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투자 포문' EQT파트너스, 첫 인수금융 딜 나오나 SK쉴더스 투자 위해 금융사 초기 접촉, 시장상황 고려 조달 최소화 전망도
김경태 기자공개 2022-11-24 08:24:54
이 기사는 2022년 11월 23일 07:44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스웨덴 발렌베리 가문의 사모투자펀드(PEF) 운용사 EQT파트너스가 SK쉴더스 지분 인수를 위한 자금조달에 분주하다. 기존에 보유한 대규모 인프라펀드 외에 국내 금융사로부터 인수금융을 끌어오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EQT파트너스에서 그만큼 SK쉴더스 딜에 적극적인 자세로 임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22일 투자업계에 따르면 EQT파트너스는 SK쉴더스 지분 매입 과정에서 인수금융 조달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 최근 국내의 일부 시중은행 등 금융사에 의사를 타진했다. 아직 주선사를 선정하거나 조달 금액을 확정한 상태는 아닌 것으로 알려졌다.
IB업계 관계자는 "EQT파트너스에서 인수금융의 금액과 시점 등 세부적인 사항을 알리지는 않았다"며 "태핑(시장 수요조사) 차원에서 접촉하고 있는 단계"라고 말했다.
현재 EQT파트너스는 SK쉴더스 2대주주인 맥쿼리자산운용 컨소시엄이 보유한 지분 36.87% 전량을 인수하는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거래가는 최소 1조4000억원이 거론된다.
아울러 SK쉴더스가 발행하는 신주와 SK스퀘어가 보유한 구주를 매입하는 방안도 논의하고 있다. IB업계에 따르면 EQT파트너스는 SK스퀘어와 공동으로 경영하는 체제, 더 나아가 1대주주에 오르는 시나리오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EQT파트너스는 작년 157억유로(약 22조원) 규모의 인프라 펀드를 조성했다. 보유한 펀드만으로도 SK쉴더스 투자를 추진할 수 있는 수준이다. 다만 맥쿼리 컨소시엄의 지분 인수를 넘어 신주와 SK측 구주를 매입하는 등 투자 규모가 더 커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인수금융 조달을 타진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일단 인수금융업계의 분위기는 나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최근 고금리 기조가 이어지고 인수금융 기한이익상실(EOD)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SK쉴더스가 견조한 실적 성장과 현금흐름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SK쉴더스의 올 3분기 누적 연결 매출은 1조2905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5.5%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1011억원으로 7.5%, 당기순이익은 285억원으로 160.9% 늘었다. 상각 전 영업이익(EBITDA)는 3018억원으로 4.5% 성장했다.
다만 EQT파트너스 입장에서는 높은 이자율 탓에 실익이 크지 않다는 지적도 있다. 최근 국내에서 인수금융 선순위 이자율은 최소 8% 이상으로 형성됐다. 글로벌 IB들은 내년 상반기까지 금리가 추가로 상승할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다.
이 때문에 EQT파트너스가 국내에서 인수금융을 조달하는 경우 금액 규모를 최소화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또 국내뿐 아니라 해외 금융사로부터 자금을 융통받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최근 강달러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해외 금융사를 통해 달러로 인수금융을 끌어올 경우 원화 대비 할인된 가격으로 투자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누릴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최근에 진행된 국내 M&A에서 글로벌 PEF 운용사가 해외 금융사를 통한 인수금융 조달을 추진한 사례가 있다.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는 메디트 인수전에서 경쟁자들과는 달리 해외에서 인수금융 주선사를 선정하는 방안을 검토했다. 과거 오비(OB)맥주를 인수하던 때도 국내외 금융사를 배합해 차입금을 끌어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딜
-
- [오스템임플란트 M&A]최규옥 측 BW, 이자소득 늘수록 워런트 행사가 높아진다
- 디지털 덴티스트리 플랫폼 '큐브세븐틴', 투자유치 나섰다
- 유암코-오퍼스PE, 플라스틱 창호제조 '금오하이텍' 매각 시동
- 브랜디, 물류센터 투자금 145억 결국 날렸다
- 타다 합병하는 아이엠택시, 500억 투자유치 나선 배경은
- [IPO 모니터]LB인베스트먼트, EV/AUM과 PBR로 '밸류 거품' 뺐다
- SK에코플랜트 공모채 추진…'A- 건설채도 나온다'
- 롯데케미칼, '우리사주·구주주' 실권 불구 유증 성공
- 최대 4000억 공모채 추진 CJ제일제당, 대표주관만 5곳
- [Korean Paper]보금자리론 급증 대비 주금공, 스트레이트본드 첫 발행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젠스타메이트그룹, '1000억 가치' 에비슨영코리아 판다
- [LP Radar]TPG 아시아 8호 펀드, '국내 은행'도 힘 싣는다
- '미샤' 에이블씨엔씨 매각, 예상 밖 '흥행 조짐'
- 스카이레이크, 잇단 딜 지연…후보자 교체 승부수 통할까
- [LP&Earning]공무원연금, 대체투자 일냈다…위기에도 수익률 '10%'
- 솔베이, 솔루스바이오텍 우협 지위 상실 '매각 새국면'
- [오스템임플란트 M&A]UCK컨소 vs 강성부 펀드, '갈등' 수면 위 부상할까
- MG손보 파는 예보, 'P&A 방식 M&A' 마케팅 집중
- [오스템임플란트 M&A]'순손실·자본잠식' 오스템파마, 1호 사업재편 타깃 되나
- ’회계법인·컨설팅펌도 픽’ 모비어스앤밸류체인, 시리즈A 라운드 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