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oint]엔켐, 나트륨 배터리 국책 과제 선제 추진 중리튬 대체 소재, 신뢰성 확보·전략적 기술 개발 방점
양귀남 기자공개 2025-05-12 08:56:41
이 기사는 2025년 05월 12일 08시5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엔켐은 12일 나트륨을 활용한 차세대 이차전지 소재 개발을 위한 두 건의 국책 과제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나트륨은 전기차 및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기존 배터리의 핵심 소재 리튬을 대체할 새로운 소재로 손꼽혀 왔다. 특히, 원소 특성이 리튬과 유사하지만, 가격이 훨씬 저렴하고 지구상 매장량이 풍부해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보다 훨씬 더 저렴한 배터리를 제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아 왔다.

엔켐은 지난해부터 총 두 건의 나트륨이온전지 개발 관련 국책과제를 수행 중이다. 산업통상자원부 주관의 '나트륨이온배터리용 고신뢰성 전해질 개발' 프로젝트는 나트륨이온전지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핵심 기술 개발을 골자로 한다.
엔켐은 해당 국책과제를 통해 △나트륨 이온 전지용 안정화 첨가제 개발 △전해질 최적화 설계 △신뢰성 특성 개선 등을 추진하며 최종적으로 고신뢰성 첨가제가 적용된 상용 전해질의 개발 및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220Wh/kg급 한계돌파 나트륨이온전지용 고전하 저장 소재 및 고효율 셀 기술 개발' 과제에도 참여하고 있다. 해당 프로젝트는 국내 나트륨이온전지 기술의 주도권 확보를 위한 전략적 기술 개발이 목표다.
엔켐은 △초격차 수준의 신규 전극 소재 개발 △계면 안정화 원천기술 확보 △고에너지밀도(220Wh/kg 이상)의 대면적 풀셀 양산 기술을 집중 개발하고 있다. 특히, 나트륨 기반의 양극·음극·전해질·분리막 등 핵심 소재 전반에 걸친 고도화 연구에 나서고 있으며, 1Ah 이상의 셀 용량 확보와 함께 차세대 전지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엔켐 관계자는 "국책과제 참여는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서 엔켐의 기술 경쟁력을 한층 더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시장 변화를 선도하며 차세대 배터리 시장에서 글로벌 리더십을 확보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네패스그룹은 지금]'범핑' 분야 선두주자, 삼성 핵심 파트너로 성장
- [KT 리빌딩]지니뮤직, 본업 정체 속 B2B·신사업 '승부수'
- [하이테크 소부장 리포트]원익그룹, DDI 진출 4년차…삼성D 공급 먼길
- [IR Briefing]'견조한 성장' NHN, 게임·결제·기술 집중
- 10살 맞은 네이버D2SF, 향후 10년 '글로벌 집중'
- 삼성전자, 갤럭시 엣지 모델 첫 출시 '생산지 분산'
- 삼성전자, 맞춤형 수요 '일반 D램'으로 확장
- [IR Briefing]컴투스 "케이뱅크·SM엔터 지분 처분할 것"
- [IR Briefing]1분기 주춤한 컴투스홀딩스, '신작 8종' 승부수
- 엑스게이트, 뒷걸음질 실적 회복 카드 'VPN·PQC'
양귀남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코스닥 상장사 매물 분석]알에프텍, 프리미엄 근거 '현금 보유량'
- [i-point]'상장 준비 본격화' 채비, 지속 가능 성장 기반 강화
- 비비안 "70년 업력 발판, 종합 패션기업 목표"
- [i-point]모아데이타, 태국 AI 건강검진 분석 플랫폼 시범사업 MOU
- [코스닥 상장사 매물 분석]'대주주 그림자' 지우는 다보링크, 체질개선 '초읽기'
- [유증&디테일]자체 자금조달 나선 비비안, 홀로서기 '드라이브'
- [i-point]엔켐, 프랑스 덩케르크와 서유럽 전해액 생산기지 구축
- [i-point]엔켐, 나트륨 배터리 국책 과제 선제 추진 중
- [Company Watch]'감사의견 한정' 티에스넥스젠, 유동성 부담 확대
- [Company Watch]'유동성 압박' 베셀, 자산 매각 '돌파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