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ny Watch]신테카바이오, 코로나19·니파 재유행 대응 '부각'코로나19 신약 발굴 국책과제 수행 이력, 니파 바이러스 선정 가능성 '촉각'
성상우 기자공개 2025-05-23 08:03:31
이 기사는 2025년 05월 22일 16시4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수년 전 종식을 맞았던 코로나19가 중화권에서 재유행을 시작하고 동남아시아에서 니파 바이러스가 확산되면서 제약·바이오 업계가 또다시 팬데믹 조짐에 촉각을 기울이고 있다. 국내 증시에서 최근 며칠간 관련 치료제·진단키트 종목들이 일제히 상승세를 보인 이유다.시장에선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새로운 전염병 관련주 발굴에 나선 분위기다. 그 중 하나로 AI 신약 발굴 플랫폼 ‘딥매처’로 정부와 단독으로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제 발굴에 나선 신테카바이오가 재조명받고 있다.
신테카바이오는 이미 지난해 7월 질병관리청이 주관하는 신종 감염병 대응 국가 과제를 수주한 바 있다.
앞서 질병관리청은 2023년 5월 국가 위기 상황을 초래할 수 있는 신종 감염병 바이러스 8종(SFTS, 인플루엔자, 코로나19, MERS, RSV, 라싸, 뎅기, 니파)을 선정해 감염병을 조기에 제어할 수 있는 치료제를 신속히 개발하기 위한 전략을 발표한 바 있다.
지난해 수주한 질병관리청 주관 국가 과제는 해당 전략의 일환으로 추진된 프로젝트다. 코로나19와 같은 신종 감염병에 대응하기 위해 국산 치료제를 확보하려는 목적으로 추진한 연구 사업이다.
해당 과제를 수주한 AI 신약 개발 플랫폼 기업은 신테카바이오가 유일하다. 신약 플랫폼 기업 중 유일하게 슈퍼컴 기반 AI 데이터센터를 자체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 고려된 것으로 풀이된다.
질병관리청 입장에서도 AI 플랫폼을 활용해 신약 후보물질을 찾는 방안이 시간과 비용을 최대한 절약할 수 있는 방향이라고 판단한 셈이다.

과제 프로세스에 따라 신테카바이오는 지난해부터 자체 AI 신약개발 플랫폼 ‘딥매처’를 이용해 코로나19를 타깃으로 한 합성신약 후보물질을 도출하는 작업을 수행해 왔다. 인실리코(in silico) 예측 방법론을 기반으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코로나 치료제 후보 물질을 스크리닝했고 그 결과로 40여종의 유망 후보물질을 도출해 놓은 상태다.
최근엔 도출한 후보물질에 대한 유효성 검증 실험을 마쳤다. 현 단계까지의 권리는 질병청와 신테카바이오가 공동 소유하는 형태다. 다음 단계는 후보 물질을 바탕으로 실제 약물을 구성하는 신약 후보물질 합성 단계다. 이후 전임상을 거쳐 치료제를 국산화하는 수순이다. 계획대로라면 신테카바이오와 질병청이 주체가 된 국산 코로나 치료제가 나오기 직전 단계에 들어선 셈이다.
최근 동남아에서 확산되고 있는 니파 바이러스와 관련해서도 신테카바이오의 AI 신약발굴 플랫폼에 시선이 쏠리는 분위기다. 니파 바이러스는 말레이시아에서 처음 발견된 뒤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따. 치명률이 최대 90%에 달하지만 현재까지 백신이나 치료제가 없는 상황입니다.
이에 질병청은 오는 7월부로 니파를 제1급 감염병으로 지정하기로 했다. 업계는 지난해 코로나 바이러스를 타깃으로 진행한 감염병 대응 국가 과제를 니파 바이러스 타깃으로도 진행할 지 여부에 주목하고 있다. 지난 2023년 치료제 개발 프로젝트의 대상으로 발표한 신종 감염병 바이러스 8종에 니파 바이러스도 이미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
진행될 경우,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조달청 ‘나라장터’를 통해 프로젝트를 제안하면 지원한 기업들 중에서 질병청이 선정하는 형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코로나19 대응 프로젝트 기업 선정 당시엔 신테카바이오가 유의미한 AI 신약개발 플랫폼을 가진 유일한 기업이라는 판단이 작용했다.
회사 측은 올해 역시 지난해와 비슷한 상황이라고 보고 있다. 질병청과 이미 코로나 바이러스를 대상으로 한 유사한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이력도 갖춰놓은 상황이다. 내부적으론 니파 바이러스를 타깃으로 한 신규 프로젝트가 이뤄질 경우 자사의 선정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1급 감염병 지정이 예상되는 니파 바이러스의 경우에는 작년과 똑같이 국책 과제를 민간 업체들에게 나눠주고 후보물질을 도출하는 과정을 거칠 것으로 보인다”면서 “코로나의 경우 중국, 일본 등은 다 치료제 국산화가 이뤄졌는데 국내만 안되고 있는 상황이다. 각 바이러스에 대한 치료제 확보를 위한 질병청의 신규 프로젝트가 계속 나올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i-point]아이티센글로벌, 부산디지털자산거래소에 '센골드' 지분 매각
- LNG터미널 품은 포스코인터, 밸류체인 구축 '본격화'
- [i-point]케이쓰리아이, 아시아 최대 메타버스 전시회 참가
- [철근업계 체력 점검]저평가 '고착화'...덩치에 따라 기업가치 '희비'
- [영상]돌아오는 방탄소년단…하이브 주가 '불타오르네'
- [삼성전기는 지금]실적 반등 성공, 넥스트 스텝 주목
- [롯데쇼핑 '트랜스포메이션 2.0' 점검]그로서리 1번지 비전 구체화, '내실→확장' 전략 가동
- [유증&디테일]'자본잠식' 넥스트칩, 채무상환용 일반공모 증자
- [더즌 줌인]아마존향 신규 매출, 실적 가이던스 '좌우'
- [i-point]이엠앤아이, OLED 소재 글로벌 스마트기기용 공급
성상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i-point]케이쓰리아이, 아시아 최대 메타버스 전시회 참가
- [더즌 줌인]아마존향 신규 매출, 실적 가이던스 '좌우'
- [i-point]이엠앤아이, OLED 소재 글로벌 스마트기기용 공급
- [i-point]폴라리스AI '액손'과 파트너십, '한국형 치안 클라우드' 시동
- [i-point]신테카바이오 'BIO USA 2025' 참가, "AI플랫폼 라인업 공개"
- [i-point]이엠앤아이, 최근 주가 급락에 "경영 이상 무, 사업 순항 중"
- [i-point]아티스트컴퍼니, 신대식 콘텐츠제작사업부문대표 영입
- [딥테크 포커스]ICTK ‘큐트러스트넷’, 유심 해킹 방지책 '부각'
- [더즌 줌인]글로벌 빅테크 '아마존' 밸류체인 합류, 동남아 진출
- [i-point]케이쓰리아이, 메타버스 솔루션 출시 “가정용 휴머노이드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