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5년 05월 22일 07시0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정치 불안으로 보궐 대선이 다가오면서 차기 정권에 대한 재계의 긴장도도 높아지는 모습이다. 유력 대선 후보는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염두에 두고 주가순자산비율(PBR)이 일정 수준 미만일 경우 청산하거나 적대적 M&A를 당해야 한다는 식의 발언까지 내놨다.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유발하는 일련의 사건들도 있었고, 금융당국의 관심도 커지면서 기업들이 어떤 결단을 내릴 때 눈치를 보는 빈도수가 늘어난 듯 하다.오이밭에서 신발 고쳐 신지 말고, 오얏나무 아래에서는 갓도 고쳐 쓰지 말라는 격언이 떠오르는 때다. 국내 주식은 쳐다보지도 말라는 인식이 짙어지고 있었다는 점에서 국내 기업들이 이런 눈치를 보는 것은 그나마 다행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그러면서 한편으로는 기업들의 자본시장 내 활동이 필요 이상으로 위축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동시에 든다.
예를 들면 유상증자나 기업 간 합병 등을 들 수 있다. 이런 행위 자체는 죄가 아니다. 기업 입장에서 못 할 행동도 아니다. 유상증자의 경우 단순하게 보면 주주 가치가 희석되기 때문에 주가 하락의 압력이 커지는 것은 맞다. 그런데 수 많은 사례에서 볼 수 있듯 유상증자가 꼭 주가 하락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핵심은 주주 설득이다. 증자나 합병이나 기업이 주주들에게 배경과 추후 효과를 충분히 설득하려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 단순히 '의사 결정의 효율성 증대와 기업 간 시너지 효과 극대화를 위함'이라고 한 줄 써버리는 것이 아니라, 기업이 어떤 행위를 할 때 왜 그런 결단을 내릴 수밖에 없었는지, 그런 결단이 있기 까지 어떤 자구책을 시행해왔는지, 이 결정이 왜 추후 주주 가치 상향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 설명해야 한다.
최근 금융감독원이 포스코퓨처엠 유상증자를 '중점심사' 하겠다고 한다. 삼성SDI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 이어 세 번째 중점심사다. 배경을 보니 유증 규모가 크고 시장 관심도가 높기 때문이라고 한다.
포스코퓨처엠이 유증까지 가기까지의 경영 성과를 변호하고 싶지는 않지만, 적어도 이들은 유상증자를 단행하기 전에 자산 매각도 하고 회사채와 차입을 동원하는 등 자체적인 노력을 했다는 점은 인정해줘야 한다. 작년 말에는 신종자본증권까지 발행했다. 심지어 이들은 2023년 실적발표회에서 추가 투자를 위해 향후 유증이 필요할 수도 있다는 '예고'까지 했었다.
이런 이들을 '뜬금' 유증 카드를 꺼냈던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동급으로 묶어 중점심사 대상으로 보는 것이 적절한가 싶다. 금융당국의 이런 빡빡한 심사 기준이 앞서 언급한 기업의 자본시장 내 활동 위축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든다. 앞으로 대기업 유상증자는 모두 중점심사 대상이 되는가. 신발이 불편하다면 오이밭이든 어디든 빨리 신발을 고쳐 신어야 다시 뛸 수 있는 법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피플&오피니언
-
- 국책은행과 상장사의 '균형점'
- KB, 부코핀의 추억
- 2025년 더벨 수습기자 공개 채용
- 기업인 사외이사의 역할
- 프리미어, 1조 클럽의 무게
- 이음PE의 진가
- [2025 thebell 경영전략 Forum]"불확실한 대외 여건, 기업 노력에 정책적 지원 병행돼야"
- [2025 thebell 경영전략 Forum]탈세계화 속 보호무역 '뉴노멀'…기업에 던지는 경고
- [2025 thebell 경영전략 Forum]"새 정부 출범, 장기성장 위한 정책 설계 적기"
- [2025 thebell 경영전략 Forum]글로벌 저성장 기조 뚜렷, '트럼프 리스크' 상수화
박기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VIG 투자처' 바이오퓨얼홀딩스, 하나대체운용 FI로 확보
- 홈플러스 5조 넘는 부채 부담 크지만, MBK 결단 '빛' 보나
- 3조 투자한 MBK, 홈플러스 10% 미만 회수…공허한 '먹튀론'
- [PE 포트폴리오 엿보기]세아FSI·에삽 영업 순항, 매각 힘 받을까
- 스카이레이크, 비즈니스온 상폐 자금 상환 추진
- [K-배터리 파이낸스 점검]'은행빚 25조' SK온, 밸류 체인 재무 여파는
- SK온-퓨처엠 합병설 왜 나왔나, 현실성 낮은 이유
- [ROE 분석]진격의 '불닭' 삼양식품, 주주 성과 추가 개선 '기대'
- [Financial Index/생명보험]교보·한화 '엎치락', 보장성보험 확보에 농협생명 '두각'
- [레버리지&커버리지 분석]LG디스플레이, 재무 개선 3대 긍정적 신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