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건설, 주택건축수행단 '세대교체' 단행 심성보 상무A 새 단장, 현장소장 출신 중용
전기룡 기자공개 2023-03-31 13:26:13
이 기사는 2023년 03월 29일 16:03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대우건설이 부문급에서 격하된 주택건축수행단을 재정비했다. 기존 주택건축수행단장이 회사를 떠나자 주택건축디자인실장 출신의 심성보 상무A에게 조직을 맡겼다. 주택건축수행단 소속 임원급이 대거 퇴임해 발생한 공백을 현장소장 출신들로 메꾼 덕에 '세대교체'도 함께 이뤄졌다.2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대우건설에서 지난해 말 이후 퇴임한 임원의 수는 22명으로 집계됐다. 이 중 퇴직한 임원의 수가 가장 많은 조직은 주택건축수행단(7명)으로 알려졌다. 사실상 올해 퇴임한 임원들 가운데 주택건축수행단 출신만 3분의 1가량인 셈이다.
먼저 주택건축수행단을 이끌던 김중회 전 전무가 퇴직했다. 김 전 전무는 1967년생으로 대전대학교를 졸업하고 대우건설에서 사회생활을 시작한 인물이다. '일산에듀포레푸르지오' 현장소장을 지낸 이후에는 주택건축CM실장, 주택건축사업지원실장 등으로 근무한 이력이 있다.
지난해 초 전무 승진과 함께 주택건축부문을 맡기 시작했다. 하지만 지난해 말 이뤄진 조직개편을 피할 수 없었다. 당시 대우건설은 '유연성'에 초점을 맞춘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이 과정에서 주택건축수행부문은 주택건축사업본부 산하 단급 조직으로 자리매김했다.
부문급 조직이 단급으로 재편된 게 일정부분 퇴임에 영향을 미쳤다. 실제 주택건축수행부문 소속 임원 10명 가운데 조직개편 이후 자리를 지킨 인물은 이성철 상무A 단 1명에 불과하다. 상무B 2명은 주택건축사업담당 임원으로 소속을 변경했다.
주택건축수행단의 영향력 축소와 함께 세대교체도 이뤄졌다. 김 전 전무를 대신해 주택건축수행단을 이끌 인물로 심 단장(상무A)를 낙점했다. 심 단장은 '용산 푸르지오 써밋', '과천 푸르지오 써밋' 등 현장소장을 거쳐 직전까지 주택건축디자인실장으로 근무한 인물이다.
심 단장 산하에는 현장소장 출신 임원들을 배치했다. 주택건축수행단의 업무적 특성에 기인한다. 주택건축수행단은 주로 현장에서 PM(Project management)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현장에 대한 이해도가 필요한 직무인 탓에 현장소장 출신들을 꾸준히 중용해 왔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현재 주택건축수행단은 심 상무 외에 8명의 임원진을 꾸린 상태"라며 "지난해와 비교해서 조직 규모나 영향력면에서 큰 차이가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자연스런 순환주기에 따른 세대교체 정도로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상폐 위험 비덴트 3사, 검찰 출신 법조인 영입
- [SKT를 움직이는 사람들]'네트워크 외길' 강종렬 사장, 무선통신 리더십 공신
- 대한전선, 규정 개정으로 감사위 독립성·권한 다졌다
- '4공장' 시대 연 삼성바이오로직스, 화이자와 공조 강화
- 미 SEC, 코인 무더기 '증권' 판단…국내 시장 영향 '아직'
- LGD 3TG 공급망, 러시아 비중 급감…중국은 현상 유지
- 넥슨 '피파4' 활용법, 게임 문법도 바꿨다
- '신약' 역량 강화했던 디어젠, 관련 핵심인력 이탈
- 홍콩의 '코인거래소 면허제'…국내 중소형 거래소에 기회될까
- [게임사의 코인 pick]카카오게임즈, '신중한 pick' 비트코인 수익률 '-50%'
전기룡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디벨로퍼 열전]건영, 공공분야에 돌린 눈 '포트폴리오 관리 차원'
- [기업지배구조보고서 점검]대우건설, 최고경영자 승계정책 '원년'
- 네오밸류, 도시문화 플랫폼 '누디트'로 계승
- 포스코이앤씨 시공 '장미 재건축', 금융기관 모집 흥행
- [빅사이즈 공매물건]GS건설, '황금지구 용지' 직접 매입
- [thebell interview]"교보생명과 전략·비전 공유, 지속성장 여력 키우기"
- 현대건설, 커뮤니티 시설도 '고급화 전략'
- ㈜한화 건설부문, R&D 조직 재편 '마무리'
- [빅사이즈 공매물건]금성백조주택, 모종샛들지구 공동주택용지 낙찰
- 삼성현대사업단, 1.5조 규모 울산 사업 '탄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