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손보, 수익성 감소폭 만회한 투자이익 운용자산 확대에 투자손익 20% 증가…자본적정성 목표 수준 유지
이재용 기자공개 2025-05-16 12:56:44
이 기사는 2025년 05월 15일 08시1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DB손해보험이 투자손익을 앞세워 보험손익 급감에 따른 수익성 감소 충격을 일부 완화했다. 운용자산 확대에 따른 이자 및 배당수익이 증가한 영향이다. 해당 영향 등으로 1분기 투자손익은 전년 동기 대비 20%가량 늘었다.수익성 악화에도 지급여력(K-ICS·킥스)비율은 적정 수준을 유지했다. 앞서 DB손보는 중장기 자본정책 적정 자본 구간을 킥스비율 200~220%로 설정했다. 다만 목표 주주환원율을 달성하기 위한 초과자본 확보가 요구된다.
◇순이익 4470억…보험손익 감소에도 시장 예상치 상회
DB손보 실적 자료에 따르면 1분기 순이익은 4470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23.4% 줄어든 수치다. 수익성이 악화했지만 시장 예상치(에프앤가이드 기준) 4101억원을 넘기며 비교적 선방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순이익이 감소한 건 일회성 요인 등으로 보험손익이 크게 줄어든 영향이다. 1분기 보험손익은 1년 전보다 28.5% 감소한 4027억원으로 집계됐다. 부문별 손익은 장기보험 3940억원, 자동차보험 458억원, 일반보험 -370억원 등이다.

장기보험부문은 장기위험손해율 상승 등 일회성 비용확대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1% 감소했다. 보험계약마진(CSM) 상각은 지난해 말 무저해지보험 가정 변경에 따른 CSM 조정 영향으로 1년 전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다.
자동차보험은 요율인하에 따른 대당경과보험료 감소 지속 등으로 손해율이 2.9%포인트 상승하며 같은 기간 이익이 51.4% 줄었다. 올해 1분기 기준 DB손보의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81.1%를 기록했다.
일반보험이 손실을 기록한 건 미국 로스앤젤레스(LA) 산불 등의 영향으로 손해율이 급증한 영향이 컸다. 1분기 기준 일반보험 손해율은 78.4%로 지난해 동기 대비 10.1%포인트 상승했다.
보험손익이 악화했지만 투자손익이 이를 만회하며 감소폭을 일부 상쇄했다. 올해 1분기 투자손익은 2440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19.8% 증가했다. 운용자산 확대에 따른 이자 및 배당수익 증가 효과다.
DB손보의 운용자산은 1분기 기준 52조1130억원이다. 채권 비중이 29.5%(15조3510억원)로 가장 크다. 이어 대출 27.1%(14조1040억원), 수익증권 19%(9조9190억원), 해외채권 및 수익증권 16.2%(8조4680억원) 등으로 구성됐다.
CSM 잔액은 12조8690억원이다. 연령대별 손해율 가정 변경 효과로 지난해 말보다 6370억원 증가했다.
◇킥스비율 204.7%로 적정 수준 유지…초과자본 확보는 숙제
수익성 악화에도 자본적정성은 되레 상승했다. 1분기 말 기준 킥스비율 추정치는 204.7%로 지난해 동기보다는 줄었으나 연초보다는 1.6%포인트 상승했다. 요구자본은 4000억원가량 늘었으나 가용자본이 9000억원 늘며 상쇄했다.
자본적정성 유지는 회사의 주주환원 정책에도 긍정적인 요인이다. 앞서 DB손보는 중장기 주주환원율 목표치를 35% 이상으로 제시하면서 적정 자본구간인 킥스비율 200~220%를 초과하는 자본을 주주환원 등에 활용하기로 계획했다.
그럼에도 주주환원 확대 측면에서 초과자본을 확보해야 하는 것은 숙제다. 2024년 배당성향은 23%로 목표치까지 약 12%포인트가량 확대해야 한다. 예고된 제도 변경과 가정 악화에 따른 버퍼를 고려하면 현재 상태론 적극적인 주주환원 확대가 어렵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파이낸스
-
- [공모주 시장 지각변동]주관사서 이어지는 볼멘소리 "책임 늘고 과실 줄었다"
- 경남은행-토스뱅크, 연내 공동대출 출시…리테일 확장 속도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성대규 체제' 내달 출범…이사회 진용 완성
- [저축은행경영분석]스마트저축, 남다른 리스크 관리 전략…내실성장 지속
- [큰 장 이어가는 NPL]유암코, NPL 시장 선두 출발…조달·매입 '1위'
- [Peer Match Up/KB vs 신한]성과 가른 영업 전략 '보장성 vs 저축성'
- [메리츠화재는 지금]김용범 DNA 이어가는 김중현 대표…보수도 업계 톱
- [금융지주 RWA 매니징 점검]KB금융, 은행 주단위 점검 체계로 '화룡점정'
- [저축은행 조달 전략 점검]SBI저축, '신뢰·플랫폼'이 이끈 독보적 조달 경쟁력
- 제4인뱅 예비인가 시점 안갯속…숨죽인 컨소시엄
이재용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성대규 체제' 내달 출범…이사회 진용 완성
- [Sanction Radar]주요국 자본시장 감독기구, 서울에 집결한 까닭은
- [하나은행을 움직이는 사람들]'고객 외연 확장' 중책 맡은 서유석 부행장
- [Policy Radar]수출입은행, EDCF '비구속성' 지원 확대
- [하나은행을 움직이는 사람들]'1호 영업사원' 이호성 행장, 리딩뱅크 정조준
- [금융사 해외 전초, 제재 리스크]인도 보험시장, 활짝 열렸다
- 한국GM 자산 매각에 바삐 돌아간 '산은 시계'
- MG손보 정리 본격화…가교보험사 지배구조 확정
- [급물살 탄 코인결제]규제 주도권 쥘 정부당국은
- [Sanction Radar]기업은행, 트럼프발 '관세 리스크' 해결 돕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