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웅제약, 에볼루스에 판매지원금 700억 지급 완료 3자간 추가합의 사항, 2020년 12월부터 21개월 간 판매분
최은수 기자공개 2022-11-28 08:49:58
이 기사는 2022년 11월 25일 08:47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대웅제약이 자체 개발한 보툴리툼 톡신 나보타(미국 제품명 Jeaveau, 이하 주보)의 미국 판매사 에볼루스(Evolus)에 판매지원금을 지급한다. 대웅제약이 메디톡스-에볼루스 등 3자 합의에 따른 것으로 에볼루스에 지급하게 되는 판매지원금 규모는 우리돈으로 약 700억원 규모다.대웅제약은 3분기 보고서를 통해 미국국제무역위원회(ITC)의 최종 결정 후 체결된 대웅제약-메디톡스-에볼루스 3자간 합의에 대한 별도(후속) 합의 이행 현황을 공개했다. 해당 합의는 추가로 진행된 것으로, 3자간 합의를 맺어 에볼루스가 주보 판매를 하는 가운데 입게 되는 손해를 대웅제약이 보전한다는 내용이다. 이는 2021년 3월 체결됐다.
대웅제약이 공개한 추가 합의 주요 내용은 △에볼루스에 총 2550만 달러를 지급 △특정 기간 동안 미국 내 판매되는 주보의 순매출수량에 한해 바이알당 일정금액(판매지원금)을 에볼루스에 지급 △기취득한 에볼루스 전환사채 전환권 행사(4000만달러) △에볼루스와 대웅제약 간 나보타 공급계약 일부변경 등이다.
대웅제약은 앞서 합의 조건 가운데 판매지원금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이행한 상태다. 판매지원금의 경우 2020년 12월 16일부터 올해 9월 16일까지 에볼루스가 판매한 주보 매출액에 따라 책정됐다. 따라서 이번 3분기 매출실적을 반영해 마무리한 것으로 보인다. 이 규모는 5735만달러(한화 약 774억원) 가량이다.
이처럼 2019년부터 이어진 법률 리스크를 대웅제약은 약 1억2285만달러(한화 약 1650억원) 규모의 비경상손실로 책정했다. 합의 사항에 따르면 주보 판매지원금은 대웅제약의 ITC 균주 및 기술 도용 논란과 관련한 마지막 비용 지출 건이다. 대웅제약은 합의금을 재무상태표 상 기타유동부채로 반영했다.
유럽을 비롯해 추후 중국 시장을 노리는 상황에서 법률 리스크를 계속 끌고가기보다 상호 합의를 선택해 미래 성장에 베팅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대웅제약의 올해 상반기 주보의 수출액은 약 520억원으로 연매출 1000억원 고지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대웅제약이 ITC 관련 합의를 이행하면서 5년 간 이어진 메디톡스와의 법적 분쟁 마지막 관문은 국내 민사 소송만 남게 됐다. 메디톡스는 2017년 10월 제조기술정보비밀침해 등을 이유로 대웅제약에 국내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메디톡스는 올해 3분기 말 청구취지를 변경해 소송가액을 1억1000만원에서 501억원으로 변경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알파홀딩스-신화아이티, 美 SES AI와 MOU 체결
- 지엔원에너지, 샌디에이고 주립대와 공동개발 계약
- 아나패스, 차세대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개발 속도
- [삼성 메모리 무감산 공방]감산 여부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 '파라메타'로 사명 바꾼 아이콘루프…신사업에 전부 걸었다
- [통신 삼국지 흔드는 알뜰폰]간판 바꾼 토스모바일, 시장 다시 한번 흔드나
- 한독 오너회사 '와이앤에스인터' 주담대 줄인 이유
- [게임 개발 자회사 열전]글로벌 노리는 카카오게임즈, 라이온하트 IPO 속도낼까
- [통신 삼국지 흔드는 알뜰폰]KB 리브모바일은 어떻게 알뜰폰 시장을 바꿨나
- [갤럭시 언팩 2023]노태문 "버라이즌·구글도 최고 호응…10% 성장 자신"
최은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권기성 셀트리온 부사장, '혁신신약' 책임질 키맨으로
- 레드엔비아, 100억 시리즈B 브릿지 '초읽기'
- 퓨쳐메디신, NASH 국내 2a상 승인…'IPO 재도전' 박차
- 제넥신은 왜 'CFO'를 각자대표로 세웠을까
- 'NASH 치료제 2상' J2H바이오텍, 첫 기평서 고배
- 디앤디파마텍 기술성평가 통과…IPO '2전3기' 첫발
- [제약바이오 시총분석]대웅제약그룹 상승 반전 키워드 '나보타·콜린알포'
- 피노바이오, '셀트리온 L/O' 앞세워 기평 재도전 성공
- [오스템임플란트 vs KCGI]'스트라우만 대비 수익성 저평가', PE 눈독 들인 배경
- 큐라티스, '결핵 백신 임상' 앞세워 예심 재수 성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