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oint]대동, 업계 최초 농기계 품질 보증 연장 상품 출시서비스 대상 부품에 문제 발생 시 무상 점검·수리 제공
김지원 기자공개 2025-05-13 10:20:44
이 기사는 2025년 05월 13일 10시2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미래농업 리딩 기업 대동은 업계 최초로 대동의 트랙터, 스키드로더 주요 부품의 품질 무상 보증 기간을 최대 3년까지 연장할 수 있는 ‘워런티(품질 보증) 연장 플러스’를 출시했다고 13일 밝혔다.워런티 연장은 자동차 업계에서는 이미 대중화된 서비스로 대동은 고객 선호도와 충성도를 강화를 위해 해당 서비스를 출시했다. 트랙터, 스키드로더는 거친 야외 환경에서 일반적으로 5~10년간 사용하며 물리적 부담을 받기에 예기치 않은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고객은 워런티 연장 상품을 통해 경제적 부담을 덜 수 있다.
대동은 다양한 사용 환경을 고려해 '워런티 연장 플러스' 상품을 트랙터 2종, 스키드로더 3종으로 구성했다. 트랙터 △2년 또는 500시간 연장 △3년 또는 1000시간 연장 등 2종, 스키드로더 △1년 △2년 또는 1000시간 연장 △3년 또는 1000시간 연장 등 3종 등이다. 가입 고객은 기본 품질 보증 2년에 3년을 더해 최대 5년까지 무상 점검과 수리를 받을 수 있다. 대동 대리점을 통해 제품을 구매한 고객은 구매 계약일로부터 18개월 이내 '워런티 연장 플러스' 서비스 상품 구매를 신청할 수 있다.
트랙터의 '워런티 연장 플러스' 적용 제품은 유압부, 전장부, 외장부에 속한 부품들이다. 각종 밸브류, 실린더류, 호스류, 스위치류, 변속레버, 연료탱크 등이 포함된다. 스키드로더의 적용 제품은 엔진 내부 모든 부품과 유압부 내 모터, 펌프, 밸브, 실린더 등이다. 단, 고무호스나 타이어, 오일, 필터 등 소모성 부품과 작업기 부품, 고객 과실로 인한 하자는 보증 대상에서 제외된다. 워런티 연장 플러스' 보증 대상과 제외 부품에 대한 상세 내역과 구매에 대한 내용은 대동 각 대리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용대 대동 부품서비스사업본부장은 "'워런티 연장 플러스'는 고객에게 장기적인 안정성과 경제적 혜택을 제공하며 기계의 최적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서비스"라며 "대동은 앞으로도 고객 만족을 최우선으로 삼고 품질 보증 부문에서 더욱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i-point]아이티센글로벌, 부산디지털자산거래소에 '센골드' 지분 매각
- LNG터미널 품은 포스코인터, 밸류체인 구축 '본격화'
- [i-point]케이쓰리아이, 아시아 최대 메타버스 전시회 참가
- [철근업계 체력 점검]저평가 '고착화'...덩치에 따라 기업가치 '희비'
- [영상]돌아오는 방탄소년단…하이브 주가 '불타오르네'
- [삼성전기는 지금]실적 반등 성공, 넥스트 스텝 주목
- [롯데쇼핑 '트랜스포메이션 2.0' 점검]그로서리 1번지 비전 구체화, '내실→확장' 전략 가동
- [유증&디테일]'자본잠식' 넥스트칩, 채무상환용 일반공모 증자
- [더즌 줌인]아마존향 신규 매출, 실적 가이던스 '좌우'
- [i-point]이엠앤아이, OLED 소재 글로벌 스마트기기용 공급
김지원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i-point]제이에스링크, 영구자석 공장 유틸리티 공사 일정 조정
- [i-point]크라우드웍스, ‘대한민국 인공지능산업대상’ NIPA 원장상 수상
- [i-point]레이저쎌, 레이저 본딩 기술 기반 장비 수주 확대
- [i-point]대동, 북미 최초 25마력 캐빈형 트랙터 'CS2530' 출시
- [i-point]노을, 중동 카타르에 AI 기반 자궁경부암 진단 솔루션 첫 공급
- '췌장암 치료' 아이엠지티, 미국 진출 '청사진' 공개
- 우리기술의 다음 행보
- [i-point]노을 AI 혈액분석 솔루션 ‘miLab™ BCM’, 선진국 시장 본격 진출
- [i-point]몰테일, 혹서기 일본 직구 와인 무료 보관 서비스 재개
- [i-point]제이에스링크, 국내 유일 ‘Olink·Somalogic·SIMOA’ 3대 단백체 플랫폼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