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제약·바이오 컨퍼런스]"韓 바이오텍, 日 대학 파이프라인서 기회 찾아야"타카야나기 료 매니저 "연간 4~50건 기술이전, 생명공학이 55%"
임정요 기자공개 2022-11-15 08:29:11
이 기사는 2022년 11월 14일 16:36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일본 대학교나 연구소 등이 보유한 유망 파이프라인을 국내 바이오텍이 적극적으로 도입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일본의 경우 대형 제약사 위주인데다 바이오텍 설립 수가 많지 않다보니 이를 외부에서 소화해야 한다는 판단이다.테크매니지(Tech Manage)는 일본 대학교의 초기 단계 기술을 일본 국내외 기업으로 이전하는 마중물 역할을 맡고 있다. 1998년 리크루트라는 회사의 사업개발부서로 시작했다가 2012년 분사됐다. 일본내 20여곳 대학과 협업하고 있으며 연간 4~50건의 기술이전을 성사시키고 있다.
타카야나기 료(Ryo Takayanagi) 테크매니지 시니어 매니저(사진)는 14일 열린 2022 더벨 제약·바이오 컨퍼런스에서 '일본 대학의 신약발굴 트렌드'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타카야나기 매니저는 홋카이도 약대에서 바이러스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화장품 회사 하바랩(HABA Lab)에서 6년 근무 후 테크매니지에 2015년에 합류했다.

그는 "기존의 단순 기술이전(L/O) 모델이나 일본 제약기업과의 공동연구에 의존해서는 다수의 초기물질이 낙오될 수 밖에 없다"며 "항체 등 특정 분야에서 강점을 가진 기업과 초기 물질을 고도화시키는 전략을 택하고 있다"고 말했다.
타카야나기 매니저는 "지난 10년간 3500개 이상의 신기술을 검토했고 이 중 420건을 기술이전 시키는데 성공했다"며 "그 중 가장 큰 규모를 차지한 것이 생명과학(55%) 기술이며 이는 다시 치료제(40%), 연구개발 플랫폼 기술(27%), 진단(11%) 등으로 카테고리가 나뉘어진다"고 말했다.
치료제 질환별로는 종양학(24%), 신경학(12%), 면역학(10%), 감염성질환(9%), 섬유화질환(9%), 희귀질환(7%) 순이었다. 이어 근골격계질환, 대사질환, 심혈관계질환 순으로 기술이전이 이뤄졌다. 물질 타입 별로는 저분자 합성신약(small molecule)이 가장 많았고 항체 등이 뒤를 이었다.
테크매니지는 일본 북쪽 끝단 홋카이도부터 남쪽 끝단 나가사키까지 일본 내 전지역의 대학교와 협력하고 있다. 연구비 규모 면에서 탑3에 드는 오사카대학을 포함해 츠쿠바대학, 나고야대학, 도쿄공업대 등 20곳 이상의 대학교와 연계하고 있다. 물질 도출 단계에서 기술이전 및 상용화까지 대학교수와 파트너사 간 프로젝트를 지원한다.
타카야나기 매니저는 "일본 제약기업과는 공동연구로 기술이전까지 가는 사례가 많지 않다"며 "애초에 공동연구 매칭부터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해당 기술을 사들이는 기업이 흥미를 느끼는 질환 영역이나 모달리티인지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는 "일본 내 신약개발 스타트업의 수가 최근 늘어나고 있지만 해당 파이프라인을 모두 소화하기에는 부족한 수준"이라며 "한국에 있는 바이오텍들과 협업할 수 있는 여지가 크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소니드, 뉴코리아전자통신과 'AI 로봇 재난·위험 방지 사업' 맞손
- '매출 5조' 에코프로, 창사 후 최대 실적 달성
- '수출 확대' 신성이엔지, 영업익 800% 성장 성과
- [다시 뛰는 K반도체·소부장]강두홍 아스플로 대표 "캐파 3000억 수준까지 늘린다"
- [다시 뛰는 K반도체·소부장]한복우 제너셈 대표 "불황은 기회, 신규 모델로 고객 다변화"
- [삼성 메모리 무감산 공방]사파이어래피즈가 D램 시장 구원투수? 엇갈리는 시선
- [블록체인산업 ESG 혁신]빗썸, 미래와 현재 공통 키워드로 잡은 '교육'
- [바이오시밀러 한계와 도전]신약, 셀트리온 오너 2세 승계 위한 성적표 되나
- [2023 크립토 프리뷰]'스테이블 코인·투명성', 과거 실패에서 찾은 새로운 길
- [게임 개발 자회사 열전]크래프톤, 올해는 개발보다 퍼블리싱 '방점'
임정요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바이오시밀러 한계와 도전]신약, 셀트리온 오너 2세 승계 위한 성적표 되나
- [바이오시밀러 한계와 도전]'합병 셀트리온', 신약개발 관건은 결국 현금
- 대웅제약, 네번째 L/O…선급금 73억
- [바이오시밀러 한계와 도전]복제약 넘어 신약개발로 눈 돌리는 셀트리온
- '미생물유전자치료제' 리비옴, 새로운 마이크로바이옴 선보인다
- 아킬리와 페어의 구조조정, 국내 디지털치료제 미칠 영향은
- '무차입' 한올바이오파마, 바이오신약 글로벌 3상 '이상무'
- 메디톡스, 소송으로 번진 '중국 합작사' 해산 위기
- 노터스 CB 투자자, 적자전환에도 전환권 청구 선택
- 파미셀 울산1공장 화재, 뉴클레오시드·첨단소재 생산중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