롯해 일진머티리얼즈가 참여했다.

일진디스플레이의 최근 3년 누적 당기순손실 규모는 1111억원에 이른다. 그러다 올해 들면서 지표가 개선세를 보이고 있다. 우선 올해 1분기 5억원의 순이익을 거두며 흑자로 돌아섰다. 매출도 전년 동기 대비 3배 가까이 불어난 432억원을 올렸다.
이미 일진그룹 계열사들은 대부분 장·차남을 중심으로 경영권·지분 승계가 이뤄진 상태다. 그러고 남은 곳이 일진디스플레이다.
IB업계 관계자는 "허 회장이 1940년생으로 어느정도 후계구도 정리가 끝난 만큼 일진디스플레이 매각으로 사실상 재계에서 완전히 은퇴하려는 의도가 깔린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일진그룹 측은 아무런 답변을 내놓지 않았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팰콘제이파트너스, 반년만에 재차 '시정명령' 받은 이유는
- [IB 프로파일]'DCM=KB' 공식만든 주태영 KB증권 기업금융1본부장
- [증권사 커버리지 지도]CJ, 한국·키움·NH '끈끈한' 파트너십…'힘 빠진' KB
- [증권사 커버리지 지도]현대차그룹, 한국·KB·NH '3파전'...IBK '약진'
- 제이스코홀딩스, 원자재 변수에도 2분기 '흑자'
- [소프트뱅크벤처스는 지금]이준표 대표 체제서 급성장, 글로벌 투자 역량 ‘매력’
- IPO 시계 멈춘 트랜드아이, VC 자금회수 향방은
- '반기 최대' 폴라리스세원, 추가 유증으로 경쟁력 강화
- 화승코퍼, 2분기 영업익 110억 '흑자전환'
- '드라마 호조' 초록뱀, 첫 반기 매출 1000억 달성
이명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팰콘제이파트너스, 반년만에 재차 '시정명령' 받은 이유는
- IPO 시계 멈춘 트랜드아이, VC 자금회수 향방은
- '민간주도형 모태펀드' 꼭 지금이어야 할까
- 모태펀드 정시 1차 만기 연장 '열린정책 vs 형평성' 논란
- 새한창업투자, 2건이나 중기부 시정명령 받은 이유는
- 모태펀드 '정시 1차' 펀드, 결성 기한 연장하나
- 다올인베, 스케일업펀드 2000억 모았다
- [VC 투자기업]급성장 오늘식탁, '정산시스템' 정비한다
- [VC 출사표/DSN인베스트먼트]펀딩 든든한 우군 모기업 'DS네트웍스'
- [VC 출사표/DSN인베스트먼트]마지막 퍼즐 KTB PE 출신 '구자규'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