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5년 06월 13일 08시0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매년 최대 수주 실적을 경신하고 있는 삼성바이오로직스, 꾸준한 임상개발과 품목허가를 통해 바이오시밀러 제품군을 확대하고 있는 삼성바이오에피스. 삼성의 바이오는 신수종 사업을 넘어 미래를 이끄는 핵심 기지로 자리잡았다.그러나 의료계에서 '삼성'이란 브랜드는 여전히 낯설다. 이는 제조업을 기반으로 성장해 온 삼성 바이오 사업의 구조적 특성에 기인한다. 삼성 바이오는 지금까지 삼성바이오로직스 중심의 CDMO(위탁개발생산) 등 B2B 사업이 주력이었다.
삼성바이오에피스 주도로 개발해 상업화한 바이오시밀러도 주로 파트너사를 통해 유통해 온 만큼 의료진과 직접적인 접점을 만들기 어려웠다. 글로벌 시장에서 익숙한 '삼성'이란 이름은 의료 현장에선 아직 생소할 수밖에 없었다.
최근 들어 의료계에서도 삼성이란 브랜드의 의약품이 각인되기 시작해 눈길을 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최초의 해외 직판 모델을 적용한 솔리리스 바이오시밀러 '에피스클리'를 유럽 시장에 안착시켰다. 출시 후 2년간 점유율 1위를 지키고 있다.
이달 초 오스트리아에서 열린 유럽신장학회(ERA)에서 만난 안토니오 리토 삼성바이오에피스 유럽법인 마케팅 총괄은 "삼성이란 강력한 브랜드를 통해 제품을 알린 게 아니라 에피스클리라는 제품을 통해 '삼성' 브랜드를 시장에 알릴 수 있었다"고 말했다.
작년에 이어 2년 연속 ERA 부스를 연 건 단순한 제품 홍보 목적이 아니었다. 에피스클리를 활용해 '삼성'이라는 브랜드를 의료계에 각인시킬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학회에서 만든 접점으로 연구자 주도 임상 등 추가 협업으로 이어질 기회도 열어뒀다.
에피스클리의 성공 경험을 기반으로 기존 바이오시밀러 제품의 직판 확대 가능성도 검토 중이다. 먼 미래엔 개발 중인 신약의 상업화 및 마케팅 전략에도 활용될 수 있다. 리토 상무는 "에피스클리의 성공을 기반으로 직판을 늘릴 가능성은 열려 있다"고 말했다.
최근 삼성그룹이 바이오 사업 체계 개편을 위한 중대한 결정을 내린 점도 주목할 만하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단순 인적분할 방식으로 삼성에피스홀딩스를 신설하기로 결정했다. 삼성에피스홀딩스는 삼성바이오에피스 지분 100%를 승계한다.
삼성바이오에피스의 홀로서기와 함께 '삼성'이란 브랜드도 의료계에 싹을 틔우기 시작했다. 삼성은 단순한 제조업을 넘어 브랜드가 기능하는 바이오 기업으로 변모하고 있다. 에피스클리를 통한 직판 경험은 그 첫 사례라는 점에 의미가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롯데케미칼, ESG 거버넌스 정교화...'공급망 리스크'도 관리
- '주주환원 확대' 현대엘리, 사옥 매각으로 재원 확보
- '내실경영'으로 다진 한진, 수익성 '청신호'
- 금호타이어, 정보보호위원회 신설…투자 '매년 확대'
- 하나마이크론, 인적분할 승인 '위임 절차 이상무'
- 인벤테라, 기평 통과 3개월만 예심 청구…'상업화' 자신감
- [i-point]엑스플러스, '시그널웨이브' 자회사 편입
- hy(한국야쿠르트), ‘잇츠온 능이버섯 삼계탕’ 완판
- [이사회 분석/한라캐스트]사외이사 과반 체제…독립성 확보 '만전'
- [thebell interview]"이사회는 기업 본연의 역할 충실케 돕는 것"
한태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K-바이오 CGM 진출 전략]'혈당 강자' 에스디바이오, BGM 레거시 '마케팅' 활용법
-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오가노이드', 국내 파트너사 활용법
- 넥스아이, B단계 600억 펀딩…5년차 빠른 성과에 '러브콜'
- [K-바이오 CGM 진출 전략]아이센스 '10년 내공' 기술 내재화, 과감한 R&D 투자
- [thebell interview]루닛 빅테크 출신 CTO가 말한 'MS 협업' 의미 '현장 맞춤형'
- 'AI 신약 설계' 갤럭스, 최대 300억 시리즈B 펀딩 추진
- [K-바이오 CGM 진출 전략]오상헬스케어 묘수 특허 관리 고려한 '알레헬스' 인수 과정
- [thebell note]CJ '바이오'의 7년 전 선택
- 인투셀, 특허이슈에 핵심인력 이탈까지 '전열 바뀐다'
- [뉴로핏 IPO]100명의 연구인력, 기술력 구심점 '6인'의 C레벨 맨파워