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oint]엔켐, 중국 이차전지 소재사 2곳 '전략적 지분투자'중국 전역으로 거점 강화, ESS 전해액 공급 교두보 확보
김인엽 기자공개 2025-05-23 12:55:51
이 기사는 2025년 05월 23일 12시5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엔켐은 23일 첨가제 등 이차전지 핵심 소재사업을 전문적으로 영위하는 중국 기업 2곳과 전략적 지분 투자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중국 전기차 기업 BYD 밸류체인 진입 가능성 확대와 중국 전역으로 사업 거점을 강화할 전략적 교두보를 마련했다는 평가다.
TCFG는 중국 내 형석, 규석 광산·가공시설을 확보하고 있으며 간쑤성, 장쑤성 일대에 2개의 전해액 첨가제 생산시설도 보유한 지주회사다. TCFG는 최근 글로벌 전해액 기업과 전략적 협력을 통해 성장모멘텀을 확보하기 원했으며, 양사 간 니즈가 부합해 이번 계약까지 이어졌다는 게 엔켐 측 설명이다.
이번 투자를 통해 엔켐은 △전해액 첨가제 사업 역량 강화 △중국 내 중서부 거점 확보 △최상위 기업 대상 에너지저장장치(ESS)용 전해액 공급 확대 등 다각적 효과를 동시에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투자 기업 중 일부는 BYD를 포함한 중국 최상위 배터리 기업에 첨가제를 곧 공급 예정이어서 엔켐은 전략적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전해액 공급 진입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전해액 첨가제는 배터리 수명·안정성·성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배터리 제조·소재사 고유 레시피에 기반한 높은 기술장벽으로 외부 진입이 어려운 분야다.
엔켐 관계자는 "TCFG는 엔켐의 폭넓은 글로벌 공급망, 제품 포트폴리오, 현지화 역량을 높이 평가해 비중국계 기업 중 최우선 파트너로 선정해 투자를 받았다"며 "엔켐이 중국 현지 시장에서 신뢰받는 전략적 플레이어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증거”라고 말했따.
또 그는 "이번 투자 계약으로 엔켐은 중국 최상위 배터리 제조사 공급망 진입 가능성을 더욱 높였으며, 고도화된 첨가제 기술과 ESS 시장 공략 역량을 동시에 확보하게 됐다"며 "중국 내 사업 확대는 물론 글로벌 전해액 시장에서도 점유율을 향상시키는 시너지도 예상된다"고 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대신밸류리츠, IPO 수요예측 '흥행'…경쟁률 7대 1
- 구조조정 '신호탄'...롯데케미칼-HD현대, 대산 NCC 통합 추진
- "남은 리밸런싱 과제는"…SK, 엄숙한 분위기 ‘끝장토론’
- 케이카 "제3 경매장 연말 개장한다"
- 취임 9일만에 재계 만난 이재명, 확연한 '친기업 행보'
- '이 대통령 밀착' 이재용 회장, 'AI·반도체·바이오' 투자 강조
- [2025 BIO USA]'발표세션' 첫 출격 삼진제약, 재기 노리는 코오롱티슈진
- [공모주 시장 지각변동]주관사서 이어지는 볼멘소리 "책임 늘고 과실 줄었다"
- AI콴텍, 퇴직연금 RA일임 개시 눈앞…농협은행과 맞손
- 브이아이운용, '국채+삼성전자+공모주' 3중 전략 택한 배경은
김인엽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i-point]한성크린텍, 364억 규모 SK하이닉스 용인 수처리설비 수주
- [i-point]커넥트웨이브, 다나와자동차 '구매 비용 비교' 기능 추가
- [기술특례 새내기주 진단]'상장 4년차' 루닛, 실적 본궤도 진입 '언제쯤'
- [Red & Blue]'FPGA 수요 회복' 매커스, 전방산업 확대 수혜
- [i-point]한성크린텍, '황산암모늄' 상업 판매 개시
- [i-point]다나와, '닌텐도 스위치2' 래플 이벤트 진행
- [Company Watch]'자동차 전장' 모트렉스, 자회사 통해 700억 조달
- [i-point]DS단석, 플로깅 캠페인 진행
- [Red & Blue]비츠로셀, 극한 환경 내열·내습 일차전지 글로벌 수요 증가
- [i-point]아우딘퓨쳐스, 인풀루언스 투어 성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