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틸렉스, 정보시스템 사업 수주…M&A 효과 가시화 14억 규모 계약 체결, 아이앤시스템 흡수합병 후 매출 다각화
한태희 기자공개 2025-05-12 07:50:58
이 기사는 2025년 05월 09일 07시3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면역항암제 연구개발 전문 기업 유틸렉스가 의료 정보시스템 사업을 수주하며 매출 전략을 다각화하고 있다. 작년 초 흡수합병한 아이앤시스템을 IT사업부로 편입한 뒤 처음으로 관련 수주 내역을 공시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유틸렉스는 9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을 대상으로 '2025년 정보시스템 기능개선 사업'을 수주했다고 밝혔다. 계약 규모는 14억원으로 최근 매출액 95억원 대비 14.35%에 해당한다. 작년 초 아이앤시스템 인수 후 처음으로 단일판매 및 공급계약 체결을 공시했다.
2018년 말 상장한 유틸렉스는 2023년 말 기술특례상장 기업에 대한 관리종목 지정 유예가 종료됐다. 작년부터 연간 별도 기준 매출 30억원 요건을 충족해야 했다. 매출을 확보하면서도 신약 개발 분야에서 시너지를 낼 수 있는 M&A(인수합병) 매물을 물색해왔다.
작년 3월 IT 기업 아이앤시스템 지분 100%를 현금 50억원을 들여 취득한 뒤 곧바로 흡수합병했다. 아이앤시스템은 시스템 구축 및 운영 서비스를 제공하는 IT 업체다. 2012년 LG CNS 출신 IT 전문가들이 설립했다.
아이앤시스템은 LG화학, LG CNS 등 LG그룹 계열사를 비롯해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복지부 등 정부기관을 주요 고객사로 뒀다. 2021년 102억원, 2022년 115억원, 2023년 129억원의 매출을 올리면서 매년 실적이 우상향하고 있다.

합병이 완료된 작년 2분기부터 관련 매출을 유틸렉스의 실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유틸렉스의 작년 매출은 95억원으로 이 가운데 71%인 68억원이 IT 서비스 관련 매출이다.
올해는 연간 실적이 온전히 반영되는 첫 해로서의 의미가 크다. IT사업부를 통해 연간 100억원 이상의 매출을 올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건강보험 시스템 구축, 정보시스템 운영 및 유지관리 등을 수주하고 있으며 작년 말 기준 수주잔고는 7억원 수준이다.
IT사업부의 본업 외 신약 개발 분야에서도 시너지를 기대하고 있다. 아이앤시스템이 헬스케어 데이터 관리 경험이 풍부하다는 점 역시 인수 결정의 주된 요인이었다. 현재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복지부 등 정부기관을 고객사로 두고 있다.
올해 초에는 AI 바이오 컨버전스 TF(Task Force)를 설립했다. IT사업부가 보유한 데이터 역량과 기존 바이오 사업 간 시너지를 창출하기 위한 목적이다. 진행 중인 임상 연구 및 중개과학 분야에 AI 솔루션을 적용해 신약 개발의 효율을 높인다.
신약 개발 과정에서 생성형 AI를 접목하면 특정 질환에 가장 효과적인 약물을 탐색하고 최적의 적응증을 도출할 수 있다. 임상 전단계에서 단백질 구조를 설계하거나 기존 약물의 적응증을 재창출하는 데에도 생성형 AI를 활용할 수 있다.
유틸렉스 관계자는 "수주 공시의 경우 기존 거래처의 계약이 연장된 건이라 보면 된다"며 "단순한 매출 확보 효과 외에도 의료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전문가를 확보해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오아시스, 티몬 인수 불발…공은 법원으로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주관사 삼일회계법인 선정, M&A 속도 전망
- [엔알비 IPO]모듈러 첫 상장주자, 금융당국 신고서 보강 주문에 일정 연기
- [영상]ESR켄달스퀘어리츠, 유증 이유는? 캐피탈 리사이클링!
- [Company Watch]뉴엔AI, 공모가 최상단 확정 '시총 1300억'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탄탄해진' 지배구조, 키워드 '흡수합병'
- [대기업 물류사 분석]1분기 수익성 '주춤' CJ대한통운, 하반기 반등 가능성은
- 코웨이, 실속형·프리미엄 제습기로 장마철 수요 공략
- [OTT 제휴 전쟁]네이버 떠난 티빙, 배민 손잡고 가입자 30% 늘린다
- [세나테크놀로지 IPO]대주주 케이스톤 "보호예수 2년 설정, 성장에 방점"
한태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엔케이젠, 엔케이맥스 인수 완료…상장유지 여부 관건
- [지투지바이오 IPO]'비만' 포텐셜에 2년만 흑자전환 목표…그래도 보수적 밸류
- CJ제일제당, 바이오사이언스 인수 4년 'BD' 인력 재편
- SK팜테코, '비만시장' 겨냥 3400억 베팅 세종 신공장 착공
- [클리니컬 리포트]디앤디파마텍, MASH 물질 '유의성' 확보 "이제 BD의 시간"
- [thebell note]삼성 '바이오'의 낯섦
- '범국가 신약투자' 건강 데이터 활용 '신약배당' 정책 제안
- LG화학 생명과학본부, 전사 구조조정에도 R&D·인력에 '힘'
- 네슬레의 세레신, 이번주 코스닥 예심 청구…IPO 본격화
- '실체 입증' 아리바이오, AR1001 중동 8200억 L/O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