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오너가 분쟁]국민연금 '중립' 의견, 소액주주 중요도 커졌다4자 연합, 사실상 과반 의결권 확보…정관 변경은 불확실
이기욱 기자공개 2024-11-26 19:20:39
이 기사는 2024년 11월 26일 19:20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이틀 앞으로 다가온 한미사이언스 이사회에서 소액 주주 표심의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 국민연금이 모든 안건에 대해 '중립' 의견을 행사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소액 주주 선택들이 1표 이상의 권한을 갖게 됐다.현재 보다 많은 우호 지분을 확보하고 있는 '4자 연합' 측이 사실상 과반 이상의 의결권을 확보할 수 있게 됐지만 목표로 하는 정관 변경 안건 통과를 장담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 양측은 막판 소액 주주 표심 잡기에 총력을 기울일 것으로 예상된다.
국민연금은 26일 수탁자책임 전문위원회 14차 위원회를 열고 28일로 예정된 한미사이언스 임시 주주총회 안건에 대한 국민연금의 의결권 행사 방향을 심의했다.
전문위는 이사의 수를 '3명 이상 10명 이내'에서 '3명 이상 11명 이내'로 확대하는 △정관 변경의 건 △기타비상무이사 신동국 선임의 건 △사내이사 임주현 선임의 건 등 안건에 대해 '중립' 의견을 행사하기로 결정했다.
중립의견은 국민연금 보유한 의결권을 나머지 주주들의 찬반 비율에 맞추어 나누어 행사하는 방식이다. 9월말 기준 국민연금의 보유 지분은 6.04%, 422만7463주다. 한미사이언스의 의결권 주식 총수는 6839만1550주로 국민연금 주식을 제외하면 6416만4087주가 된다.
422만7463주의 의결권이 6416만4087주에 각각 나눠 분배되는 셈이다. 1표가 갖는 권한이 약 1.07표로 커지게 된다.
4자 연합과 형제 측이 갖게 되는 실질적인 의결 권한도 커지게 된다. 송영숙·임주현·신동국·라데팡스 4자 연합 측은 26일 라데팡스의 블록딜 지분 매입을 통해 특수관계자 포함 보유 지분을 49.42%까지 높였다.
여기에 국민연금 중립의견으로 인해 줄어든 주식 총수를 계산하면 실제 의결권은 52.68%로 추산된다. 사실상 과반 이상의 의결권은 확보했다. 국내외 의결권 자문사들이 '반대 권고' 의견을 낸 상황에서 최악의 상황은 면했다.
반면 형제 측 특수관계자 지분율은 임종훈 한미사이언스 대표의 지분 매각으로 27.53%까지 하락했다. 국민연금 지분 고려시 29.34%의 의결권을 가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4자 연합 측도 한미사이언스 이사회를 장악하고 경영권 분쟁을 끝낼만한 지분율을 확보한 것은 아니다. 임주현 한미사이언스 부회장이 사내이사로 선임되기 위해서는 '의결권 3분의 2' 이상의 찬성이 필요하다.
만약 소액주주가 아무도 의결에 참여하지 않는다고 가정해도 4자 연합의 주식 수는 양 진영 전체 보유 주식의 64.2%다. 3분의 2에 살짝 미치지 못한다. 일부 소액주주들의 찬성이 반드시 필요하다.
형제 측 입장에서도 현재 의결권이 30%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무조건적인 부결을 장담하기 힘들다. 소액 주주 1표의 권한이 조금 더 커진 만큼 양 측 모두 막판 표심 잡기에 총력을 다할 것으로 전망된다.
4자 연합 측 관계자는 "국민연금 특성상 현 경영진을 지지하는 것이 주된 경향임에도 중립의견을 낸 것에는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며 "다른 주주들의 선택을 이끌기 위해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임종윤·임종훈 형제 측 관계자는 "국민연금이 고심 끝에 내린 결정을 존중한다"며 "소액 주주분들께서 기업에 올바른 방향과 맞는 현명한 판단을 내리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 지분격차 '21%p'…곧바로 나타난 '라데팡스 효과'
- 임종훈 지분 산 라데팡스, 형제 주식 추가 매입도 염두
- 침묵 깬 임종윤, 모녀 겨냥한 '5대 개혁안' 제시
- '벌어진 매각단가' 백기사 유무에 희비 갈렸다
- 모녀 지원하는 라데팡스 '4자연합' 변모, 달라진 '무게중심'
- '모녀 백기사' 라데팡스, 장기 투자 해외 LP 확보
- 872억 투입한 라데팡스, 자금·우군 확보한 모녀
- 140억 상속세 못구한 임종훈, 피할 수 없었던 지분매각
- 그래도 돌아가는 R&D 시계, 본질은 '신약' 준비된 '넥스트'
- '결국 답은 신약' R&D IR 처음부터 끝까지 챙긴 '임주현'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포스코, 모빌리티솔루션 매물로 내놓은 배경은
- [JPM 컨퍼런스 2025]암젠·화이자 본격 참전, 불붙는 글로벌 비만약 전쟁
- [JPM 컨퍼런스 2025]입지 달라진 리가켐바이오 "기술이전 아닌 이젠 기술도입"
- [JPM 컨퍼런스 2025]삼성바이오로직스 미래 'ADC', 빅파마 17곳 잠재고객 부상
- [Red & Blue]기로에 선 알체라, 반등 신호탄 '언제쯤'
- [Red & Blue]'업황 올라탄' HD현대重, 고마진·특수선 '동력' 남았다
- [i-point]탑런토탈솔루션, '탑런에이피솔루션' 출범
- [i-point](여자)아이들, 중국 텐센트뮤직 연간차트 2관왕
- [세아제강지주의 변신]'야심작' 세아윈드 실적반영 '본격화'…공정 안정화가 관건
- [세아제강지주의 변신]세아베스틸 시총 넘어섰다...그룹 '간판주식' 등극
이기욱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JPM 컨퍼런스 2025]발표 없어도 '기회의 장', 제약사 '오너·대표' 직접 챙긴다
- [JPM 컨퍼런스 2025]업황 회의론과 다른 주가, 행사 앞두고 헬스케어 지수 상승
- [JPM 컨퍼런스 2025]높아진 'K-바이오' 위상, 협회 주관 IR에 JP모간 참여
- [JPM 컨퍼런스 2025]韓 발표기업, '뷰티·벤처까지' 글로벌 관심범위 넓어졌다
- [JPM 컨퍼런스 2025]'42년 역사' 글로벌 바이오 성장 본거지…국내사 6곳 발표
- [2025 바이오텍 CEO 시장 전망]3곳 중 1곳 "현 상태로 1년 못버텨"…73% '연내 자금조달'
- [2025 바이오텍 CEO 시장 전망]정치·경제 불안에 '회의론' 만연, 1년만에 불거진 위기의식
- 동구바이오제약, 토탈헬스케어 전환 힘싣는 '조용준 회장'
- '경영안정 우선' 싸이토젠, 각자 대표 체제로 갈등 봉합
- [2025 승부수]'흑자 전환' 일동제약, 신성장 위해 다시 'R&D'의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