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 인사 풍향계]'전략·재무' 중용 현대건설, 4년 만에 부사장 배출유명근 경영지원본부장 승진, 2021년 플랜트 출신이 마지막…CFO도 전무 영전
전기룡 기자공개 2024-12-11 07:52:04
이 기사는 2024년 12월 10일 17:05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현대건설이 부사장 체제를 확고히 했다. 현대건설에서 사회생활을 시작한 이한우 대표(부사장·사진)와 함께 현대자동차 출신인 유명근 경영지원본부장(전무)이 회사 내 단 두 명뿐인 부사장으로 근무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회사의 전략과 재무 파트를 총괄하고 있는 인물들을 전무로 승진시킨 점도 눈에 띈다.현대자동차그룹은 10일 임원 인사를 단행했다. 현대자동차를 비롯해 그룹 계열사에서 승진에 성공한 임원은 239명이다. 이 중 현대건설에서는 부사장 1명과 전무 2명, 상무 12명 등 15명이 승진자 명단에 포함됐다. 현대건설 내 유일한 부사장 승진자는 경영지원본부를 이끌고 있는 유 전무다.
유 부사장 내정자는 1968년생으로 중앙대 행정학과를 졸업했다. 이후 현대자동차에 입사해 신사옥태스크포스(TF)팀장, 비즈니스지원실장 등을 거쳤다. 현대자동차에서 현대건설로 적을 옮긴 시점은 2020년이다. 현대건설에 합류한 이후에는 줄곧 경영지원본부장으로 근무해 왔다.
향후 대표이사로 선임된 이 부사장과 함께 현대건설 내 최고 직급으로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할 전망이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지난달 임기를 3년여 남겨놓은 윤영준 전 대표이사(사장)를 대신해 내부 공채 출신이자 주택사업본부장으로 근무하고 있던 이 부사장을 현대건설의 대표이사로 선임한 바 있다.
부사장이 대표이사로 선임된 만큼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뒤따랐다. 현대건설이 현대자동차그룹에 편입된 직후 대표이사 자리에 오른 인물은 현대엠코 출신인 김창희 부회장이다. 이후 대표이사 자리에 오른 정수현 전 사장과 박동욱 전 사장, 윤 전 사장 모두 '사장'으로서 회사를 이끌었다.
부사장이 현대건설의 대표이사 자리를 차지한 이력이 존재하지만 비공식에 가깝다. 플랜트사업본부장이었던 이원우 전 부사장이 박 전 사장에서 윤 전 사장으로 세대교체가 이뤄지는 과정에 발생한 공백기를 메꾸는 형태였기 때문이다. 그룹 편입 이래 공식적인 부사장 대표이사는 이 부사장이 처음이다.
세대교체의 신호탄이라는 분석도 제기된다. 이 부사장이 전임 대표이사보다 13살 젊은 1970년생이란 점이 한 몫 했다. 과거 1962년생인 박 전 사장이 50대 중반의 나이로 대표이사 자리에 오르자 16명에 달하는 임원진이 짐을 쌌던 기록도 있다. 윤 전 사장은 1957년생으로 박 전 사장보다 오히려 나이가 많아 변화가 크지 않았다.
부사장 2인 체제가 구축된 만큼 이 신임 대표가 겸직하고 있던 주택사업본부장 자리를 건축주택설계실장 출신의 이인기 상무에게 물려주는 작업도 수반됐다. 이와 함께 과거 인사실장으로 근무했던 구영철 전략기획사업부장(상무)과 최고재무책임자(CFO)를 맡고 있는 김도형 재경본부장(상무)를 전무로 승진시키는 결정도 내렸다.
구 전무 내정자는 현대건설 공채 출신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달리 김 전무 내정자는 현대자동차가 한국정책금융공사로부터 현대건설 지분 11.5%를 매입해 최대주주에 올랐던 시점에 합류한 그룹 출신이다. 구 전무와 김 전무는 각각 1972년생, 1973년생으로 전무 중에서는 젊은 축에 속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i-point]대동, 우크라이나에 트랙터 수출 본격 개시
- '물밑서 진행중' 삼성의 신약, 그룹 설득할 '투톱'에 쏠린 눈
- 삼성바이오로직스 잇단 잭팟, 신규투자 재무체력 '선순환'
- [CFO는 지금]고관주 이랜드그룹 전무, 전략적 자본 재배치 박차
- [R&D회계 톺아보기]CJ제일제당, '글로벌 사활' 점진적 투자 확대
- [Company Watch]LF, 투자업 시너지 발판 '미래 준비' 본격화
- [캐시플로 모니터]한섬, '보수적' 재고 확충에 현금흐름도 '개선'
- [Policy Radar]가상자산 갱신신고 1호 수리, 코인마켓에서 나왔다
- [2025 카카오 리빌딩]새판 짠 CA협의체, 총괄·위원회 조직 구성 '진용 강화'
- [2025 기대작 프리뷰]컴투스, '글로벌 퍼블리싱' 전략 시험대
전기룡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CES 2025 성료' 세라젬, 예비 파트너십 구축 성과
- [코스닥 1세대 생존기]'과감한 재투자' 리노공업, 시총 3조 달성 원동력
- [i-point]'큐브엔터 계열' 아더월드, SL:U 두 번째 시즌 공개
- [i-point]'FSN 계열' 부스터즈, 104억 신규 투자 유치
- [코스닥 1세대 생존기]장수기업 절반 상폐, 상위 150위권 중 30곳 명맥유지
- [i-point]'솔로 데뷔' 민니, 첫 콘셉트 포토 공개
- [i-point](여자)아이들 민니, 첫 솔로 미니앨범 발매
- [i-point]노을, MHRA 등록 완료…영국 진출 가시화
- [Red & Blue]'52주 최고가' 아이윈플러스, 수익성 입증 '아직'
- 세라젬, 슬립테크 기업 에이슬립과 MOU 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