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nancial Index/신세계그룹]상장사 6곳 중 4곳 ROE 후퇴…푸드·I&C '선방'①[ROE]이마트 신세계 등 핵심 계열사는 부진…유통 업황 탓 순손실 기록
홍다원 기자공개 2025-05-08 08:16:05
[편집자주]
기업은 숫자로 말한다. 기업의 영업·투자·재무활동의 결과물이 모두 숫자로 나타난다. THE CFO는 기업이 시장과 투자자에 전달하는 각종 숫자와 지표(Financial Index)들을 집계하고 분석했다. 숫자들을 통해 기업집단에서 주목해야 할 개별 기업들을 가려보고 그룹의 재무적 변화를 살펴본다. 그룹 뿐만 아니라 업종과 시가총액 순위 등 여러 카테고리를 통해 기업의 숫자를 분석한다.
이 기사는 2025년 04월 25일 13시18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신세계그룹의 주요 계열사가 지난해 대체로 미흡한 주주 성과를 냈다. 6개 상장사 중 4곳의 자기자본이익률(ROE)이 후퇴했다. 특히 핵심 계열사인 이마트와 신세계의 ROE 하락 폭이 두드러졌다.자본 효율성이 가장 낮은 곳은 이마트였다. 2024년 순손실 폭이 확대된 영향이다. 이마트는 2년 연속 마이너스(-) ROE를 기록했다. 반면 신세계푸드와 신세계I&C는 ROE가 개선됐다.
◇이마트 ROE 최하위, '1874억→5734억' 순손실 확대
THE CFO는 2023년과 2024년 신세계그룹 상장사의 연결 기준 자기자본이익률(ROE)을 집계했다. △신세계 △이마트 △신세계인터내셔날 △신세계푸드 △광주신세계 △신세계I&C 등 총 6개사다.
신세계그룹 상장사 6곳 중 핵심 계열사인 이마트의 ROE가 가장 낮았다. 이마트는 유일하게 마이너스(-) ROE를 기록했다. 2024년 연결 기준 이마트 ROE는 -5.04%였다. 이는 전년(-0.79%)대비 4.25%p(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ROE 하락 폭이 가장 큰 계열사도 이마트다. 이마트 ROE는 2년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이마트 ROE가 부진한 것은 2023년 사상 첫 적자를 기록한 탓이다. 연결에 포함된 신세계건설 적자 영향도 있었지만 본업인 할인점 사업에서도 타격이 컸다.
특히 이마트 순손실은 2023년 1874억원에서 2024년 5734억원으로 그 폭이 확대됐다. 2024년 통상임금과 퇴직보상금 등 비용 1895억원과 G마켓 손상차손 2691억원이 반영된 영향이다.
이마트 다음으로 ROE가 크게 하락한 계열사는 신세계(-2.87%p)였다. 2023년 5.41%를 기록했던 신세계 ROE는 1년 만에 2.54%로 후퇴했다. 같은 기간 신세계 순이익은 3119억원에서 1866억원으로 40% 감소했다.
신세계그룹에서 각각 할인점과 백화점으로 두 축을 담당하는 이마트와 신세계 ROE의 하락 폭이 두드러졌다. 이어 신세계인터내셔날(-0.82%p), 광주신세계(-0.42%p)순이었다.
ROE가 부진한 만큼 이마트와 신세계는 밸류업 공시를 통해 이를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 이마트는 구체적인 ROE 목표치를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오는 2027년까지 영업이익 1조원을 달성할 계획이다. 신세계는 ROE 7%를 목표로 잡았다.
◇ROE 1위 신세계I&C, 전년 대비 0.37%p 상승
반면 ROE가 상승한 계열사도 있다. 상장사 6곳 중 신세계I&C(0.37%p)와 신세계푸드(0.18%p) 2곳의 ROE가 전년 대비 올랐다.
신세계I&C는 ROE 상승률은 물론 절댓값으로도 가장 높은 ROE를 기록했다. 신세계그룹 IT 계열사인 신세계I&C의 2024년 ROE는 8.56%에 달했다. 2년 연속 ROE 8%대를 유지하고 있다. 신세계I&C 2024년 순이익은 전년(304억원) 대비 11.18% 증가한 338억원이다.
다음으로는 광주신세계(5.58%), 신세계인터내셔날(3.85%), 신세계푸드(3.84%), 신세계(2.54%), 이마트(-5.04%) 순으로 ROE가 높았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대기업 문화재단의 진화]한화 오너가·계열사 '십시일반'…2년간 '593억' 출연
- 평택 고덕 자연앤 하우스디, 이달 분양 돌입
- [FSK L&S는 지금]코로나 이후 지속된 부진, 미·중 갈등에도 '기회는 있다'
- 몸값 '3.7조+α', 'SSM·부동산' 분리매각 가능성 대두
- '인가 전 M&A' 여파, MBK파트너스 구주 손실 불가피
- [ASIC 시대 개막]SK하이닉스, AI 메모리 전략 '패키지 기술 내재화'
- [i-point]한컴위드·티지, 차세대 보안 '제로 트러스트' 공략 맞손
- [i-point]크라우드웍스, ‘대한민국 인공지능산업대상’ NIPA 원장상 수상
- [종근당 신약 확장 변곡점]보유 현금 2000억, 2조 투자금 외부조달 최소화 '자신감'
- [i-point]레이저쎌, 레이저 본딩 기술 기반 장비 수주 확대
홍다원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철강업 리포트]'미국 공략' KG스틸·세아제강, 수익성 빛났다
- [철강업 리포트]명암 가른 '매출원가율', 원가 부담 큰 현대제철
- [철강업 리포트]동국제강 이사회, CFO 출신 전략통 보강해 '위기 대응'
- [철강업 리포트]'셧다운' 동국제강, 하반기 손실 최소화 총력
- [ROE 분석]ROE 상승세 이어간 KT&G, 목표치 '15%' 근접
- [CFO & Credit]'A' 회복한 대한항공, 재무 해결사는 하은용 CFO
- [CFO & Credit]'A'로 향하는 한화오션, 조력자 신용인 CFO
- [CFO & Credit]'A+' HD현대중공업, 호황에 웃는 이철헌 CFO
- [Financial Index/증권사]'독보적 생산성' 키움증권, 직원 1인당 영업이익 '1위'
- [Financial Index/증권사]우수한 증권사 '단기 상환능력', 1위는 삼성증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